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델파이 조사 패널 구성 및 선정 기준 11
<표 1-2> 정책 DHP 조사 일시 및 주요 내용 12
<표 2-1> 1947년 중등교육 학교 수 및 학생 수 26
<표 2-2> 연도별 기술계 인적자원 소요 인원(1962~1966) 32
<표 2-3> 연도별 과학기술계 인적자원 소요 인원(1967~1971) 32
<표 2-4> 계열별 고등학교 학교 및 학생 수 변동 사항 36
<표 2-5> 실업계 고등학교 정원 확보율, 중도 탈락률, 졸업률, 취업률, 전공 분야 취업률, 진학률, 실업계 고교 교원 구성비, 1인당 학생 수, 졸업생 수 증가율 37
<표 2-6>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 수 변화와 교사:학생 비(1962~1979) 40
<표 2-7> 실업계 고교 계열별 차관지원 내용(1990) 47
<표 2-8> 차관별 차관액, 사업 기간 및 투자 대상 기관 48
<표 2-9> 문교부 지출금과 실업교육비 증가율 50
<표 2-10> 도별 공동실습소 설치 현황 56
<표 2-11> 서울대학교 농업교육과 졸업생의 교사 취업률 58
<표 2-12> 신산학협력 5대 핵심 정책과제 74
<표 2-13> 교육인적자원부 주관 산학협력정책 종합 76
<표 2-14>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주요 내용 77
<표 2-15> 단기 고등직업교육기관의 학제 변천에 따른 학교 및 학생 수 증감 추이 93
<표 2-16> 장기 인력수급 대비 기술공(중간 기술인력) 과부족 전망 102
<표 2-17> 전문대학 전공 계열별 인력의 수급 전망 103
<표 2-18> 전문대학 학교 수, 학과 수, 학생 수 변화 104
<표 2-19> 전문대학 학생 수, 학교 수 변화 106
<표 2-20> 1994년 전문대학 입시전형 요소 및 자료 110
<표 2-21> 1980년대 전문대학 평가 대상 학교 112
<표 2-22> 1987학년도 전문대학 평가표 113
<표 2-23> 「대학설치기준령」과 준칙주의에 의한 대학 설립 인가 기준 비교 115
<표 2-24> 한국표준직업분류기준[2007. 2. 12. 공고, 2007. 10. 1. 시행] 122
<표 2-25> 국공립 전문대학 설립 현황 128
<표 2-26> 독일과 한국의 산학협동제도 비교 148
<표 2-27> 2013학년도 학교 수 및 입학 정원 비교 153
<표 2-28> 2013학년도 전문대학의 각 과정별 입학 정원 분포 153
<표 2-29> 2012학년도 졸업자 수 비교 153
<표 2-30> 취업률 비교(건보 DB 기준) 153
<표 2-31> 전체 대학 대비 일반대학 재정지원 현황 154
<표 2-32> 전체 대학 대비 전문대학 재정지원 현황 154
<표 2-33> 사립 일반대학 대비 사립 전문대학 지원 비율 155
<표 3-1> 직업교육정책 영역별 세부 분석 항목 개요 161
<표 3-2> 직업교육의 비전에 관한 의견 162
<표 3-3> 직업교육정책 결정단계의 우선 고려 사항(중복 응답) 163
<표 3-4> 직업교육정책의 성공 요인(중복 응답) 165
<표 3-5> 직업교육정책 수립, 집행, 평가 단계에서의 개선해야 할 사항 168
<표 3-6> 광복 70년 직업교육정책 중 우수정책 사례 171
<표 3-7> 정책의 평가 및 피드백 여부에 대한 인식 174
<표 3-8> 정책의 평가 및 피드백 여부에 대한 부정적 인식 사유(중복 응답) 175
<표 3-9> 직업교육정책 평가를 위한 고려 사항(중복 응답) 176
<표 3-10> 시대별 직업교육정책 특징과 주요 내용 180
<표 3-11> 광복 70년 중등직업교육(실업계고/전문계고/특성화고) 변천사 185
<표 3-12> 시대별 직업교육정책 영역(목표, 교육과정, 교원, 산학협력, 진로지도)별 고등직업교육정책의 주요 변천 사항 211
<표 3-13> 역대 정부의 전문대학 교육정책 변화 추이 213
<표 3-14> 연도별・학력별 임금의 상대적 격차 추이 217
<표 3-15> 직업교육의 비전에 관한 의견 229
<표 3-16> 10년 후 직업교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외 환경 변화 요인 (중복 응답) 230
<표 3-17> 인구 변화 요인에 따른 직업교육정책 영역별 영향 232
<표 3-18> 지식정보기술의 실용화에 따른 직업교육정책 영역별 영향 요인 235
<표 3-19> 글로벌화 추진에 따른 직업교육정책 영역별 영향 요인 238
<표 3-20> 사회문화 변화에 따른 직업교육정책 영역별 영향 요인 240
<표 3-21> 직업교육을 통한 사회 목표 또는 비전 의견에 대한 동의 정도 245
<표 3-22> 직업교육정책의 수립, 집행, 평가 단계의 개선 사항 중요도 246
<표 3-23> 고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우수사례 선정 중요도 248
<표 3-24> 전문대학 교육과정 및 산학협력 특성화의 우수사례 선정 사유의 중요도 249
<표 3-25>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직업교육 자원 확보 문제의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51
<표 3-26>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52
