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반 직업교육훈련(VET) 국제비교연구 : 한국과 독일의 자동차 분야 사례 연구(Case Study)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Work-based VETs : A case study on the automobile industry in South Korea and Germany
- 저자
- 이동임 류기락 정지운 노희규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6-2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6.12.31
- 등록일
- 2017.09.27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7 제3절 선행연구 분석 17 제4절 연구 분석틀과 연구 질문 21 1. 연구의 분석틀 21 2. 연구의 질문 22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24 제2장 현장기반 직업교육훈련 관련 이론적 논의_27 제1절 현장기반 VET의 개념과 유형 29 1. 현장기반 VET의 개념 및 필요성 29 2. 현장기반 VET의 유형 30 3. 본 연구의 현장기반 VET 대상 33 제2절 기업의 현장기반 VET 참여에 관한 이론적 논의 36 1. 기업의 현장기반훈련 참여 유인 37 2. 도제훈련의 제도적 조건 49 3. 소결 51 제3장 한국과 독일 자동차 산업의 노동시장과 직업교육훈련(VET)_53 제1절 한국과 독일의 자동차 산업과 노동시장 55 1. 한국 55 2. 독일 58 제2절 한국과 독일 자동차 산업의 직업교육훈련(VET) 62 1. 한국 63 2. 독일 76 제3절 소결 93 제4장 한국과 독일 자동차 산업의 현장기반 VET 사례조사_95 제1절 한국과 독일의 사례조사 기업 현황 98 1. 자동차 정비 98 2. 자동차 생산 142 제2절 한국과 독일의 사례조사 결과 비교분석 166 1. 한국과 독일의 훈련 비용-편익 비교분석 166 2. 한국과 독일의 기업 훈련투자 배경 비교분석 173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_197 제1절 결론 199 제2절 정책제언 204 SUMMARY_213 참고문헌_217 부 록_227 <부록 1> Expert Interview Guideline 229 <부록 2> Case Study Guideline-Car Service 23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독일의 자동차 정비 및 자동차 생산 분야의 기업을 대상으로 미시적 사례조사(case study)를 수행함으로써 양국의 현장기반 VET의 유형을 비교하고, 기업이 왜, 그리고 어떻게 VET에 투자하는지를 분석하며, 아울러 현장기반 VET 투자가 확대될 수 있는 조건을 찾는 것이다. 특히 훈련의 동기는 훈련 및 숙련의 유형, 그리고 훈련의 비용-편익 구조 측면에서 논의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도입 부분에서 연구방법, 연구대상 등을 논의하고 아울러 다양한 연구 질문을 제시하였다. 둘째, 현장기반 VET의 개념과 유형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자동차 분야에서 현장기반 VET의 국제비교연구에 필요한 여러 기업의 훈련투자와 관련한 이론적 논의도 이루어졌다. 특히 “기업은 왜 현장훈련에 투자하는가?”는 인적자본이론의 연구를 위한 주요한 질문이며, 그 이후에도 다양한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다루어진 문제이다. 이러한 논의의 출발점은 베커의 인적자본이론으로, 이 이론에 따르면 도제훈련을 통하여 획득하는 숙련의 성격에 따라 기업의 훈련 제공 및 훈련비용 부담 등이 결정된다. 아울러 VET의 비용-편익 분석과 관련한 이론 및 자동차 분야의 생산, 직업조직 그리고 VET와의 연관성에 관하여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셋째, 한국과 독일의 자동차 분야 사례조사 결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한국과 독일의 VET 제도뿐만 아니라 노동시장 현황에 관하여 비교검토하였다. 넷째, 양국의 자동차 정비 및 생산 분야 기업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주요 사례조사 내용은 양국 기업의 채용관행, 채용비용, 훈련실시 현황, 훈련의 비용-편익 분석, 작업조직, 현장기반 직업훈련의 잠재적인 장기 효과 및 한계 등이다. 