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교육법 체제에서 진로교육 추진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e and issues of career education under the Career Education Act 2015.
- 저자
- 서유정 김수원 박천수 정윤경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6-3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6.12.31
- 등록일
- 2017.03.09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6 제3절 선행연구와 용어 정의 10 제4절 기대효과 15 제2장 경제사회구조 변화와 진로교육_17 제1절 청년층 진로선택과 노동시장 이행 19 제2절 산업과 직업세계의 변화와 전망 34 제3절 소결 53 제3장 진로교육의 주요 정책과 추진 현황_59 제1절 학교 교육과정과 진로전담교사 63 제2절 진로교육 콘텐츠 및 지원 인프라 75 제3절 진로체험과 집중학년 ‧ 학기제 85 제4절 소결 101 제4장 학교현장의 진로교육 요구분석_105 제1절 초‧중등학교 진로교육의 여건과 요구 109 제2절 대학교 진로교육의 여건과 요구 122 제3절 진로교육 인프라 관련 여건과 요구 129 제4절 국가진로교육센터 및 진로교육법에 대한 요구 133 제5절 소결 135 제5장 정책 제언_139 제1절 초‧중등 진로교육 강화 142 제2절 고등교육 진로교육 확대 150 제3절 진로교육 지원 인프라 강화 153 제4절 진로교육법 개정 추진 157 SUMMARY_165 참고문헌_169 부 록_179 1. FGI 면담지 181 2. FGI 및 전문가협의회 질적분석 결과 191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각 장별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제1장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점검하고, 연구내용이나 연구방법, 그리고 선행연구와 용어의 정의나 기대효과를 제시하는 등 전체 연구보고서를 개괄하였다. 제2장은 우리나라 경제성장에 따른 산업과 직업세계의 변화 및 첨단기술의 발전에 따른 경제사회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완화 혹은 해소하기 위해 요구되는 진로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과 진로전담인력, 진로교육 콘텐츠 및 지원 인프라, 진로체험과 집중학년?학기제 등 진로교육의 주요 정책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연도별로 진행된 학교 진로교육 실태조사와 2015년 대학취업지원센터 현황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질적 연구를 통해 진로교육법 시행 직후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는 등 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 요구를 점검하였다. 제5장은 보고서의 결론에 해당하는 장으로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진로교육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Since the implementation of Career Education Act at the end of 2015, national interest on career education has been even more greatly increasing. More than 3,200 middle schools adapted Free-Semester programme for the students to explore their potential career paths and informations. However, many of the schools still lack the manpower or the facilities to conduct effective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to that, the role and function of National Career Education Centre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policy for career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examined the state of career education from primary to higher education levels, conducted FGI to receive field opinions, and explored the ways and recommendations to improve current situation. ...
<표 1-1> 교육유형별 특성 12 <표 2-1> 2015년 기준 학교단계별 진로현황 21 <표 2-2> 우리나라 연도별 취학률과 진학률 25 <표 2-3> OECD국가의 연령별 재학생(전일제 및 시간제) 비중(2013년) 28 <표 2-4> 25~34세 과정별 최종교육이 고등학교와 비학위과정인 졸업자의 노동시장 이행(2015년) 31 <표 2-5> 고등교육 졸업자의 전공계열별 분포(2013년) 33 <표 2-6> 연도별 직종별 취업자 비중과 총 취업자 41 <표 2-7> 산업혁명 시기별 발전단계와 특징 44 <표 3-1> 주요 진로교육 추진 정책 62 <표 3-2> 국가교육과정의 진로교육 반영 비교 종합 64 <표 3-3> 중등학교 ʻ진로와 직업ʼ 선택 여부 66 <표 3-4> 중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내 진로활동 배당 시수 66 <표 3-5>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연수 선발 인원(명) 67 <표 3-6> 부전공자격 특별연수 회기별 운영 및 양성인원 현황 68 <표 3-7>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 69 <표 3-8> 진로진학상담교사 학교 배치 현황(2011~2014) 70 <표 3-9> 시도별 중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현황(2014.12.31. 