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
Research on Korean Occupational Index for Employment Service (2016)
- 저자
- 장현진 박천수 윤혜준 나동만 이민욱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6-1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6.12.31
- 등록일
- 2017.03.09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7 제3절 용어 정의 및 연구 범위 19 제2장 직업지표 관련 선행연구_21 제1절 직업의 개념과 직업지표의 의의 23 제2절 직업지표 및 직업정보의 구성 항목 29 제3절 맞춤형 취업지원에서 직업지표 활용 48 제4절 소결 51 제3장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개발_55 제1절 직업지표 개발의 기본 방향 58 제2절 기존 직업지표 검토 62 제3절 신규 직업지표 구성 및 타당화 71 제4절 소결 92 제4장 직업지표 기초 분석_99 제1절 응답자 및 지표의 객관성 101 제2절 현재의 직업지표 119 제3절 10년 후의 직업지표 143 제4절 소결 167 제5장 직업지표 이슈 분석_175 제1절 입직요건과 고용안정 177 제2절 직업만족도와 영향 요인 196 제3절 일-가정 양립 207 제4절 직업인의 여가 및 삶의 질 229 제5절 청소년 희망 직업의 현재와 미래 243 제6절 여성 및 고령자 맞춤형 직업지표 탐색 266 제6장 제언_281 제1절 정책 추진을 위한 제언 283 제2절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296 SUMMARY_315 참고문헌_317 부 록_333 [부록 1] 직업지표 델파이조사 결과(1,2차) 335 [부록 2] 직업지표 조사 설문지 348 [부록 3] 직업 선정 기준 및 조사 직업 365 [부록 4] 2016년 조사의 직업별 표본 할당 방법 380 [부록 5] 2016년 직업지표 세미나 초청장 385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의 모습을 나타내는 속성으로 신규 직업지표를 개발하여 조사 틀을 마련하고, 직업지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맞춤형 취업 및 직업생활 지원을 위한 정책 대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추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신규 직업지표를 개발하고 조사 틀을 마련한다. 둘째, 주요 직업에 직업지표 조사 틀을 적용하여 조사하고 직업지표를 산출한다. 셋째, 직업지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맞춤형 취업지원 관련 이슈를 분석한다. 넷째, 맞춤형 취업 및 직업생활 지원을 위한 정책을 제언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직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직업세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고,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정책적 제언은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정책 마련과 취업 활성화를 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build a framework for developing the Korean Occupational Index (KOI) and ultimately seeks to provide valid occupational information to support career choices by investigating conditions and prospects of occupations in the context of Korea. The KOI was created not only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job seekers and current workers for supporting their job selection and career development, but also to offer job experts with valid data for their study by investigating attributes of occupations. ...
