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 청년 취업자의 일, 학습, 삶에 대한 종단적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ies of Young Workers: Work, Learning, and Lif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 저자
- 임언 김지영 박동열 임해경 정혜령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6-1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6.10.31
- 등록일
- 2017.01.0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8 제2장 고졸 청년 취업자의 일, 학습, 삶에 대한 선행 논의_15 제1절 고졸 청년 취업자의 일에 대한 선행 논의 17 제2절 고졸 청년 취업자의 학습에 대한 선행 논의 35 제3절 한국 20대 청년의 삶에 관한 선행 논의 54 제3장 내러티브 탐구의 특징과 주요 과정_59 제1절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 61 제2절 내러티브 탐구의 과정 64 제4장 고졸 청년 취업자의 일, 학습, 삶에 대한 이야기_79 제1절 “진정 내가 원하는 일을 하며 살래요”, 효주 씨 이야기 81 제2절 “직장은 안정적인데 삶이 답답해요”, 샛별 씨 이야기 92 제3절 “버틸 만했으니 버텼죠”, 남양 씨 이야기 103 제4절 “이제는 좀 인정받습니다”, 정왕 씨 이야기 113 제5절 “나름 잘 살아왔어요”, 새롬 씨 이야기 124 제6절 꿈과 현실을 조율해가고 있는 홍미 씨 134 제7절 “요리사의 길을 갈래요”, 석현 씨 이야기 148 제8절 “나에게 맞는 직장은 어디 있을까”, 승길 씨 이야기 159 제9절 자신만을 위한 선택 앞에 선 효섭 씨 170 제10절 “두근두근 신나는 인생, 하고 싶은 일이 많아요”, 미선 씨 이야기 182 제11절 “이만하면 많이 번 거 아닙니까?”, 주영 씨 이야기 193 제12절 “내 삶은 소중해요”, 단비 씨 이야기 205 제13절 “갈 데까지 가보겠다”, 혜정 씨 이야기 218 제14절 결핍을 채우기 위한 자기관리, 소영 씨 이야기 229 제15절 강인한 의지와 열정의 진국 씨 이야기 240 제16절 내러티브 탐구 과정에 대한 이야기 252 제5장 고졸 청년 취업자 내러티브의 공명_265 제1절 고졸 청년 근로자의 일에 관한 공명 268 제2절 고졸 취업자의 학습에 관한 공명 292 제3절 일과 학습의 매개 상황으로서의 삶 308 제6장 논의 및 제언_323 제1절 정책적 시사점 논의 및 제언 325 제2절 종단적 내러티브 탐구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 339 SUMMARY_343 참고문헌_347 부 록_359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한 20대 청년이 일하고 배우면서 살아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데 있다. 특히, 20대 청년 취업자가 일터에서 학습하고 경력을 개발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고졸 청년들의 학습과 경력개발 과정에서 작용하는 제도, 사회문화, 개인의 특성들이 연관되면서 작용하는 측면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성인으로서 독립하려고 애를 쓰는 역동적인 과정인 20대에 속한다는 것이 고졸 취업자의 삶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도 염두에 두고자 한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일, 학습, 삶이 교차하는 20대 고졸 취업자의 삶을 학습과 경력개발 과정에 비중을 두고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졸 취업자의 내러티브를 탐구하고자 한다. 내러티브 탐구 방법은 청년 취업자들의 생생한 경험을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내러티브와 가족 관련 내러티브에 초점을 맞추면서 들여다볼 수 있게 할 것이다(Clandinin, Steeves, Li, et al., 2010). 내러티브 탐구 과정에서 고졸 청년 취업자의 직장, 학습 공간, 그리고 가정에서 사람들과의 관계가 어떻게 작용하며, 그가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살아내었는가를 함께 이야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 근로자의 일과 학습과 삶에 대한 내러티브를 그의 내러티브의 전경이 되는 가족적,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맥락과 함께 연관지어, 어떻게 이들의 경험이 형성되는지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이해하도록 하고자 한다. 고졸 취업을 장려하는 정책 속에 많은 청년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취업을 했으나, 이들이 노동시장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고졸 취업자라는 것으로 인하여 어떻게 그들의 삶이 형성되어 가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 policies for encouraging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o enter the labor market instead of pursuing the higher education have been evaluated as effective. The employment rat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s increased while the rate of advancement to the higher education right afte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ion has decreased. Nonetheless, at the individual level, it is not quite clear whether entering the labor market giving up or postponing higher education is a wise decision in the long term perspective.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reality of life of young workers after gradu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work, learning, and life of young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working, learning and living of young workers in a wholistic way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ir lives. ...
<표 1-1> 전문가 협의회 내용 10 <표 2-1>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산업별 분포 19 <표 2-2>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직업별 분포 20 <표 2-3>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사업체 규모 분포 21 <표 2-4> 20대 청년을 위한 취업 및 직업능력개발 사업 현황 28 <표 2-5> 교육 및 훈련을 받지 않은 이유 36 <표 2-6> 학력에 따른 교육훈련 참여 여부 37 <표 2-7> 교육훈련 방법에 따른 학력별 참여 여부 37 <표 2-8> 교육훈련 참여가 직무 능력에 미친 효과 38 <표 2-9> 훈련 참여 여부에 따른 월 근로소득임금 차이 39 <표 2-10> 학력별 훈련 참여 여부에 따른 직장 만족도 40 <표 2-11> 학업과 재직 상태,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20대 청년의 유형 55 <표 3-1> 내러티브 탐구 연구진 65 <표 3-2> 연구 참여자 기본 특성 66 <표 3-3> 연구 참여자 개인 특성 67 <표 3-4> 연구자 A의 사전 질문 목록 69 <표 3-5> 연구진 공유 회의 72 <표 3-6> 내러티브 탐구 진행 원칙 73 <표 5-1> 일에 관한 공명 주제 268 <표 5-2> 연구 참여자들의 직장 이동 285 <표 5-3> 학습에 관한 공명 주제 292 <표 5-4> 삶에 관한 공명 주제 308 [그림 1-1] 내러티브 탐구 진행 과정 13 [그림 2-1] 고졸 채용 확대의 유형별 분포 22 [그림 2-2] 조직사회화 과정에서 적응의 선행사건과 결과물 34 [그림 2-3] 직업계 고교의 연도별 진학률 변화 44 [그림 3-1] 연구자 B의 질문 목록 1 71 [그림 3-2] 연구자 B의 질문 목록 2 71 [그림 3-3] 석현 씨의 연보 75 [그림 5-1] 고졸 청년 취업자의 후진학 결정 요인 33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고졸 청년 취업자의 일, 학습, 삶에 대한 종단적 내러티브 탐구 | 2016.01.01~2016.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