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산업발전-직업교육훈련 연계 모델 연구
A study on a Koreanized link model between industrial development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저자
- 박태준 손유미 전재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6-1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6.10.31
- 등록일
- 2017.01.0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목적과 범위 3 제2절 연구 방법 6 제2장 1960~1970년대 산업발전의 재구성_23 제1절 1960~1970년대의 산업 구조 28 제2절 국가의 경제발전 전략 수립 35 제3장 1960~1970년대 직업교육 훈련제도 정책의 재구성_43 제1절 직업훈련제도 정책의 재구성 45 제2절 실업계 학교 교육 정책의 재구성 62 제4장 사례 분석을 통한 1960~1970년대산업발전과 직업교육훈련의 관계_81 제1절 포항제철 직업훈련소의 사례 84 제2절 현대중공업 직업훈련소의 사례 90 제3절 사례에서 나타나는 관계분석 97 제5장 한국형 산업발전-직업교육훈련 연계 모델_101 제1절 한국의 산업 발전 모델(Modelization) 103 제2절 기반과 표층의 복합적 구조(Structuralization) 109 제3절 모델 실행 과정에서의 재원 조달(Capitalization) 117 제4절 인적 자원의 개발과 공급(HRD) 123 제6장 결론 및 시사점_129 제1절 결론 131 제2절 개발도상국에 줄 수 있는 시사점 134 SUMMARY_141 참고 문헌_143 부 록_149 부록 1. 한국형 산업발전-직업교육훈련 연계 모델 연구 수행을 위한 면담 질문지 151
본 연구에서는 먼저 1960년대와 1970년대 산업 구조의 변화를 포착한다. 이 시기는 한국의 경제 구조가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 중심으로 변화하는 시기인데, 이른바 기간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집중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산업 구조의 변화에 맞춰 직업교육훈련제도 또한 변화하였는데, 이는 변화한 산업 구조에 맞게 인력을 공급하고자 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에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직업교육훈련제도의 변화에 대해 파악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실제 ODA 사업 수행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형태(한국어, 영어, 불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 버전)로 개발하여 개발도상국, 우리나라 ODA 관련 기관 및 전문가, ODA 관련 국제 기구 등에 제공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원래 3개년 연속 연구로 계획한 것이다. - 제1차년도: 한국형 산업발전-직업교육훈련 연계 모델 연구 ( I ) : 1960년대와 70년대를 중심으로 (또는 제1~4차 경제개발 시기를 중심으로) - 제2차년도: 한국형 산업발전-직업교육훈련 연계 모델 연구 ( II ) : 1980년대 초반부터 IMF까지 - 제3차년도: 한국형 산업발전-직업교육훈련 연계 모델 연구 ( III ) : IMF 이후 우리의 연구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찾아갈 개발도상국들의 발전 단계는 국가 별로 매우 상이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복합적이며 단절적인 경험을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하였고, 본고에는 제1차년도만을 연구 대상으로 채택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sugge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s education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s education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o a lot of attention, which has been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key elements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f ways to connect. Howev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does not exis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new model of relationship between Korea's economic stage of developmen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analysis in some relationships with industrial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developing countries in this relationship. To sum up this study as follows : ...
<표 1-1> 한국의 ODA 지원 현황 4 <표 1-2> 시기별 산업 구조와 직업교육훈련의 관계 형태 13 <표 2-1> 중화학공업화의 진전 추이 34 <표 3-1>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기간 중의 기술계 인력 수요 추계 49 <표 3-2> 공고 교육과정 중 교과의 편제 50 <표 3-3> 제도 도입 초기의 연도별, 형태별 직업훈련 추이 56 <표 3-4>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기간 중의 직업훈련 실적 56 <표 3-5> 제3·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기간 중의 기능사 양성 실적 60 <표 3-6> 실업교육 정책의 변천(광복 이후-1970년대) 63 <표 3-7> 1950년대 기술학교 관련 통계 65 <표 3-8> 유형별 특성화 공고의 목적 및 학교 수(1978) 70 <표 3-9> 기계 공고와 일반 공고의 학생 1인당 학습비 비교 71 <표 3-10> 1979년 기계 공업 고등학교 현황 72 <표 3-11> 일반공고와 기계공고의 교육과정 단위 수 비교(3년) 73 <표 3-12> 인천기계공고 학급 편제 개편(1976년) 74 <표 3-13> 1976년 기계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 이수 단위표 75 <표 3-14> 1960~1970년대 경제 정책과 직업교육훈련제도 정책 시기 비교 78 <표 4-1> 면담자 정보 84 <표 4-2> 포항제철 직업훈련소 출신 사원 구성비(1979년 6월) 86 <표 4-3> 포항제철 직업훈련소 시설 현황 88 <표 4-4> 연도별 훈련생 양성 실적(현대중공업) 92 <표 5-1> 1960∼1970년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정리 110 <표 5-2> 제조업의 성장요인 분석 결과 : 1967-1996 112 <표 5-3> 1967~1971년 직업훈련소 설치 현황 126 [그림 1-1] 규모별 활동 소재 기구 분류 17 [그림 1-2] 앙트르프랑드르의 단계들 20 [그림 1-3] 1960∼1970년대 산업발전과 직업교육훈련 관계분석의 세 가지 축 21 [그림 2-1] 1인당 GDP 국제 비교 26 [그림 2-2] GDP 국제 비교 27 [그림 2-3] 1960년대 산업별 성장률 추이 29 [그림 2-4] 1960년대 산업별 국내 총생산 비중 추이 30 [그림 5-1] 산업 구조의 변화: 도약형 산업 구조 111 [그림 5-2] 기간산업에서의 기반과 표층 114 [그림 5-3] 경부고속도로와 산업의 관계(기반과 표층) 115 [그림 5-4] 산업-교육 연계 모델 116 [그림 6-1] 알제리 파일럿 공단 내 직업교육훈련복합센터 13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한국형 산업발전-직업교육훈련 연계 모델 연구 | 2016.01.01~2016.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