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산업교육센터의 역할과 설치·운영 방안

A Study on Establishment Plan of National Industrial Education Center
저자
정지선 박동 김호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6-4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2.24
등록일
2017.02.02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7
제2장 「산학협력법」과 산업교육센터 설치 제안 배경_11
제1절 산업교육에 대한 개념 논의	13
제2절 산업교육 진흥과 산업교육센터에 관한 법적 근거	19
제3절 산업교육기관의 기능	23
제3장 산업교육의 현황과 과제_27
제1절 대학 산업교육 인프라 현황	30
제2절 정부의 산업교육 정책 현황	43
제3절 산업교육의 성과와 과제	72
제4장 제4차 산업혁명과 산업교육의 방향_87
제1절 제4차 산업혁명의 특징과 트렌드	89
제2절 노동시장 패러다임의 변화 	93
제3절 산업 유형의 변화와 발전	96
제4절 산업교육의 방향	105
제5장 산업교육센터의 역할과 설치운영 방안_113
제1절 산업교육센터의 역할 정립	115
제2절 산업교육센터의 주요 업무	122
제3절 산업교육센터 설립・운영 방안	129
제4절 기대 효과	134
SUMMARY_137
참고문헌_143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산업발전을 주도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산업교육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산?학?연 협력을 통한 산업 진흥을 위해 산업교육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교육의 발전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둘째, 유망산업 분야의 발전을 위한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산업교육센터가 담당해야 할 기능과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산업교육센터가 원활하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산?학?연 협력 강화 방안을 비롯한 제반 여건 조성과 구축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carried on to achieve two goals. One is to define the role and functions that Industrial Education Center is expected to perform. The other goal is to suggest plans to establish and manage the Industrial Education Center to carry forward future demand pursuing industrial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Analyzing the needs of promising industries, partnership of industry, academia,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 would be emphasized in the context. ...
<표 2-1> 고용률과 창업능력 인지비율의 상관관계	22
<표 2-2> 선진국의 창업교육 현황 	22
<표 3-1> 기술지주회사 및 자회사 설립 현황 	40
<표 3-2> 시기별 산학협력 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51
<표 3-3> 창업교육 3대 전략과 8대 과제 	61
<표 3-4> 산업교육 및 산학협력의 부처별 지원 사업 추진 현황	76
<표 3-5> 대학 내 창업교육 전담조직 현황	80
<표 4-1> 지역특화 융합전자기기 산업인력양성 교육	97
<표 4-2> IT 기계 분야와 ICT분야 접목 융합 앱과 IT 융합 앱교육	98
<표 4-3> 미국 테크숍 운영 장비	103
<표 4-4> 중국 시드스튜디오의 운영 장비 	104
<표 4-5> 일본 메이크 아키바 운영 장비	105
[그림 3-1] 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32
[그림 3-2] 청년, 학생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Bridge	33
[그림 3-3]  교육부 사업구조 개편(안)	57
[그림 3-4] 청년취업아카데미 교육과 취업 과정	63
[그림 3-5] 창업선도대학 고도화 정책방향 및 과제	66
[그림 3-6]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역할과 기능	70
[그림 3-7] 창업・성장 단계별 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기업의 역할	72
[그림 3-8] 선순환 구조 학생창업 생태계	86
[그림 5-1] 산업교육센터의 위상과 역할	118
[그림 5-2] 산업교육센터의 역할과 수행 방안	128
[그림 5-3] 산업교육센터의 조직 구성(연구진 작성)	13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산업교육센터의 역할과 설치·운영 방안 2016.08.25~2016.12.24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