기준) 71 <표 3-10> 진로진학상담교사 학교별 만족도 현황(2014.1.31. 기준) 73 <표 3-11> 진로진학상담교사 학교별 업무 중요도 현황(2014.1.31. 기준) 74 <표 3-12> 커리어넷 회원 수 추이 76 <표 3-13> 커리어넷 이용 현황 : 방문 수, 페이지 뷰, 동시접속자 수 77 <표 3-14> 진로교육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현황(한국직업능력개발원) 78 <표 3-15> 진로체험 유형별 활동내용 86 <표 3-16> 유관기관별 주요 역할 87 <표 3-17> 지역규모별 학생 1인당 체험활동 평균 횟수 90 <표 3-18> 체험활동 영역별 분석 현황 91 <표 3-19> 체험활동 유형별 분석 현황 91 <표 3-20> 체험처 유형별 분석 현황 92 <표 3-21> 시도교육청별 연구학교 지정 현황 98 <표 3-22>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 연구학교의 운영과제 99 <표 3-23> 시도교육청별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 협력학교 현황 99 <표 3-24>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 협력학교의 운영과제 100 <표 4-1> 응답자 특성(FGI 및 전문가협의회) 108 <표 4-2> 세미나 운영 개요 109 <표 4-3> 초‧중등학교의 진로활동실 설치율 110 <표 4-4> 초‧중등학교의 진로활동실 유형 변화 111 <표 4-5>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 112 <표 4-6> 초‧중등학교의 진로교육 내부 인프라에 대한 요구 113 <표 4-7> 초‧중등학교의 진로교육 자료 활용 현황(진로전담교사) 115 <표 4-8> 진로교육 자료 인지 여부(중학교 담임교사) 115 <표 4-9> 진로교육 자료 만족도(진로전담교사) 116 <표 4-10> 학생이 주로 활용하는 진로정보 매체 117 <표 4-11> 초‧중등학교의 진로교육 자료 활용에 대한 요구 118 <표 4-12> 세미나에서 확인된 정보활용 역량 강화의 중요성 119 <표 4-13> 초‧중등학교의 진로교육 관련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요구 120 <표 4-14> 초‧중등학교의 맞춤형 진로교육을 위한 요구 121 <표 4-15> 세미나에서 확인된 진로현실교육의 중요성 122 <표 4-16> 대학재학 중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별 참여자 비중 123 <표 4-17> 취업지원부서의 취업지원 전담직원 현황 124 <표 4-18> 진로 및 취업 프로그램 운영 관련 정책 차원에서 사업 개선의 필요성과 시급성 125 <표 4-19> 취업지원부서 예산_수입 126 <표 4-20> 대학교의 진로교육 내부 인프라 및 교육자료에 대한 요구 127 <표 4-21> 대학교의 진로 관련 교육과정 및 맞춤형 진로교육에 대한 요구 128 <표 4-22> 초‧중등학교의 외부 인프라 활용 현황 129 <표 4-23> 학생들의 취업지원을 위한 기업/기관의 모집 방안(복수응답) 130 <표 4-24> 초‧중등학교의 진로교육 외부 인프라에 대한 요구 132 <표 4-25> 국가진로교육센터의 역할에 대한 요구 133 <표 4-26> 진로교육법의 개정 방향에 대한 요구 134 <표 4-27> 초․중등학교와 대학 진로교육 주요 요구 분석 136 <표 5-1> 정책 추진전략과 세부 정책과제 142 <표 5-2> 생애단계별 고용서비스 160 <부표 1> 초·중등 및 대학교의 진로교육 내부 인프라에 대한 요구 191 <부표 2> 초·중등 및 대학교의 진로교육 자료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요구 194 <부표 3> 초·중등학교의 진로교육 외부 인프라에 대한 요구 196 <부표 4> 초·중등 및 대학교의 진로교육 관련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요구 198 <부표 5> 초·중등 및 대학교의 맞춤형 진로교육을 위한 요구 199 [그림 1-1] 연구 추진 전략 및 절차 9 [그림 2-1] 우리나라 학생의 진로경로 개요(2015년) 22 [그림 2-2] 15~19세 고등학교 단계에서 교육과정별 등록률(2014년) 30 [그림 2-3] 우리나라 경제성장률과 실업률 추이 36 [그림 2-4] 일본의 경제성장률과 실업률 37 [그림 2-5] 산업별 부가가치 생산액 비중 변화 39 [그림 2-6] 제4차 산업혁명 43 [그림 2-7] 미래에 요구되는 직업능력 52 [그림 2-8] 주요국의 1인당 GDP(천 US$) 54 [그림 3-1] 중앙과 지방의 진로교육 협력체계 83 [그림 3-2]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2016~2020년)의 추진체계 84 [그림 3-3] 학교 진로교육 활동별 학생 참여율과 학생 만족도 88 [그림 3-4] 진로체험 유형별 학생 참여율 및 만족도(중학생) 89 [그림 3-5] 진로체험 유형별 향후 참여 희망(중학생) 90 [그림 3-6]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의 개념도 93 [그림 3-7] 초등-중등교육 연계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 운영체계 96 [그림 3-8]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 전반적 운영 절차 97 [그림 3-9] 집중학년‧학기제 시범학교 진로목표 성취도 조사결과 101 [그림 5-1] 입직단계 고용서비스 관련 법률 15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진로교육법 체제에서 진로교육 추진 현황과 과제 | 2016.06.01~2016.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