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박사조사(2016) : 국내신규박사학위취득자 실태조사

저자
송창용 이은혜 김혜정 오호영
분류정보
기본사업(2016-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2.31
등록일
2017.02.09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박사조사
요 약
제1부  사업 개요
   제1장 서론_3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5
	제2절 사업의 주요 내용	7
	제3절 박사조사 연혁	11
   제2장 실사 및 DB 구축_21
	제1절 조사 설계	23
	제2절 조사 준비 및 실사	28
	제3절 온라인 설문 시스템 구축	37
	제4절 데이터 클리닝 및 DB 구축	46
   제3장 5차 연도 사업 성과_57
	제1절 기초 분석 보고서 작성	59
	제2절 정책 연구 및 자료 활용 현황	60
	제3절 언론 보도 현황	60
   제4장 6차 연도 조사 준비 및 향후 계획_67
제2부  박사조사(2016) 기초분석
   제1장 조사 결과 개요_75
   제2장 박사학위 과정 및 연구 성과_83
	제1절 박사학위 과정	85
	제2절 연구 성과	95
   제3장 노동시장 이행 성과_103
	제1절 취업 상태	105
	제2절 취업자	108
	제3절 비정규직 및 미취업자 	122
   제4장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_129
	제1절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	131
   제5장 박사후과정(Post-doc) 및 시간강사_135
	제1절 박사후과정(Post-doc)	137
	제2절 시간강사	142
제3부  박사조사 이슈 분석
   제1장 생명과학 분야의 박사인력 양성 실태와 재정 지원_147
   제2장 이공계 신규국내박사학위취득자의 노동시장 이행실태_159
   제3장 여성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 실태_177
참고문헌_189
부   록_191
   1. 박사조사(2016)에 대한 협조 공문	193
   2. 2016년도 박사조사 시행 계획(안)	194
   3. 박사조사(2016) 국/영문 설문지	199
   4. 변수 레이아웃	213
   5. 온라인 조사 시스템 사용 매뉴얼(응답자용/대학담당자용)	218
   6. 박사조사 지표집(2012~2016)	230
본 사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박사급 고급 인적 자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 및 제공
 - 장기간에 걸친 전수 조사로 박사의 양성-배분-활용에 대한 신뢰성 있고 시의적절한 통계 데이터 생성 
 - 국가 고급 인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
최근 배출되는 국내 박사 인력에 대한 실태 분석 및 비교
 - 성별, 지역별, 전공계열별 등으로 박사 인력 양성 및 공급 실태를 분석
 - 국내 박사의 장기간 조사를 통해 박사 인력의 경제 활동 상태 등을 분석
제1부  사업 개요
<표 2-1> 국내외 박사조사 관련 설문 주요 내용	24
<표 2-2> 박사조사(2016) 설문 변경 사항	25
<표 2-3> 박사조사(2016) 설문 주요 내용	27
<표 2-4> 박사조사(2016) 기관별 업무	29
<표 2-5> 박사조사(2016) 명부 및 설문지 제출 현황	34
<표 2-6> 용역업체 선정 일정	46
<표 2-7> 변수 레이아웃 예시	50
<표 3-1> 박사조사(2013-2016) 언론 보도 현황	61
<표 4-1> 박사조사(2017) 기관별 업무	70
제2부  박사조사(2016) 기초분석
<표 1-1> 응답자의 성별 분포	77
<표 1-2> 응답자의 전공계열별 분포	78
<표 1-3> 응답자의 연령별 분포	78
<표 1-4> 응답자의 지역별 분포	79
<표 1-5> 응답자의 성별・전공계열별 분포	80
<표 1-6> 응답자의 성별・지역별 분포	80
<표 1-7> 응답자의 성별・연령별 분포	81
<표 2-1> 응답자 특성별 입학에서 수료까지 학업 전념 여부	88
<표 2-2> 응답자 특성별 휴학 경험 유무	90
<표 2-3> 응답자 특성별 휴학 사유	92
<표 2-4> 응답자 특성별 박사 과정 중 총 학비 지출 현황	94
<표 2-5> 응답자 특성별 박사 과정 중 학술지 논문 게재 수	97
<표 2-6> 응답자 특성별 프로젝트 참여 경험	100
<표 3-1> 응답자 특성별 경제 활동 상태	107
<표 3-2> 응답자 특성별 종사상 지위	110
<표 3-3> 응답자 특성별 재직 직장 유형	115
<표 3-4> 응답자 특성별 취업(예정)자의 현 직종	116
<표 3-5> 응답자 특성별 현재 연봉 수준	119
<표 3-6> 응답자 특성별 업무와 전공과의 관련 정도	122
<표 3-7> 응답자 특성별 선호 직장의 종류(1순위)	124
<표 3-8> 응답자 특성별 직장 선택 시 고려 사항	126
<표 3-9> 응답자 특성별 희망 연봉	128
<표 4-1> 응답자 특성별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	131
<표 5-1> 응답자 특성별 박사후과정 계획 유무	139
