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숙련과 고용 : 공정성에 기반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를 중심으로

Skill and Employment :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ased on fairness perception
저자
김봄이 반가운 양정승
분류정보
기본연구(2016-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0.31
등록일
2017.01.03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제2장 이론적 배경_15
제1절 CSR 활동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공정성 지각	20
제2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	22
제3절 공정성 지각에 기반한 호혜적 행위	33
제4절 소결	37
제3장 공정성에 기반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실험연구_39
제1절 도입	41
제2절 기존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46
제3절 실험 설계	51
제4절 실험 결과 예측	62
제5절 실험결과	65
제6절 실험 결과의 함의	84
제4장 공정성 지각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실증분석_87
제1절 문제제기	89
제2절 사회적 책임 관련 지표 검토	90
제3절 공정성 지각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실증분석	96
제4절 소결	138
제5장 결론_141
제1절 분석결과 종합	143
제2절 정책적 함의	145
SUMMARY_151
참고문헌_153
부록_161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개념을 활용하여 숙련 및 고용 문제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기존 정책 논의만으로 해결되지 않고 있는 문제들을 CSR 개념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연구 지평을 확장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노동자의 숙련 향상과 고용 창출의 수단으로서 노동시장에서 CSR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위한 기업의 역할을 폭넓게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the skills and employment using the concept of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order to enhance the workmanship of the labourers and to create more employment opportunities, we have looked into the potential of CSR and attempted to suggest its next course of action in the labor market. This research, using the concept of fairness perception, aims to explore how one’s understanding of the CSR activity acts as a mediator that leads to the positive achievements as a corporation. Firstly, we aimed to examine how the various departments of CSR, including the activities in internal CSR and business relations CSR (assisting under syndicates), via fairness perception, - and through the increase of trust in the corporation and the emergence of reciprocality, - ultimately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corporation. And we verified that the CSR activity, based on fairness, manages to carry its legitimacy as one of the corporation management strategies. In addition, we discovered that CSR can also be revitalized under the following circumstances: when the decision- making authority that was only monopolized by the corporation starts being shared with the labourers, when the labourers gain more participation opportuniti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when the labourers’ rights to make decisions take effect as a counterforce against the management rights. As an outcome, it was demonstrated that this does not only motivate the labourers, but also raises the quality of working environment and alleviates efficiency and equity of the economy itself. Ultimately, this will furthermore enhance the workmanship of the economy and create more job opportunities.
<표 2-1> 외부 CSR의 범위	25
<표 2-2> 내부 CSR의 범위	25
<표 3-1> 생산시스템별 노동력에 따른 토큰 생산량	57
<표 3-2> 통제 조건과 조작 조건의 실험 환경 요약 	59
<표 3-3> 임금조정 선택권에 따른 경영자의 선택	67
<표 3-4> 임금조정 선택권에 따른 노동자의 선택	73
<표 3-5> 노동자 실제노력 결정요인 회귀분석(1)	75
<표 3-6> 노동자 실제노력 결정요인 회귀분석(2)	77
<표 3-7> 노동자 실제노력 결정요인 회귀분석(3)	81
<표 3-8> 임금조정 선택권에 따른 경영자와 노동자의 성과	83
<표 4-1> 좋은 일자리 경영관행 관련 지표 구성	92
<표 4-2> 인적자본기업패널(HCCP)를 기반으로 한 좋은 일자리 지수	93
<표 4-3> 인적자원기업패널(HCCP)을 기반으로 한 노동관련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공정성, 신뢰, 숙련 지표	95
<표 4-4> 인적자원기업패널(HCCP)의 공정성 지각 및 신뢰 관련 설문문항	96
<표 4-5> 종속변수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분석	98
<표 4-6> 독립 및 통제변수의 기술통계량	99
<표 4-7> 독립 및 통제변수들의 상관관계	100
<표 4-8> 종속변수와 독립 및 통제변수 간 상관관계	104
<표 4-9> 종속변수: 평가보상의 공정성 회귀분석 결과	106
<표 4-10> 종속변수: Ln(1인당 매출액) 회귀분석 결과	108
<표 4-11> 종속변수: Ln(채용규모+1) 회귀분석 결과	110
<표 4-12> 종속변수: 신규채용/전체인력 회귀분석 결과	111
<표 4-13> 종속변수: 숙련수준 회귀분석 결과	113
<표 4-14> 종속변수: 발전 승진의 불공정 회귀분석 결과	115
<표 4-15> 종속변수: Ln(1인당 매출액) 회귀분석 결과	116
<표 4-16> 종속변수: Ln(채용규모+1) 회귀분석 결과	117
<표 4-17> 종속변수: 신규채용/전체인력 회귀분석 결과	118
<표 4-18> 종속변수: 숙련수준 회귀분석 결과	119
<표 4-19> 종속변수: 동료간 신뢰 회귀분석 결과	120
<표 4-20> 종속변수: Ln(1인당 매출액) 회귀분석 결과	121
<표 4-21> 종속변수: Ln(채용규모+1) 회귀분석 결과	123
<표 4-22> 종속변수: 신규채용/전체인력 회귀분석 결과	124
<표 4-23> 종속변수: 숙련수준 회귀분석 결과	125
<표 4-24> 종속변수: 경영진 신뢰 회귀분석 결과	126
<표 4-25> 종속변수: Ln(1인당 매출액) 회귀분석 결과	128
<표 4-26> 종속변수: Ln(채용규모+1) 회귀분석 결과	129
<표 4-27> 종속변수: 신규채용/전체인력 회귀분석 결과	130
<표 4-28> 종속변수: 숙련수준 회귀분석 결과	131
<표 4-29> 종속변수: 전반적 만족도 회귀분석 결과	132
<표 4-30> 종속변수: Ln(1인당 매출액) 회귀분석 결과	133
<표 4-31> 종속변수: Ln(채용규모+1) 회귀분석 결과	135
<표 4-32> 종속변수: 신규채용/전체인력 회귀분석 결과	136
<표 4-33> 종속변수: 숙련수준 회귀분석 결과	137
[그림 1-1] 연구 모형	6
[그림 2-1] 불공평 회피(Inequity aversion)에 기반한 선호	36
[그림 3-1] 생산시스템과 제안임금(선택권이 없는 경우)	69
[그림 3-2] 생산시스템과 제안임금(선택권이 있는 경우)	69
[그림 3-3] 생산시스템과 요구노력(선택권이 없는 경우)	70
[그림 3-4] 생산시스템과 요구노력(선택권이 있는 경우)	70
[그림 3-5] 생산시스템과 제안 노동분배율(선택권이 없는 경우)	71
[그림 3-6] 생산시스템과 제안 노동분배율(선택권이 있는 경우)	71
[그림 3-7] 1단계에서의 노력지출 수준별 선택권 비중	78
[그림 3-8] 1단계 & 2단계에서의 노력지출 수준별 선택권 비중	79
[그림 3-9] 3단계에서의 노력지출 수준별 선택권 비중	7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숙련과 고용-공정성에 기반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를 중심으로 2016.01.01~2016.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