<표 1-1> 상반기의 심층그룹인터뷰 대상 및 운영 시기 11 <표 1-2> 하반기의 심층그룹인터뷰 대상 및 운영 일정 12 <표 1-3> 델파이 패널 구성 15 <표 2-1>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의 기초 직업지표 30 <표 2-2>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의 응용지표 31 <표 2-3> 고용의 질: 거시ㆍ미시ㆍ개인수준에서의 지표개발 및 평가의 아홉 가지 차원과 세부지표 33 <표 2-4> 커리어넷의 직업 관련 정보 36 <표 2-5> 한국직업정보시스템의 직업 관련 정보 37 <표 2-6> O*NET의 직업 관련 정보 38 <표 2-7>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의 직업 관련 정보 39 <표 2-8> 한국직업사전의 직업관련 정보 41 <표 2-9> 2014 미래의 직업세계(직업편)의 직업 관련 정보 43 <표 2-10> 2015 한국직업전망의 직업 관련 정보 44 <표 2-11> 직업지표, 직업정보망 및 직업정보서의 직업정보 구성 항목 비교 47 <표 2-12> 고용노동부 맞춤형 취업지원 정책 개요 48 <표 3-1> 보상 영역에 관한 FGI 의견 63 <표 3-2> 일자리 전망, 고용안정, 발전가능성 영역에 관한 FGI 의견 65 <표 3-3> 직업전문성 영역에 관한 FGI 의견 67 <표 3-4> 근무여건, 고용평등 영역에 관한 FGI 의견 69 <표 3-5> 델파이 전문가 패널 구성 73 <표 3-6> 델파이 패널 수에 따른 내용 타당도 비율(CVR)의 최소 기준치 74 <표 3-7> 제1차 델파이조사 결과 77 <표 3-8> 제1차 델파이조사 결과의 반영 사항 81 <표 3-9> 제2차 델파이조사 결과 86 <표 3-10> 제2차 델파이조사 결과의 반영 사항 90 <표 3-11>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최종 개발 결과 94 <표 3-12> 신규 직업지표와 기존 직업지표의 항목 비교 96 <표 4-1> 응답자 현황 102 <표 4-2> 직업지표의 신뢰도 분석 결과 103 <표 4-3> 현재 수준 직업지표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107 <표 4-4> 10년 후 전망 직업지표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110 <표 4-5> 직업지표 영역별 응답 용이성 조사 결과 112 <표 4-6> 조사된 직업지표와 잡맵 통계 지표 간의 상관관계 분석 114 <표 4-7>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17 <표 4-8> 대분류 직업군별 입직요건 직업지표(현재 수준) 120 <표 4-9> 학력 지표 상ㆍ하위 10순위 직업(현재 수준) 121 <표 4-10> 대분류 직업군별 직무특성 영역 직업지표(현재 수준) 123 <표 4-11> 전문성 지표 상ㆍ하위 10순위 직업(현재 수준) 124 <표 4-12> 대분류 직업군별 직무능력 영역 직업지표(현재 수준) 126 <표 4-13> 창의성 지표 상ㆍ하위 10순위 직업(현재 수준) 127 <표 4-14> 대분류 직업군별 근무여건 영역 직업지표(현재 수준) 129 <표 4-15> 업무자율성 지표 상ㆍ하위 10순위 직업(현재 수준) 130 <표 4-16> 대분류 직업군별 소득 영역 직업지표(현재 수준) 132 <표 4-17> 소득만족 지표 상ㆍ하위 10순위 직업(현재 수준) 133 <표 4-18> 대분류 직업군별 고용안정 영역 직업지표(현재 수준) 135 <표 4-19> 고용유지 지표 상ㆍ하위 10순위 직업(현재 수준) 136 <표 4-20> 대분류 직업군별 일자리전망 영역 직업지표 (현재 수준) 138 <표 4-21> 일자리 수 변화 지표 상ㆍ하위 10순위 직업 (현재 수준) 139 <표 4-22> 대분류 직업군별 직업가치 영역 직업지표(현재 수준) 141 <표 4-23> 추천의향 지표 상ㆍ하위 10순위 직업(현재 수준) 142 <표 4-24> 대분류 직업군별 입직요건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144 <표 4-25> 학력의 중요성 상위 10개 직업(현재 대비 10년 후) 145 <표 4-26> 대분류 직업군별 직무특성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147 <표 4-27> 전문성 상위 10개 직업(현재 대비 10년 후) 148 <표 4-28> 대분류 직업군별 직무능력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150 <표 4-29> 창의성 상위 10개 직업(현재 대비 10년 후) 151 <표 4-30> 대분류 직업군별 근무여건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153 <표 4-31> 업무자율성 상위 10개 직업(현재 대비 10년 후) 154 <표 4-32> 대분류 직업군별 소득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156 <표 4-33> 소득만족 상위 10개 직업(현재 대비 10년 후) 157 <표 4-34> 대분류 직업군별 고용안정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159 <표 4-35> 고용유지 상위 10개 직업(현재 대비 10년 후) 160 <표 4-36> 대분류 직업군별 일자리 전망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162 <표 4-37> 일자리 수 변화(증가) 상위 10개 직업 (현재 대비 10년 후) 163 <표 4-38> 대분류 직업군별 직업가치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165 <표 4-39> 추천의향 상위 10개 직업(현재 대비 10년 후) 166 <표 4-40> 대분류 직업군별 영역별 직업지표 현재와 10년 후 전망 종합 168 <표 4-41> 세분류 직업별 