아울러 다양한 연구 질문에 따라 양국의 사례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시사점)과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Work-based VET is recognized as most effective in terms of lowering the unemployment rate and raising the employment rate of the youth by decreasing skill mismatch. Among those countries implementing the work-based VET system, Germany is cited as one of the best cases. During the period of 2015-2016, the BIBB of Germany, along with some European countries, identified patterns and types of the work-based VET and pushed for a project on the conditions for expanding corporate training. In particular, this project i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two elements of training, 'organization' and 'quality' have certain relevance. Korea als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in 2016 by carrying out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with the aim to create an atmosphere where corporate field training can be further expa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atterns and types of work-based VETs in Korea and Germany performing a microscopic case study on automobile makers and service(repair and maintenance) providers. It also aims to find out the conditions for expansion of work-based VET by asking why and how a company invests in education and investment.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follow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
<표 1-1> 기업별 사례조사 실시 일정 및 면담자 11 <표 1-2> 사례조사 내용 12 <표 2-1> 현장실습, 인턴십, 도제훈련 및 현장견학의 차이점 31 <표 3-1> 자동차 정비 직종 자격 72 <표 3-2> 자동차 생산설비 보존 관련 자격 74 <표 3-3> 독일 도제훈련 85 <표 3-4> 독일 이원화 제도의 자격 87 <표 3-5> 독일 자동차 정비원과 보전원의 비용과 편익 분석 91 <표 3-6> 독일 자동차 정비원과 보전원의 채용비용 93 <표 4-1> 사례조사 기업의 일반 현황(자동차 정비) 100 <표 4-2> 채용관행과 그 배경(자동차 정비) 102 <표 4-3> ‘점검 유지 및 보수 과업’의 배분 현황-자동차 정비 105 <표 4-4> ‘IT 지원오류 진단’ 과업의 배분 현황-자동차 정비 106 <표 4-5> 현장훈련의 목표 및 훈련기준 108 <표 4-6> 현장훈련 개요(자동차 정비) 110 <표 4-7> 현장훈련 운영 현황(훈련의 품질)-자동차 정비 113 <표 4-8> 현장기반훈련의 참여 동기와 잠재적인 장기 효과-자동차 정비 116 <표 4-9> 현장기반훈련의 한계점 120 <표 4-10> 현장훈련 비용-편익(자동차 정비) 124 <표 4-11> 채용비용(중기 훈련편익)-자동차 정비 136 <표 4-12> 사례조사 기업의 일반 현황(자동차 생산) 143 <표 4-13> 채용관행과 그 배경(자동차 생산) 144 <표 4-14> 자동차 생산 과업의 배분 현황 149 <표 4-15> 현장훈련 개요(자동차 생산) 151 <표 4-16> 현장훈련 운영 현황(훈련의 품질)-자동차 생산 154 <표 4-17> 현장기반훈련의 참여 동기와 잠재적인 장기 효과-자동차 생산 156 <표 4-18> 현장훈련 비용-편익(자동차 생산) 159 <표 4-19> 재직자 수준의 양성을 위해 소요되는 비용 170 <표 4-20> 기업의 훈련투자 요인별 한독 사례조사 결과 종합 비교 182 [그림 1-1] 연구절차 13 [그림 1-2] 기업의 훈련투자 배경 22 [그림 3-1] 한국의 교육제도와 직업교육 63 [그림 3-2] 한국의 직업훈련 유형 64 [그림 3-3] 독일의 (직업)교육제도 77 [그림 3-4] 자동차 정비 분야 교육경로 84 [그림 4-1] 비용효과성 차이의 원인 요약 172 [그림 4-2] 국가별 현장기반 중등직업교육 비율 현황 17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현장기반 직업교육훈련(VET) 국제비교연구 - 한국과 독일의 자동차 분야 사례 연구(Case Study) - | 2016.04.01~2016.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