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국내 환경 분석 12
<표 2-2> 1차 및 2차 ODA 중점 협력국 비교 13
<표 2-3> 상호 이익 추구 활동 예시 17
<표 2-4> 세계은행 직업교육훈련 분야 지원 규모 25
<표 2-5> 세계은행 아시아 지역 직업교육훈련 추진 사업(2012~2016, 승인 기준) 26
<표 2-6> 아시아개발은행 직업교육훈련 분야 지원 규모 27
<표 2-7>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2011~2017) 37
<표 2-8> 국가별 4대 중점 협력 분야 도출(안) 38
<표 2-9> 기술 인력 양성 TVET 역량 강화 사업 추진 실적 39
<표 2-10> TVET 분야 ODA 추진 실적 41
<표 2-11> 2017년도 개발협력 구상 사업 예산 및 세부 현황(1) 42
<표 2-12> 2017년도 개발협력 구상 사업 예산 및 세부 현황(2) 44
<표 2-13> 유․무상 원조 지원 실적(라오스, 1987~2013) 46
<표 2-14> KOICA의 무상원조(라오스, 1991~2014) 47
<표 2-15> KOICA의 라오스 사업 분야별 지원 현황(1) (1991~2014) 48
<표 2-16> KOICA의 라오스 사업 형태별 지원 현황(2) (1991~2014) 49
<표 2-17> KOICA의 프로젝트 사업 추진 실적(1991~2014) 49
<표 2-18> 유․무상 지원 실적(미얀마, 1987~2013) 52
<표 2-19> 무상원조 지원 실적(미얀마, 1991~2014) 53
<표 2-20> ODA 지원 실적(방글라데시, 1987~2013) 56
<표 2-21> 유상원조 지원 실적(방글라데시, 1991~2014) 57
<표 2-22> 무상원조 지원 실적(방글라데시, 1991~2014) 57
<표 2-23> 한국의 대(對)방글라데시 지원 추이(2010~2014) 58
<표 2-24> 한국의 대(對)방글라데시 분야별 지원 현황(2010~2014) 58
<표 2-25> 유․무상 원조 지원 실적(베트남, 1987~2013) 62
<표 2-26> 유상원조 지원 실적(베트남, 1991~2013) 63
<표 2-27> 무상원조 지원 실적(베트남, 1991~2014) 63
<표 2-28> 베트남의 ODA 수원 추이(2004~2013) 64
<표 2-29> 교육 세부 영역별 베트남 원조 현황(2011~2013) 65
<표 2-30> ODA 지원 실적(스리랑카, 1987~2013) 67
<표 2-31> 유상원조 지원 실적(스리랑카, 1991~2014) 68
<표 2-32> 무상원조 지원 실적(1991~2014) 68
<표 2-33> ODA 지원 실적(인도네시아, 1987~2013) 70
<표 2-34> 유상원조 지원 실적(인도네시아, 1991~2014) 71
<표 2-35> KOICA의 무상원조 지원 실적(인도네시아, 1991~2014) 71
<표 2-36> 한국의 對인도네시아 분야별 지원 현황(2010~2014) 72
<표 2-37> ODA 지원 실적(캄보디아, 1987~2013) 74
<표 2-38> 유상원조 지원 실적(캄보디아, 1991~2014) 74
<표 2-39> 무상원조 지원 실적(캄보디아, 1991~2014) 75
<표 3-1> 주요 조사 내용 80
<표 3-2> 응답자 및 표본 국적 82
<표 3-3> 한국 ODA 사업 참여 경험 83
<표 3-4> 참여 ODA 사업 명칭 83
<표 3-5> 한국 ODA 사업 인지도 85
<표 3-6> 응답자 국적별 한국 ODA 사업 인지도 85
<표 3-7> 한국 직업교육훈련 분야 ODA 사업 만족도 86
<표 3-8> 응답자 국적별 한국 ODA 사업 만족도 87
<표 3-9> 한국 ODA 사업 목표 달성 분야 88
<표 3-10> ODA 필요 분야 89
<표 3-11> 응답자 국적별 ODA 필요 분야 90
<표 3-12> 한국 ODA 사업의 문제점 92
<표 3-13> 한국 ODA 사업의 문제점(1+2+3순위 종합) 93
<표 3-14> 참여 경험에 따른 한국 ODA 사업 목표 달성 분야 94
<표 3-15> ODA 지원 사업 수행의 적절성 95
<표 3-16> 응답자 국적별 ODA 지원 사업 수행의 적절성 97
<표 3-17> 한국의 ODA 지원 사업 개선 필요 사항 98
<표 3-18> 응답자 국적에 따른 ODA 개선 필요 사항 101
<표 3-19> ODA 사업 관련 제안 사항 102
<표 4-1> 면담조사 항목 108
<표 4-2> 면담 대상자 및 면담 기관 108
[그림 1-1] 연구 추진 절차 6
[그림 2-1] 국제개발협력 환경 주요 변화 15
[그림 2-2] ODA와 TOSSD 비교: 지원 범위 16
[그림 2-3] 한국의 다자 시스템에 할당된 ODA 비중 31
[그림 2-4] 한국의 시민사회단체(CSOs)에 할당하는 양자 ODA 32
[그림 2-5] 한국의 상위 수원국에 대한 양자 ODA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