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Ⅰ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표 1-1>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와 마이스터고 추적 조사 자체조사 및 통합조사 비교 9
<표 1-2> 모집단 및 표본 크기 14
<표 1-3> 설문지 유형 및 구성 15
<표 2-1> 학교 유형의 변화 23
<표 2-2> 학교 유형별 표본 수 배분(기본안) 29
<표 2-3> 학교 유형별 표본 수 배분(수정안) 31
<표 2-4> 조사 모집단 현황: 고등학교 학교 수 및 2학년 학생 수 33
<표 2-5> 조사 모집단 현황: 학교 수 33
<표 2-6> 표본 학교 수 및 학생 수: 일반계고등학교 35
<표 2-7> 표본 학교 수 및 학생 수: 특성화고등학교 36
<표 2-8> 표본 학교 수 및 학생 수: 외국어고등학교 37
<표 2-9> 표본 학교 수 및 학생 수: 과학고등학교 37
<표 2-10> 표본 학교 수 및 학생 수: 예술고등학교 38
<표 2-11> 표본 학교 수 및 학생 수: 체육고등학교 38
<표 2-12> 표본 학교 수 및 학생 수: 마이스터고등학교 39
<표 3-1> ‘한국교육고용패널 설문지Ⅱ(2016)’ 학생 조사 내용 45
<표 3-2> ‘한국교육고용패널 설문지Ⅱ(2016)’ 가구 조사 내용 48
<표 3-3> ‘한국교육고용패널 설문지Ⅱ(2016)’ 학교・담임교사 조사 내용 49
<표 3-4> 학생 설문지 조사 지침 내용 50
<표 3-5> 가구 설문지 조사 지침 내용 53
<표 3-6> 학교(교무담당) 설문지 조사 지침 내용 55
<표 3-7> 한국교육고용패널과 한국교육고용패널Ⅱ 학생 설문지 대분류 변화 내용 57
<표 3-8> 학교생활 문항 변경 내용 58
<표 3-9> 학습 및 사교육 문항 변경 내용 60
<표 3-10> 가정생활 문항 변경 내용 61
<표 3-11> 여가생활 문항 변경 내용 62
<표 3-12> 현장체험 및 현장실습 문항 변경 내용 63
<표 3-13> 진로계획 및 직업의식 문항 변경 내용 64
<표 3-14> 재학 중 근로경험 문항 변경 내용 65
<표 3-15> 건강, 개인적 특성 문항 변경 내용 66
<표 3-16> 한국교육고용패널과 한국교육고용패널Ⅱ 가구 설문지 대분류 변화 내용 67
<표 3-17> 가구원 정보 문항 변경 내용 68
<표 3-18> 교육환경 문항 변경 내용 69
<표 3-19> 문화생활 문항 변경 내용 70
<표 3-20> 남성 보호자, 여성 보호자 문항 변경 내용 71
<표 3-21> 가구 소득, 가구 지출 문항 변경 내용 72
<표 3-22> 학교(교무담당) 설문지 문항 변경 내용 73
<표 3-23> 담임교사 설문지 문항 변경 내용 75
<표 4-1> 1차 조사 설명회 일시 및 장소 86
<표 4-2> 1차 조사 설명회 프로그램 87
<표 4-3> 1차 조사 설명회 참석자 수 87
<표 4-4> 2차 조사 설명회 프로그램 88
<표 4-5> 3차 조사 설명회 프로그램 90
<표 4-6> 표본 설계 변경 내역 개요 91
<표 4-7> 지역별 본조사 현황(학교 조사) 101
<표 4-8> 학교 유형별 본조사 현황(학교 조사) 101
<표 4-9> 지역 및 학교 유형별 조사 완료 학교 현황(학교 조사) 102
<표 4-10> 지역별 본조사 현황(담임 조사) 104
<표 4-11> 학교 유형별 본조사 현황(담임 조사) 104
<표 4-12> 지역 및 학교 유형별 조사 완료 학교 현황(담임 조사) 105
<표 4-13> 지역별 본조사 현황(학생 조사) 106
<표 4-14> 학교 유형별 본조사 현황(학생 조사) 107
<표 4-15> 지역 및 학교 유형별 조사 완료 학교 현황(학생 조사) 108
<표 4-17> 학교 유형별 본조사 현황(가구 조사) 110
<표 4-18> 지역 및 학교 유형별 조사 완료 학교 현황(가구 조사) 111
제Ⅱ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Ⅰ
<표 1-1> 11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4년 중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129
<표 1-2> 11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4년 일반계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130
<표 1-3> 11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4년 전문계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131
