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학력, 성별, 나이에 따른 과잉학력 비율(한국) 55
<표 2-2> 학력, 성별, 나이에 따른 과잉스킬 비율(한국) 58
<표 2-3> 학력, 성별, 나이에 따른 실질적 과잉학력 비율(한국) 63
<표 2-4> PIAAC에서의 스킬활용 설문문항 65
<표 3-1> 스킬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학생포함) 104
<표 3-2> 스킬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학생제외) 105
<표 3-3> 스킬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직무와 기업특성 미통제) 114
<표 3-4> 스킬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직무와 기업특성 통제) 115
<표 3-5> 과잉학력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122
<표 3-6> 과잉학력과 과잉스킬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123
<표 3-7> 인지적 스킬이 과잉학력에 미치는 영향 125
<표 5-1> 선행연구를 통해 본 한국 조직문화의 특성 179
<표 5-2> 리더십에 대한 계층별 인식 수준 181
<표 5-3> 한국 기업의 저스킬체제의 원인 182
<표 5-4> 인터뷰 대상 업체 개요 184
<표 5-5> 직무분석 실시 및 결과 활용 비율 186
<표 5-6> 채용(면접 단계) 시 스킬 속성별 중요도 188
<표 5-7> 교육훈련 성과 193
<표 5-8> 교육훈련 전담조직 유무 및 교육훈련 계획 수립 여부 194
<표 5-9> 경력개발제도 참여율 195
<표 5-10> 책임소재, 조율 및 통제 영역 조직건강도 진단결과 196
<표 5-11> 스킬수준에 따른 연봉 격차 분석–속성별 평균 대 상위 25% 간 추가 지불 의향 임금 비율 197
<표 5-12> 직급별 급여제도 실시 현황 199
<표 5-13> 한국의 조직문화 개선 방향 211
<표 6-1> 스킬형성체제의 다양성 230
<표 6-2> 고등학교 유형별 졸업자 현황(2016년) 237
<표 6-3> 대학 유형별 졸업자 현황(2016년) 238
<표 6-4> 노사관계의 특성 변화 246
<표 6-5> 임금체계 분포 추이(2005~2011년) 249
[그림 1-1] 학력, 스킬, 고용, 임금의 관계-한국과 OECD 평균 비교 4
[그림 2-1] 지식・스킬・역량의 분류 15
[그림 2-2] 사회보호에 따른 스킬의 유형 19
[그림 2-3] 취업자 스킬수준 국제비교 27
[그림 2-4] 학력별 취업자 스킬수준 국제비교 28
[그림 2-5] 고용률 국제비교 29
[그림 2-6] 스킬수준별 고용률 국제비교 30
[그림 2-7] 시간당 임금 국제비교 32
[그림 2-8] 스킬수준별 시간당 임금 국제비교 33
[그림 2-9] 생산가능인구 스킬수준 국제비교 35
[그림 2-10] 생산가능인구의 스킬수준별 비중 국제비교 36
[그림 2-11] 취업자의 스킬수준별 비중 국제비교 37
[그림 2-12] 스킬수준별 고용률(학력구분) 38
[그림 2-13] 스킬수준별 고용률(학력구분, 남자) 39
[그림 2-14] 스킬수준별 고용률(학력구분, 여자) 40
[그림 2-15] 스킬수준별 고용률(성별구분) 40
[그림 2-16] 스킬수준별 고용률(나이구분) 41
[그림 2-17] 스킬수준별 취업상태, 정규교육상태, 미취업상태 비중(한국, 성별) 45
[그림 2-18] 스킬수준별 취업상태, 정규교육상태, 미취업상태 비중(한국, 학력별) 46
[그림 2-19] 스킬수준별 취업상태, 정규교육상태, 미취업상태 비중(한국, 연령별) 47
[그림 2-20] 스킬수준별 취업상태, 정규교육상태, 미취업상태 비중(OECD, 성별) 48