<표 5-2> 박사후과정 후 한국으로 돌아올 계획	140
<표 5-3> 응답자 특성별 희망 시간강사 유형	143
제3부  박사조사 이슈 분석
<표 1-1> 한국과 미국의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금	157
<표 2-1> 신규 국내박사학위취득자 인적 특성(전체)	162
<표 2-2> 신규국내박사학위취득자 인적 특성(이공계열)	163
<표 2-3> 이공계 박사학위취득자 박사 과정 진학 목적	165
<표 2-4> 신규국내박사학위취득자 학비 재원 	166
<표 2-5> 이공계 박사학위취득자의 고용률 추이	167
<표 2-6> 박사학위취득자의 경제 활동상태(학업전념자)	169
<표 2-7> 이공계 박사학위취득자 취업자의 직장 유형(학업전념자)	171
<표 2-8> 이공계 박사학위취득자 취업자의 연봉 분포(학업전념자)	172
<표 2-9> 박사학위취득자 해외 취업(이직 포함) 및 이주 계획	173
<표 2-10> 이공계 박사학위취득자 박사후과정 국가	174
<표 3-1> 박사학위 전공 현황	180
<표 3-2> 신규 박사학위자 연령별 현황	180
<표 3-3> 신규 박사학위자 지역별 현황	181
<표 3-4> 신규 박사학위자 고용상태별 현황	182
<표 3-5> 신규 박사학위자 일자리 유형별 현황	183
<표 3-6> 신규 박사학위자 직장형태별 현황	184
<표 3-7> 신규 박사학위자 연간소득별 현황	185
<표 3-8> 신규 박사학위자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	186
<표 3-9> 신규 박사학위자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 이유	187
제1부  사업 개요
[그림 2-1] 박사조사(2016) 프로세스	31
[그림 2-2] 박사조사 조사표 회수율 추이	35
[그림 2-3] 박사조사(2016) 온라인 시스템 구축 절차	38
[그림 2-4] 박사조사(2016) 온라인 시스템 메인 화면	40
[그림 2-5] 박사조사(2016) 온라인 시스템 로그인 화면	41
[그림 2-6] 박사조사(2016) 온라인 시스템 조사 지원 게시판	41
[그림 2-7] 박사조사(2016) 온라인 시스템 사용자 권한	42
[그림 2-8] 박사조사(2016) 온라인 시스템 명부 관리	42
[그림 2-9] 박사조사(2016) 온라인 시스템 조사표 입력	43
[그림 2-10] 박사조사(2016) 온라인 시스템 내검 수행 화면	44
[그림 2-11] 박사조사(2016) 온라인 시스템 집계 관리 화면	44
[그림 2-12] 박사조사(2016) 온라인 시스템 설문 화면(예시)	45
[그림 2-13] 데이터 클리닝 절차	48
[그림 2-14] 펀칭 및 에디팅 가이드 예시	52
[그림 2-15] 단순 에러 추출 SAS 프로그램 예시	54
[그림 2-16] 로직 에러 추출 SAS 프로그램 예시	55
[그림 4-1] 6차 연도 조사 프로세스	70
제2부  박사조사(2016) 기초분석
[그림 2-1] 박사 과정 진학 이유 	85
[그림 2-2] (외국에서 학사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경우) 한국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유 	86
[그림 2-3] 입학에서 수료까지 학업 전념 여부 	87
[그림 2-4] 휴학 경험 유무	89
[그림 2-5] 휴학 사유	91
[그림 2-6] 박사 과정 중 총 학비 지출 현황	93
[그림 2-7] 박사 과정 중 학비 출처 현황 	95
[그림 2-8] 박사 과정 중 학술지 논문 게재 수 	97
[그림 2-9] 프로젝트 참여 경험 	100
[그림 3-1] 경제 활동 상태	106
[그림 3-2] 구직 계획이 없는 이유	108
[그림 3-3] 종사상 지위	110
[그림 3-4] 직장에서의 일자리 유형	112
[그림 3-5] 박사후과정 또는 전업 시간강사 여부	112
[그림 3-6] 재직 직장 유형	114
[그림 3-7] 현재 연봉 수준	119
[그림 3-8] 업무와 전공과의 관련 정도	121
[그림 3-9] 선호 직장의 종류	124
[그림 3-10] 직장 선택 시 고려 사항	125
[그림 3-11] 희망 연봉 수준	127
[그림 4-1] 국외 거주 계획 이유	132
[그림 4-2] 해외 취업 및 이주 국가	133
[그림 5-1] 박사후과정 계획	138
[그림 5-2] 박사후과정 이수 계획 국가	140
[그림 5-3] 박사후과정 재원	141
[그림 5-4] 전업 시간강사 계획	143
제3부  박사조사 이슈 분석
[그림 1-1] 국내 생명과학 분야 박사 과정 전공 수 	152
[그림 1-2] 전체 및 자연계열 국내 박사 과정 전공 수 대비 생명과학 분야 비중	152
[그림 1-3] 국내 생명과학 분야 박사 과정 입학생 및 졸업생	153
[그림 1-4]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중 생명과학 분야 비중	153
[그림 1-5] 신규 박사학위취득자의 학업전념자와 직장병행자 비율	154
[그림 1-6] 한국과 미국의 생명과학 분야 신규 박사학위취득자의 주요 학비 출처(1순위)	15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박사조사(2016)-국내신규박사학위취득자 실태조사 2016.01.01~2016.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