<표 1-4> 11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7년 전문계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133
<표 1-5> 11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7년 외국어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133
<표 1-6> 11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7년 과학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134
<표 1-7> 11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일반계고 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136
<표 1-8> 11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전문계고 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137
<표 1-9> 11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외국어고 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137
<표 1-10> 11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과학고 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138
<표 1-11> 11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7년 2년제 대학 졸업자 코호트)-보정 패널 140
<표 1-12> 11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9년 4년제 대학 졸업자 코호트)-보정 패널 140
<표 2-1> 12차(2015)년도 기존・신규・보정 패널조사 성공률 174
<표 4-1> 연도별/유형별 자료 활용 건수 192
<표 4-2> 연도별 원자료 사용 건수 193
제Ⅰ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그림 1-1] 사업 추진 절차 18
[그림 4-1] 조사 설명 리플릿 인쇄본 펼친 면 83
[그림 4-2] 조사 웹 페이지 화면 85
[그림 4-3] 조사 대상 학생 목록 작성 예시 95
[그림 4-4] 조사 가능 일자 입력 화면 96
제Ⅱ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Ⅰ
[그림 1-1] 전문대 대학생 학교 계열 144
[그림 1-2] 4년제 대학생 학교 계열 145
[그림 1-3] 전문대 대학생 학교시설 및 자원만족도 146
[그림 1-4] 4년제 대학생 학교시설 및 자원만족도 146
[그림 1-5] 4년제 대학생 복수전공 이수 여부 147
[그림 1-6] 4년제 대학생 복수전공 이수 이유 148
[그림 1-7] 수업 이외 전공 공부 여부 149
[그림 1-8] 전공 공부 사교육 경험 149
[그림 1-9] 전공 공부 사교육 시간(일주일 평균) 150
[그림 1-10] 전공 공부 사교육 비용(월평균) 151
[그림 1-11] 혼자 전공 공부하는 시간(일주일 평균) 152
[그림 1-12] 여럿이 전공 공부하는 시간(일주일 평균) 152
[그림 1-13] 교내 아르바이트 경험 비율 153
[그림 1-14] 교내 아르바이트 참여 횟수(평균) 154
[그림 1-15] 취업 시 가장 중요한 요소(1순위) 155
[그림 1-16] 지난 1년간 구직활동 경험 여부 156
[그림 1-17] 지난 1년간 구직 실패 경험 여부 157
[그림 1-18] 지난 1년간 구직 실패 경험 횟수(평균) 158
[그림 1-19] 취업 준비 경험의 도움 정도 159
[그림 1-20] 일자리 경험(현 일자리 제외) 여부(2013.7. ~ 2014.6.) 160
[그림 1-21] 일자리 경험 횟수(2013.7. ~ 2014.6.) 161
[그림 1-22] 첫 번째 일자리-일자리 형태 162
[그림 1-23] 첫 번째 일자리-인턴 과정 여부 163
[그림 1-24] 첫 번째 일자리-월평균 소득 164
[그림 1-25] 첫 번째 일자리-일주일 총 근로시간 165
[그림 1-26] 영어 공부 경험 166
[그림 1-27] 영어 사교육 경험 여부 166
[그림 1-28] 취업, 창업, 직무능력개발 교육・훈련 경험 여부 167
[그림 1-29] 취업, 창업, 직무능력개발 교육・훈련 경험 횟수(평균) 168
[그림 1-30] 용돈 액수(월평균) 169
[그림 3-1] 제11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참석자 설문지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