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시장내 청년창업 생태계 구축 방안
Building the Ecosystem of Youth Start-ups in Korea
- 저자
- 김안국 박동 이종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6-3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6.12.31
- 등록일
- 2017.03.09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연구 방법 8 제3절 연구 내용 10 제2장 국내 청년 창업 및 창작자 운동 현황_13 제1절 일자리 창출 및 청년 창업의 실태 15 제2절 창작자 공간의 현황 및 운영 27 제3절 창업 문화와 창작자 운동 41 제3장 청년 창업 생태계의 이론적 논의 및 분석 틀_49 제1절 제4차 산업 혁명 시대와 창업 생태계 변화 51 제2절 창업 생태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 64 제3절 창작자 운동과 청년 창업 생태계 분석 틀 71 제4장 청년 창업 생태계 조사 및 결과 분석_79 제1절 조사의 방법 81 제2절 조사의 결과와 분석 85 제3절 소결 96 제5장 외국 사례_99 제1절 미국 실리콘 밸리의 테크숍과 MIT의 팹랩 101 제2절 중국 선전의 창업 환경과 창작자 창업 지원 108 제3절 소결 123 제6장 논의 및 정책 제언_127 제1절 요약 및 논의 129 제2절 창작자 창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 제언 142 SUMMARY_147 참고문헌_155 부 록_163 1. 설문지 165 2. 선전시 창작자 발전 3개년 계획 169 3. 2016 창작자 박람회 186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청년 창업의 활성화 대안을 창작자 운동의 진작 측면에서 제시해 보려는 것이다. 벤처 창업 육성 정책 등 현행의 정부 정책은 지원에만 집중하여 자생력을 기르는 데 오히려 독이 되는 경향이 있다(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015, p. 174). 그렇지만 창작자 운동은 창의적 아이디어의 사업화가 창작자 공간과 창작자 커뮤니티,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낮은 비용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듯이 각 단계의 상호 작용과 피드백이 긍정적 순환을 가져오며, 각 단계의 과정이 민간 비즈니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이룰 수 있다. 한국은 IT 강국이며 아직도 제조 강국이다. 창작자 운동의 기본적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의 생태계에 대한 기본적 이론에 맞추어 창작자 창업을 파악하고, 창작자 운동과 창작자 창업이 어떻게 한국에서 자리 잡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찾고자 한다. 창작자 창업의 생태계 구축을 통해 창업을 활성화하면, 창업자와 대기업을 대등한 관계로 조성함으로써 현재 대기업에 유리하게 전개되는 창업 현실을현재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들이 창업 이후 성장보다는 대기업과의 인수 합병을 추천하고 있으며, 많은 창업 지원 사업들이 그 영역에서 사업을 벌이는 대기업과 공동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기업은 좋은 아이디어를 쉽게 발굴하고, 창업자의 사업이 기틀을 잡아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면 그 기업을 인수한다는 것이다('프레시안', 2016. 06. 16.). 극복할 수 있다. 아울러 창작자 창업에 바탕을 둔 청년 창업 생태계의 성공적인 구축은 고용 없는 성장, 인구 감소, 고학력화 등의 인구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그리고 추격형 발전에서 벗어나 선도형 발전으로 이행하고자 하지만 성과가 부진한 한국 경제에 새로운 활로를 열어 주는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cosystem of youth start-ups in Korea. We focus on the maker movement and maker start-ups to build up the start-ups ecosystem in Korea. To set up ecosystem of start-ups, the activities of maker movement and maker start-ups have to be encouraged by Korean society. Maker movement and maker start-ups will bring out good results to Korean economy which is now in trouble, especially low youth employment rate and overall industries’ downing energy. Currently the government helps directly maker start-ups, but the government’s aid should have gone to the private business firms which give good services to maker start-ups. To encourage maker movement, the government should contain the making programme into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
<표 2-1> 대졸자 취업에서의 창업자 비중 추이 21 <표 2-2> 이전 창업의 경험 22 <표 2-3> 창업 동기의 유형 22 <표 2-4> 창업자 학력 23 <표 2-5> 창업 직전 취업 유무 23 <표 2-6> 창업의 준비 기간 24 <표 2-7> 창업의 애로점 24 <표 2-8> 창업의 자금 규모와 원천 25 <표 2-9> 창업 아이디어의 원천 27 <표 2-10> 독자 창업의 아이디어 형태 27 <표 2-11> 창작자 지원 및 창작자 공간 31 <표 2-12> 창작자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36 <표 2-13> 창작자 박람회 연혁 39 <표 2-14> 국내 및 해외 창작자 운동 커뮤니티의 비교 42 <표 2-15> 창업 활동에 대한 인식 44 <표 2-16> 창업에 대한 사회적 가치 부여 45 <표 3-1> 주요국의 제조 산업 선진화 정책 54 <표 3-2> 독일 인더스트리 4.0의 주요 R&D 프로젝트 56 <표 3-3> ‘첨단 제조업 파트너십 2.0’의 정책 제안(요약) 58 <표 3-4> 창업 생태계 6대 영역과 12대 구성 요소 66 <표 3-5> 창업 생태계 7대 영역과 세부 구성 요소 76 <표 4-1> 분석 틀에 입각한 설문의 구성 83 <표 4-2> 설문 응답자들의 인적 사항 87 <표 4-3> 창작자들의 창작자 운동 참여 현황 89 <표 4-4> 창작자 운동의 향후 전개 예측 90 <표 4-5> 창작자 생태계 영역별・항목별 중요도와 현재 상황의 차이 93 <표 4-6> 창작자 운동의 수준에 대한 영역별 현재 상태의 영향 95 [그림 2-1] 연도별 기업 생멸의 종사자 수 및 비중 추이 16 [그림 2-2] 대표자 연령별 기업 생멸 현황 17 [그림 2-3] 대표자 연령별 주요 신생 업종 18 [그림 2-4] 대표자 연령별 기업 생존율 추이 19 [그림 2-5] 연도별 기업 생멸 추이 20 [그림 2-6] 최소 창업 자본금 비율의 연도별 추이 26 [그림 2-7] 직업 상실과 일자리 확보에 대한 불안감 43 [그림 3-1] 산업 혁명의 시기・단계별 주요 특징 52 [그림 3-2] 제3・4차 산업 혁명의 비교3 53 [그림 3-3] 인더스트리 4.0과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플랫폼 56 [그림 3-4] 산업 인터넷 컨소시엄(IIC)과 산업 인터넷 청사진 59 [그림 3-5] 창업 생태계 환경의 변화와 진입 장벽의 감소 61 [그림 3-6] 창업 생태계 영역 및 구성 요소 65 [그림 3-7] 창업 생태계 육성과 지도자 동맹 네트워크 69 [그림 3-8] 창작자 운동 내 창업 생태계 영역과 구성 요소 75 [그림 4-1] 창작자 생태계 영역별 중요도 91 [그림 5-1] 선전 시 기업 수 추이 110 [그림 5-2] 스마트 하드웨어 창업의 단계별 지원 112 [그림 6-1] 부처・기관별 창작자 관련 사업현황 137 [그림 6-2] 창작자 운동 및 창작자 창업 활성화를 위한 역할 분담 14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노동시장내 청년창업 생태계 구축 방안 | 2016.06.01~2016.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