[그림 2-21] 스킬수준별 취업상태, 정규교육상태, 미취업상태 비중(OECD, 학력별) 49
[그림 2-22] 스킬수준별 취업상태, 정규교육상태, 미취업상태 비중(OECD, 연령별) 50
[그림 2-23] 스킬수준별 과잉학력 국제비교 52
[그림 2-24] 스킬수준별 과잉스킬 비율 국제비교 56
[그림 2-25] 스킬수준에 따른 학력 미스매치 분류 59
[그림 2-26] 스킬수준별 실질적 과잉학력 비율 국제비교 60
[그림 2-27] 일터에서 스킬활용 지수 국제비교 67
[그림 2-28] 스킬수준별 스킬활용 지수 국제비교 69
[그림 2-29] 전문직 비율 국제비교 71
[그림 2-30] 스킬수준별 전문직 비율 국제비교 72
[그림 2-31] 대기업 종사자 비율 국제비교 74
[그림 2-32] 스킬수준별 대기업 종사자 비율 국제비교 75
[그림 2-33] 사업주지원 교육훈련 참여율 국제비교 78
[그림 2-34] 스킬수준별 사업주지원 교육훈련 참여율 국제비교 79
[그림 2-35] 현 직장 근속 국제비교 81
[그림 2-36] 스킬수준별 현 직장 근속 국제비교 82
[그림 2-37] 실제경력 국제비교 85
[그림 2-38] 스킬수준별 실제경력 국제비교 86
[그림 2-39] 직무만족률 국제비교 88
[그림 2-40] 스킬수준별 직무만족률 국제비교 89
[그림 3-1] 스킬활용과 고스킬자(Level 4 & 5) 고용률 106
[그림 3-2] 전문직 종사자 비율과 고스킬자(Level 4 & 5) 고용률 107
[그림 3-3] 대기업 종사자 비중과 고스킬자(Level 4 & 5) 고용률 108
[그림 3-4] 현 직장 근속과 고스킬자(Level 4 & 5) 고용률 109
[그림 3-5] 노동시장 실제경력과 고스킬자(Level 4 & 5) 고용률 109
[그림 3-6] 직무만족률과 고스킬자(Level 4 & 5) 고용률 110
[그림 3-7] 사업주지원 교육훈련 참여율과 고스킬자(Level 4 & 5) 고용률 110
[그림 3-8] 취업자 언어능력과 고스킬자(Level 4 & 5) 고용률 111
[그림 4-1] OECD 국가들의 나이대별 언어능력 144
[그림 4-2] OECD 국가들의 나이대별 감가상각률 146
[그림 4-3] 언어능력 수준과 감가상각률 국제비교 149
[그림 4-4] OECD 국가들의 나이대별 취업상태와 미취업상태 감가상각률 151
[그림 4-5] 취업상태와 미취업상태 감가상각률 국제비교 154
[그림 4-6] 취업상태와 미취업상태 감가상각률 격차 국제비교 155
[그림 4-7] 스킬활용이 감가상각률에 미치는 영향 국제비교 157
[그림 4-8] 스킬활용 수준에 따라 스킬활용이 감가상각률에미치는 영향 158
[그림 4-9] 취업상태 감가상각률과 스킬부족의 관계 159
[그림 4-10] 감가상각률 1%p 증가가 인지적 스킬퇴화에 미치는 영향 161
[그림 4-11] 정규교육 1년을 통해 향상되는 인지적 스킬향상률 162
[그림 4-12] 정규교육 이후 연평균 인지적 스킬퇴화율 163
[그림 4-13] 스킬퇴화율의 한국과 OECD 평균 비교 165
[그림 4-14] 취업상태와 미취업상태 스킬퇴화율의 한국과 OECD 평균 비교 166
[그림 4-15] 취업상태 감가상각률과 고스킬자(Level 4 & 5) 고용률의 관계 168
[그림 4-16] 한국 취업자의 감가상각률이 감소될 경우 시뮬레이션 결과 169
[그림 6-1] 한국의 저스킬균형 양상 251
[그림 7-1] 취업상태 감가상각률과 노동생산성의 관계 263
[그림 7-2] 취업상태 감가상각률과 노동시간의 관계 264
[그림 7-3] 취업상태 감가상각률과 임금격차의 관계 265
[그림 7-4] 취업상태 감가상각률과 최저임금의 관계 266
[그림 7-5] 취업상태 감가상각률과 임금의 관계 267
[그림 7-6] 미취업상태 감가상각률과 인간개발지수의 관계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