<표 3-27> 청년 실업 및 일자리 감소로 인한 취업중심 직업교육 전환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53
<표 3-28> 융・복합 기술의 등장과 활용에 대한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54
<표 3-29> 3D 프린터, VR 및 인공지능 등 지식정보기술의 교육 환경 구축의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56
<표 3-30> 지식정보기술의 실용화 부문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 융합산업 등장의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57
<표 3-31> 국제분업체제 확대에 따른 국가 간 인력이동 확대 전망의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58
<표 3-32>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60
<표 3-33> 산업구조 재편에 따른 새로운 분야에 대한 직업교육수요 증가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61
<표 3-34> 급격한 가치관 변화에 따른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62
<표 3-35> 10년 후 직업교육정책의 형성・집행 시 실현가능성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63
<표 3-36> 10년 후 직업교육정책의 형성・집행 시 과제의 효과성에 대한 동의 정도 및 중요도 265
<표 3-37> 직업교육을 통한 사회 목표 또는 비전 의견들에 대한 동의 정도 269
<표 3-38> 직업교육정책의 수립, 집행, 평가 단계의 개선 사항에 대한 중요도 270
<표 3-39> 인구 변화로 인해 나타날 현상이 10년 후 직업교육정책 영역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동의 정도 271
<표 3-40> 지식정보기술의 실용화로 인해 나타날 현상이 10년 후 직업교육정책 영역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동의 정도 273
<표 3-41> 글로벌화로 인해 나타날 현상이 10년 후 직업교육정책 영역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동의 정도 274
<표 3-42> 사회문화 변화로 인해 나타날 현상이 10년 후 직업교육정책 영역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동의 정도 275
[그림 1-1] 연구 추진 절차 및 연구 방법 9
[그림 2-1] 1950년대 인문・실업고 학생 수 변화 27
[그림 2-2] 국가인적자원개발정책(2002~2005)의 기본구조 71
[그림 2-3] 학생의 진로 경로에 따른 노동시장 진입규모 80
[그림 2-4] 마이스터고 학생 성장 경로 82
[그림 2-5] 연도별 학생정원 추이 105
[그림 3-1] 직업교육정책 분석 틀(안) 159
[그림 3-2] 학교급별 직업교육정책 영역별 직업교육정책 분석 160
[그림 3-3] 중등직업교육정책과 중등직업교육 학생 비중, 취업률, 진학률 간의 관계 188
[그림 3-4-1] 중등직업교육 담당 중앙 부처의 조직 명칭과 업무 분장 변천(그림 계속) 190
[그림 3-4-2] 중등직업교육 담당 중앙 부처의 조직 명칭과 업무 분장 변천(그림 계속) 191
[그림 3-4-3] 중등직업교육 담당 중앙 부처의 조직 명칭과 업무 분장 변천(그림 계속) 192
[그림 3-4-4] 중등직업교육 담당 중앙 부처의 조직 명칭과 업무 분장 변천 193
[그림 3-5] 전문대학 정책과 전문대생 비중, 취업률, 대학 편입률 간의 관계 218
[그림 3-6-1] 전문대학 담당 중앙 부처의 조직 명칭과 업무 분장 변천(그림 계속) 220
[그림 3-6-2] 전문대학 담당 중앙 부처의 조직 명칭과 업무 분장 변천(그림 계속) 221
[그림 3-6-3] 전문대학 담당 중앙 부처의 조직 명칭과 업무 분장 변천 222
[그림 3-7] 미래직업교육의 방향과 과제 267
[그림 4-1] 직업교육정책 단계별 주요 특징 281
[그림 4-2]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직업교육기관의 역할 283
[그림 4-3] 중등단계 직업교육체제의 개편 방안 288
[그림 4-4] 학부 단계 고등직업교육체제 방안 289
[그림 4-5] 국가역량체계에 기반한 직무 중심 대학원 교육 체제 개편 방안 291
[그림 4-6] 학교급별 보육 및 유아교육 기능 강화 방안 및 기대 효과 293
[그림 4-7] NCS 기반 역량교육 실시를 위한 학교 내 교육과 학교 밖 학습 경험의 연계 295
[그림 4-8] NCS 기반 학교 내 교육과정과 학교 밖 학습 경험의 연계를 통한 평생직업교육체제 296
[그림 4-9] 입직과정으로서의 직업교육기관 역할 298
[그림 4-10] 외국인 인력 활용 정책 개선 방향 299
[그림 4-11] KQF를 활용한 선순환적 숙련 기술・기능 인력 양성 활용 체계 301
[그림 4-12] 지속발전형 산학협력 체제 구축 개요도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