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역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역할 강화 방안

A Study on Strengthening the roles of CCEI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Regional Universities
저자
박동 강일규 정지선
분류정보
기본연구(2016-2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2.31
등록일
2017.01.16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7
제2장 제4차 산업 혁명과 창작 운동의 이론적 논의 및 분석 틀_11
제1절 제4차 산업 혁명 및 창조경제의 이론적 검토	13
제2절 창작 운동과 창업 패러다임의 전환	19
제3절 창작자(maker) 창업 생태계의 분석 틀	24
제3장 창조경제혁신센터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_37
제1절 창조경제혁신센터의 현황	39
제2절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문제점	59
제4장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지역대학 간 연계 실태 분석_63
제1절 조사 개요	65
제2절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지역대학 간 연계 실태	69
제3절 분석의 시사점	104
제5장 주요국의 창작 운동 사례 분석_107
제1절 미국 캘리포니아 주 테크숍 사례 분석	109
제2절 독일 뮌헨 메이커 스페이스 사례 분석	122
제3절 중국 선전 중창공간 사례 분석	135
제4절 시사점	143
제6장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역할 강화를 위한 정책 제언_149
1. 창조센터의 입지 재선정 및 정체성 확립 모색	151
2. 지역 허브 창작 공간화를 통한 창조센터의 역할 강화	154
3. 대학 내 창작 공간 조성 및 전문 창작자 양성	155
4. 창작 운동과 청년 창업 간 연계 강화 	156
5. 창조센터와 대학 창업교육 간 연계 강화	157
6. 글로벌 연계를 통한 청년 창업 촉진	158
SUMMARY_161
참고 문헌_167
부록_175
  본 연구는 제4차 산업 혁명이 가속화되고 있는 조건 속에서 지역대학과 창조센터 사이의 긴밀한 연계 시스템 구축을 통해 지역 산업의 재도약과 신산업의 발전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창의적 창작자들을 양성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창조센터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역할과 기능을 재검토한 이후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지역대학과 창조센터의 역할 분담을 통해 창작자들이 주도하는, 적은 비용에 위험 부담도 적은 창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actical measures to cultivate creative makers who can lead the development of new industries and the re-takeoff of existing manufacturing industries through the collaboration between Center for Creative Economy and Innovation(CCEI) and regional universities under the conditions of acceler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we tried to find sustainable development ways after we reviewed the roles and functions of existing CCEI. In particular, we seeked various ways to activate a new entrepreneurship model which could lessen the costs of starting an innovative business and the risks of failure. ...
<표 1-1> 전문가 자문 회의 개최 현황	10
<표 3-1>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현황	42
<표 3-2> 지역 혁신 거점을 위한 주요 연계 기능	46
<표 3-3> 창조센터의 창업 허브로서의 주요 기능	47
<표 3-4>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리적 위치	53
<표 3-5> 지역별 창조센터와 대학 간 교류 협력 현황(2016. 11월 기준)	54
<표 4-1>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원 서비스 현황	65
<표 4-2> 주요 조사 내용	66
<표 4-3> 응답자 특성	67
<표 4-4> 창조경제혁신센터 방문 빈도	69
<표 4-5> 창조센터의 창업 관련 장비와 창작 공간 제공	70
<표 4-6> 창업 활동에 필요한 인적 네트워크 및 멘토링 제공	71
<표 4-7> 창조센터의 기능/역할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72
<표 4-8> 사업화 지원 역할의 적절성 여부	73
<표 4-9> 기업의 혁신 촉진 역할 수행 정도	74
<표 4-10> 지역대학과 창조센터 간 협력 정도	75
<표 4-11> 창조센터의 지역대학 인프라 효과적 연계・활용 여부	76
<표 4-12> 지역대학과 창조센터 간 연계 사업 운영 여부	77
<표 4-13> 향후 가까운 시기 창업 계획 여부	78
<표 4-14> 새로운 아이디어 발굴에 있어서의 역할 정도	78
<표 4-15> 청년 창업의 허브 역할 수행 여부	79
<표 4-16> 지역대학과의 연계를 위한 지리적 위치의 적합성	80
<표 4-17> 창조센터와 지역대학의 연계를 통한 창업교육 수행 정도	81
<표 4-18> 창조센터 창업교육의 실제 창업 도움 정도	82
<표 4-19> 창조센터 이용을 통한 창업 마인드 제고 여부	83
<표 4-20> 창업교육이 부진한 이유	84
<표 4-21> 실제 창업을 위한 교육에서 가장 필요한 사항	85
<표 4-22> 창작 공간(maker space)을 활용해 본 경험	86
<표 4-23> 창조센터의 시제품 제작을 위한 장비/공간 제공 시 활용 의사	86
<표 4-24> 창조센터의 창작 장비(tools) 제공 정도에 대한 인식	87
<표 4-25> 3D프린터, 레이저 커터 등 창작 장비 활용 여부	88
<표 4-26> 창작 관련 장비 교육을 받아 본 경험	88
<표 4-27> 창조센터와 대학 간 전문가 풀 공유 및 인적 네트워크 구축	90
<표 4-28> 우리나라에서 아이디어만으로 제품 생산 가능 여부	91
<표 4-29> 우리나라의 창작 운동(maker movement) 활성화 정도	92
<표 4-30> 창작자(maker)가 되고자 하는 의향	93
<표 4-31> 창조센터와 지역대학 중 창작 운동 주도 적합 여부	94
<표 4-32> 크라우드펀딩 인지 정도	95
<표 4-33> 청년 창업이 가능한 여건 조성 여부	96
<표 4-34> 주변의 창업 성공 사례 존재 여부	97
<표 4-35> 우리나라 청년 창업의 활성화 정도	97
<표 4-36> 창조센터 또는 지역 유관 기업의 대학생 창업 지원 참여 여부	98
<표 4-37> 정부의 창업 정책(창조센터 기능 등)의 실효성 여부	99
<표 4-38> 전체 응답자의 요인별 기술 통계 결과	100
<표 4-39> 창조센터와 대학 간 협력에 대한 상관 분석 결과	101
<표 4-40> 창조센터와 대학 간 협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결과	101
<표 5-1> 미국 실리콘밸리 테크숍의 교육 프로그램	115
<표 5-2> 독일의 5대 수요 분야 10대 미래 프로젝트	123
<표 5-3> 기존의 인더스트리 4.0과 새로운 플랫폼 인더스트리 4.0 비교	131
<표 5-4> 독일 메이커 스페이스 회비	134
[그림 1-1] 지역 내 창작 공간 연계 개념도	6
[그림 2-1] 제4차 산업 혁명을 추동하는 핵심 기술	17
[그림 2-2] 제4차 산업 혁명과 창작 운동의 연계 개념도	19
[그림 2-3] 기술 변화와 창업 패러다임의 변화	20
[그림 2-4] 창작자 창업 생태계의 분석 틀	24
[그림 3-1] 창조경제혁신센터 개념도	40
[그림 3-2]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산・학・연・관 연계	41
[그림 5-1]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테크숍의 연계 구조	114
[그림 5-2] 인더스트리 4.0을 촉진하는 기술 틀	125
[그림 5-3] 독일 뮌헨 메이커 스페이스의 연계 구조	132
[그림 5-4] 중국 선전 대학 창신 창업 기지의 연계 구조	140
[그림 6-1] 제4차 산업 혁명과 연계한 글로벌 창업(예시)	15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지역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역할 강화 방안 2016.06.01~2016.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