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연구

A study o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jayuhakije)’
저자
김승보 주휘정 김영식
분류정보
기본연구(2016-3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2.31
등록일
2017.03.09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범위	5
제3절 연구방법 및 절차	8
제2장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의 개념과 체계_11
제1절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의 개념	13
제2절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의 체계 이해	34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45
제3장 진로체험활동의 현장 인식 조사_47
제1절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지원 체계	49
제2절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인프라 및 프로그램	60
제3절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의 확산 및 파급	80
제4절 시사점	87
제4장 진로체험활동 지원 해외 사례 조사_91
제1절 영국-런던 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93
제2절 일본-도쿄 도 사례를 중심으로 	102
제5장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지원 및 발전 방안_115
제1절 발전 방안	117
제2절 제언	127
SUMMARY_133
참고문헌_135
부록_141
1.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연구 수행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설문지	 143
본 연구는 다양한 진로체험활동 중 자유학기제와 연계하여 추진되고 있는 체험활동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한다. 진로체험활동은 평생학습적 관점에서 생애 전반에 걸쳐 진행되는 활동으로 매우 광범위한 연구 영역을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진로체험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여 자유학기제가 상·하위 학교급 혹은 학생 발달 단계에 적합한 진로체험활동을 연계하는 핵심 동인으로 안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자유학기제와 진로체험활동의 개념과 이론적 틀을 검토하였다. 자유학기제가 도입된 배경 및 필요성 그리고 목적을 되짚어 보고, 시범 사업 이후 현재 시점까지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에 있어서의 진로체험활동의 위상과 관계성에 대해 진단해 보고자 한다. 또, 진로체험활동을 운영하기 위하여 학교-지역/국가 협력 체계가 어떻게 작동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구동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둘째, 자유학기제 진로체험활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지원하고 있는 기관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수행되고 있는 활동들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셋째, 해외의 진로체험활동 지원 사례를 찾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현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자유학기제 진로체험활동에 나타난 일련의 시행착오들을 정리하여 우리보다 앞서 유사한 경험을 축적한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과 일본의 사례를 선정하였는데, 이들 두 국가는 진로교육에서 진로체험활동을 강조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두 국가에서는 진로체험활동을 초·중·고등 단계별로 로드맵을 작성하고 각 단계에 맞는 진로체험활동을 제시하여 중등교육 단계에서의 진로체험활동을 강조하는 우리나라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하였다. 또, 각 국가별로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자체 중심의 진로체험활동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지자체 단위에서의 활동 지원을 위한 시사점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해외 사례 분석의 프레임워크는 앞서 제시한 설문 조사의 구조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진로체험활동 지원을 위한 참여기관과 기관 간 협력 관계 등 지원 체계, 재정적·인적 인프라, 프로그램 개발 및 질 관리 그리고 진로체험활동의 확산, 즉 학교급별 수직적 연계를 통한 진로체험 활성화 구조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자유학기제 진로체험활동 지원 및 발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제언을 첨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Free Semester(jayuhakije)’ in Korea, given the fact that Korea has fully implemented ‘free semester (jayuhakije)’ since 2016.
To examin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Free Semester(jayuhakije)’, this study surveys major participants perception for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field in Korea and interview with overseas experts.
This study reviewed results of major participants perception research of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jayuhakije)’. The majority of respondents agree that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jayuhakije)’ have been in progress  satisfactorily.
Given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s with overseas experts in London, England and Tokyo, Japan, Each local government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has made great exertions the quality improvement of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or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Free Semester(jayuhakije)’ in Korea: 1. Building the infrastructure for community-based system(Modeling the organizational community-based ecosystem for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2. Total quality management of programs and contents for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3. Program Operation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for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4. Efforts at spread and impact for promoting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
<표 1-1> 연구 단계별 연구 내용, 방법, 일정	10
<표 2-1> 체험기반학습에서 나타나는 7가지 특징	15
<표 2-2> 진로체험활동 유형(교육부)	23
<표 2-3> 자유학기 실시 중학교의 2학기 계획 체험활동 유형 현황	25
<표 2-4> 역대 정부의 대표적 체험 관련 정책	28
<표 2-5> 자유학기제 체험활동 영역별 프로그램 현황 (2016. 8. 17. 기준)	30
<표 2-6> 유형별 진로활동 참여율(종합)	30
<표 2-7> 유형별 외부기관(학교 밖) 진로활동 참여율	31
<표 2-8> 진로체험지원센터 설립 현황	33
<표 2-9> 일 기반 체험 프로그램의 제도 현황 비교	41
<표 2-10> 자유학기제 유사 해외 제도의 제도 시행 여건 비교	43
<표 2-11> 자유학기제 유사 해외 제도의 제도 시행 내용 비교	43
<표 3-1> 진로체험활동의 기관별 참여와 역할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	53
<표 3-2> 진로체험활동의 협력 체계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	56
<표 3-3> 진로체험활동의 재정 및 예산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	65
<표 3-4> 진로체험활동을 위한 체험처 개발・운영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	69
<표 3-5> 진로체험활동 운영・지원 인력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	75
<표 3-6> 진로체험활동의 확산 및 파급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	82
<표 5-1>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지원 및 발전 방안	129
[그림 2-1] 학습의 4단계 순환과정 모형(Kolb)	16
[그림 2-2] 진로체험활동의 개념과 범주	21
[그림 2-3] 자유학기제・진로체험지원센터 설립・운영 모형	33
[그림 2-4] St. Kevin‘s College의 전환학년제 프로그램 예	36
[그림 3-1] 진로체험활동에 대한 기관별 참여와 역할의 적절성	50
[그림 3-2]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협력 체계의 적절성	51
[그림 3-3]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관련 재정 및 예산의 적절성	61
[그림 3-4]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체험처 개발・운영의 적절성	62
[그림 3-5]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운영・지원 인력의 적절성	64
[그림 3-6]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의 확산 및 파급 관련 적절성	81
[그림 4-1] 직업 세계에 대한 100시간의 경험	9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연구 2016.06.01~2016.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