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학습모듈의 효용성 평가체계 연구

A Study on the Usefulness Evaluation of National Competency Based Learning Module
저자
김지영 박종성 김인엽
분류정보
기본연구(2017-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7.10.31
등록일
2018.01.02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6
제2절 연구방법	6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한계	11
  1. 연구의 범위	11
  2. 연구의 한계	12
제4절 용어 정의	13
제2장  선행연구 분석_15
제1절 NCS 학습모듈의 개요	17
  1. NCS 학습모듈의 개념	17
  2. NCS 학습모듈의 특징	20
제2절 NCS 학습모듈의 활용	24
  1. NCS 학습모듈의 활용 정책	24
  2. NCS 학습모듈의 활용 현황	28
제3절 효용성 평가	34
  1. 효용성 구성요소	34
  2. 평가체계의 구축	36
  3.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 관련 쟁점	38
제4절 소결	40
제3장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 개발_43
제1절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 개발 방향	45
제2절 NCS 학습모듈 효용성 구성요소 도출	47
제3절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 개발	49
  1. 효용성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델파이조사	50
  2. 델파이조사 결과 분석	51
제4절 소결	75
  1. 상세버전의 평가지표	77
  2. 간략버전의 평가지표	83
제4장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방법과 절차 개발_89
제1절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방법 개발	91
  1. 평가 운영·관리 담당 기관	91
  2. 평가시기	92
  3. 평가위원의 구성 및 선정	93
  4. 평가방법 및 평가기간	94
  5. 평가비용	96
제2절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절차 개발	99
  1. 평가 준비	99
  2. 모의평가 실행	100
  3. 본평가 실행	101
  4. 평가결과 관리	102
제3절 소결	106
제5장  결론_111
제1절 연구 요약	113
제2절 정책 제언	117
참고문헌_122
부록_125
NCS 학습모듈의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목적은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직무능력을 교육·훈련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측정 가능한 성취 목표와 학습의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는 교과서, 교수·학습자료 및 가이드라인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한 NCS 학습모듈"의 효용성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신규 학습모듈을 개발할 때에도 내용을 점검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NCS 학습모듈의 특성과 학습모듈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학습모듈의 효용성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효용성 평가에 어떠한 문항들을 포함할 것인가, 어떠한 방법으로 평가할 것인가, 누가 평가하도록 할 것인가, 어떠한 절차로 평가할 것인가, 학습모듈을 평가하는 우선순위는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등에 대해 연구하여 학습모듈의 효용성을 세분류별 그리고 능력단위별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Last government developed NCS and NCS based Learning Module and had pushed for the application of it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ocational license system, recruitment and personnel management by businesses. The development of the NCS and Learning Module is crucial for the circulation of systems based on the NCS. The NCS based Learning Module was developed to support th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the NCS. It can be used as a text book, teaching material, guideline, and so forth. The NCS was developed on 847 classified jobs and Learning Module was developed 8,590 volumes during the 2013-2016 years. It is needed to establish a system of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the NCS based Learning Module developed with a heavy budget and staff for a wide range of tasks as the main tasks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until recent date. ...
<표 1-1> 전문가 자문회의 운영 내용	7
<표 1-2> 델파이조사 운영 내용	8
<표 1-3> FGI 운영 내용	9
<표 1-4> 세미나 운영 내용	9
<표 2-1> NCS 및 NCS 학습모듈 활용·확산 관련 정책 사업 추진 현황	26
<표 2-2> 교육·훈련기관의 NCS 학습모듈 활용 관련 주요 사업 추진 현황	27
<표 2-3> 직업교육·훈련기관에서의 NCS 학습모듈 활용 현황 비교	33
<표 3-1> 델파이조사 개요 	50
<표 3-2> 학습모듈 활용 적합 유형 진단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52
<표 3-3> 학습모듈 내용의 수준 진단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53
<표 3-4> 학습모듈 내용의 범위 진단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53
<표 3-5> 학습모듈 실습 내용의 구성 진단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54
<표 3-6> 학습모듈 형식 진단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55
<표 3-7> 학습모듈 개정주기 진단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56
<표 3-8> 학습모듈의 국가 차원에서의 개발 및 공급 필요성 진단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56
<표 3-9> 학습모듈의 산업현장 요구 직무수행능력 함양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57
<표 3-10> 학습모듈의 자격 취득 도움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58
<표 3-11> 학습모듈의 교과서 또는 참고자료 활용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59
<표 3-12> 학습과 학습내용의 체계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0
<표 3-13> 학습목표를 수업목표로 활용에 대한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1
<표 3-14> 필요지식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1
<표 3-15> 학습모듈 수행내용의 학교현장 현실성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2
<표 3-16> 수행 순서의 체계성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3
<표 3-17> 학습모듈 내 사진, 삽화, 도표 등의 적절성에 대한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3
<표 3-18> 학습모듈 학습내용에서 누락되거나 부정확한 내용 검토에 대한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4
<표 3-19> 학습모듈의 최신 동향 반영 정도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5
<표 3-20> 교수방법에 대한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5
<표 3-21> 학습방법에 대한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6
<표 3-22> 평가방법에 대한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7
<표 3-23>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7
<표 3-24> 학습모듈 분량에 대한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8
<표 3-25> 학습모듈의 보완을 위한 의견을 기술하도록 하는 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8
<표 3-26> 세분류 안에서 각 학습모듈의 학습내용 일관성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69
<표 3-27> 세분류 안에서 각 학습모듈 사이의 내용 중복 정도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70
<표 3-28> 세분류 안에서 각 학습모듈 사이의 완성도 차이 정도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71
<표 3-29> 세분류 안에서 중요한 내용들이 균형 있게 작성된 정도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71
<표 3-30> 세분류 안의 학습모듈을 조합하여 교육과정 구성 가능 여부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72
<표 3-31> 타 세분류의 학습모듈을 포함하여 교육과정 구성 가능 여부 평가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73
<표 3-32> 세분류 수준에서 학습모듈의 보완을 위한 의견을 기술하도록 하는 지표의 적절성 동의 정도	73
<표 3-33>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대상에 대한 조사 결과	74
<표 3-34> 간략한 형식의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방법에 대한 조사 결과	75
<표 3-35>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평가영역 1	77
<표 3-36>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평가영역 2	79
<표 3-37>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평가영역 3	82
<표 3-38>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평가영역 4	83
<표 3-39>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평가영역 1(간략버전)	84
<표 3-40>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평가영역 2(간략버전)	85
<표 3-41>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평가영역 3(간략버전)	86
<표 3-42>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평가영역 4(간략버전)	87
<표 4-1> 오프라인 집체평가의 예산 추계(안)	97
<표 4-2> 온라인 집체평가의 예산 추계(안)	98
<표 4-3>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절차	106
[그림 1-1]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도식	10
[그림 3-1]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를 위한 구성요소	48
[그림 3-2]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의 개발 절차	49
[그림 3-3]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지표 구성	76
[그림 4-1] NCS 학습모듈 효용성 평가절차 도식	10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학습모듈의 효용성 평가체계 연구 2017.01.01~2017.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