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R&D 활동 15
<표 1-2> BSC 주요 용어 17
<표 2-1> 정보화 성과관리 분석 세부 기준 24
<표 2-2> 측정도구의 구성개념과 설문 주요 내용 30
<표 2-3> 성과관리 시스템 구성체계 33
<표 2-4> 지표 유형별 정의와 요인 35
<표 2-5> 연구·사업 성과평가 성과지표 37
<표 2-6> 경영 정성평가 평가지표 38
<표 2-7> 과학인프라 부문 구성 항목 39
<표 2-8> 기관별 평가지표 비교 42
<표 2-9> 성과목표-재정사업-성과지표 체계 예시 43
<표 2-10> 2015년도 기상청 성과지표 현황 44
<표 2-11> 2015년도 COSTII 5개 부문별 결과 46
<표 2-12> 종합핵심성과지수(CKPI) 범주와 지표 47
<표 2-13> 전사 성과목표(예시) 49
<표 2-14> 전사 핵심성과지표(KPI)(예시) 50
<표 3-1> 직업능력개발 R&D 업무 수행 기관 현황 71
<표 3-2> 직업능력개발 R&D 유관기관의 업무 영역 분석 77
<표 3-3>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을 위한 측정 영역 분류표 79
<표 3-4> 직업능력개발 R&D 업무 영역에 대한 정의 80
<표 3-5> 지표 유형에 대한 정의 83
<표 3-6> 연구·사업(R&D) 활동 정의 84
<표 3-7> 직업능력개발 R&D 성과지표 1차 Pool: R&D 기획·관리 영역 88
<표 3-8> 직업능력개발 R&D 성과지표 1차 Pool: 7대 연구주제 영역 93
<표 3-9> 타당성 검증을 위한 조사 개요 100
<표 3-10> 핵심성과지표(KPI) 선별기준 101
<표 3-11> 직업능력개발 R&D 성과지표 조사표 예시 101
<표 3-12> 각 성과지표의 타당성 검증기준 102
<표 3-13> 업무 영역별 성과지표 수의 변화 104
<표 3-14> 지표 유형별 성과지표 수의 변화 104
<표 3-15> 직업능력개발 R&D 성과지표 2차 Pool: R&D 기획·관리 영역 106
<표 3-16> 직업능력개발 R&D 성과지표 2차 Pool: 7대 연구주제 영역 111
<표 3-17> 교육부 전략목표, 성과목표 vs 성과지표 현황 118
<표 3-18>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전략목표, 성과목표 vs 성과지표 현황 119
<표 3-1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략목표, 성과목표 vs 성과지표 현황 121
<표 3-20> 한국산업인력공단 전략목표, 성과목표 vs 성과지표 현황 122
<표 3-21> 핵심성과지표(KPI) - 연구 기획·관리 124
<표 3-22> 핵심성과지표(KPI) - 주제 영역 128
<표 3-23>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을 위한 KPI-1(예시) 139
<표 3-24>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을 위한 KPI-2(예시) 141
<표 4-1>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을 위한 영역 분류표 151
<표 4-2> PREF 모형(안)의 성과 진단 요소별 지표 유형 구분 153
<표 4-3> 연구 중점 활동 영역 성과지표 예시 158
<표 4-4> 사업 중점 활동 영역 성과지표 예시 159
[그림 1-1] 연구내용 11
[그림 1-2] 연구방법 13
[그림 2-1] 표준성과지표의 기본 틀 22
[그림 2-2] 정보화 성과관리 현황 분석 틀 23
[그림 2-3] 과제평가 업무 프로세스 25
[그림 2-4] 성과관리 과정별 핵심구성요소 27
[그림 2-5] 성과관리를 위한 분석 틀 28
[그림 2-6] 성과관리, 외부의 압력과 PMS의 이용방식 연구 모형 30
[그림 2-7] BSC 관점 체계도 32
[그림 2-8] BSC 관점과 평가기간 36
[그림 2-9] COSTII 설계의 기본 틀 45
[그림 2-10] 전사 경영전략체계도(예시) 48
[그림 2-11] 캐나다의 성과관리제도와 평가제도의 관계 52
[그림 2-12] 메디클러스터 Value-Chain 56
[그림 2-13] 일본 공공 부문 기술이전정책 수립의 기본 철학 58
[그림 3-1]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 수행범위 67
[그림 3-2]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 수행방법 68
[그림 3-3]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 수행절차도 69
[그림 3-4] 직업능력개발 R&D 미션 및 비전 도출 기준 74
[그림 3-5] 직업능력개발 R&D 미션 및 비전 75
[그림 3-6]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 원칙 137
[그림 3-7]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을 위한 수행방법론 138
[그림 4-1] 직업능력개발 R&D 성과혁신 체계 모형(안) 149
[그림 5-1] 국가 차원의 직업능력개발 R&D 성과혁신 체계 구축 모형(안) 164
[그림 5-2] 국가 차원의 직업능력개발 R&D 성과혁신 체계 구축 및 운영 방안(종합)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