주요 지표의 현재와 10년 후 전망 종합 172 <표 5-1> 직업별 지표 간 상관관계 179 <표 5-2> 직업별 입직요건 지표 요약 191 <표 5-3> 개인별 입직요건 지표 요약 192 <표 5-4>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8 <표 5-5> 응답자 집단별 직업만족도 201 <표 5-6> 직업만족도 상ㆍ하위 10순위 직업(현재 수준) 202 <표 5-7> 직업만족도와 직업지표 세부 항목과의 상관관계 203 <표 5-8> 직업만족도와 직업지표 항목과의 회귀분석 204 <표 5-9> 일-가정균형 수준 상위 10개 직업 218 <표 5-10> 일-가정균형 수준 하위 10개 직업 219 <표 5-11> 직업지표 간 상관 계수 220 <표 5-1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근로시간 차이 234 <표 5-1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시간 차이 235 <표 5-14> 주당 평균 근로시간 상ㆍ하위 20개 직업 236 <표 5-15> 여가시간 상ㆍ하위 20개 직업 238 <표 5-16> 여가만족도 상위 20개 직업 239 <표 5-17> 직업지표 항목, 여가만족도, 삶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239 <표 5-18> 삶의 만족도 회귀분석 240 <표 5-19> 초ㆍ중ㆍ고등학생의 희망직업 상위 10개 245 <표 5-20> 소득수준 상위 직업과 청소년 희망직업 249 <표 5-21> 고용유지 상위 직업과 청소년 희망직업 251 <표 5-22> 업무자율성 상위 직업과 청소년 희망직업 253 <표 5-23> 일자리 수 변화 상위 직업과 청소년 희망직업 255 <표 5-24> 직업만족 상위 직업과 청소년 희망직업 257 <표 5-25> 청소년 희망직업의 입직 가능성(현재와 10년 후) 260 <표 5-26> 청소년 희망직업의 직업생활 여건(현재와 10년 후) 263 <표 5-27> 여성 맞춤형 직업(여성 맞춤형 직업지표의 시범 적용) 272 <표 5-28> 고령자 인구 추이 273 <표 5-29> 고령자 맞춤형 직업(고령자 맞춤형 직업지표의 시범 적용) 277 [그림 1-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지표 연구 흐름과 2016년 연구 내용 8 [그림 1-2] 연구 단계별 연구 방법 10 [그림 1-3] 연구진 집중작업 및 귀납적 범주화 과정 13 [그림 1-4] 델파이조사 프로세스 14 [그림 3-1]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개발 과정 58 [그림 3-2] 델파이조사 세부 프로세스 72 [그림 3-3]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최종 개발(안) 92 [그림 5-1] 입직에서 학력의 중요성과 재직자 고용유지 가능성 181 [그림 5-2] 입직에서 전공의 중요성과 재직자 고용유지 가능성 184 [그림 5-3] 입직에서 자격의 중요성과 평생직업 가능성 185 [그림 5-4] 입직에서 외국어의 중요성과 재직자 고용유지 가능성 187 [그림 5-5] 입직에서 직업훈련의 중요성과 평생직업 가능성 188 [그림 5-6] 입직에서 실무경험의 중요성과 평생직업 가능성 190 [그림 5-7] 직업별 입직요건 평균과 고용안정 평균 193 [그림 5-8] 개인별 입직요건 평균과 고용안정 193 [그림 5-9] 직업별 입직요건 평균과 이직용이 평균 194 [그림 5-10] 인구구조의 변화 208 [그림 5-11] 근로시간과 일-가정균형의 관계 221 [그림 5-12] 업무자율성과 일-가정균형의 관계 222 [그림 5-13] 고용유지와 일-가정균형의 관계 223 [그림 5-14] 소득수준과 일-가정균형의 관계 223 [그림 5-15] 일-가정 양립과 직업만족도의 관계 224 [그림 5-16] 일-가정 양립과 평생직업 적합성의 관계 225 [그림 5-17] 직업의 일-가정 양립 수준과 추천의향 관계 225 [그림 5-18] 직업의 일-가정 양립 수준과 현재 삶의 행복도 226 [그림 5-19] 일-가정 양립과 여가만족도의 관계 226 [그림 5-20] 직업별 소득수준의 현재와 10년 후 전망 (백분위수) 250 [그림 5-21] 직업별 고용유지의 현재와 10년 후 전망 (백분위수) 252 [그림 5-22] 직업별 업무자율성의 현재와 10년 후 전망 (백분위수) 254 [그림 5-23] 직업별 일자리 수의 현재와 10년 후 전망 (백분위수) 256 [그림 5-24] 직업별 직업만족도의 현재와 10년 후 전망 (백분위수) 258 [그림 5-25] 청소년 희망직업의 입직 가능성 (현재와 10년 후 종합) 261 [그림 5-26] 청소년 희망직업의 직업생활 여건 (현재와 10년 후 종합) 264 [그림 5-27] 여성 맞춤형 직업 분석틀 270 [그림 5-28] 고령자 맞춤형 직업 분석틀 276 [그림 6-1] 맞춤형 취업과 직업생활 지원을 위한 정책 제언 284 [그림 6-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297 [그림 6-3] 직업지표 조사 항목 구성 및 개정 주기 30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6) | 2016.01.01~2016.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