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전문가 협의회 일정 및 내용 13
<표 2-1> 산업혁명의 역사와 인공지능 18
<표 3-1> 역량의 중요도 변화 63
<표 3-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역량 65
<표 3-3> 직업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 71
<표 3-4> 미래 역량에 대한 연구들 76
<표 5-1> 미래 시나리오 구성에서 고려한 요소 103
<표 5-2> 미래 워크숍 참여자 특성별 분포 107
<표 5-3> 미래 워크숍 내용 108
<표 5-4> 미래 워크숍 조 편성 110
<표 5-5> 미래 워크숍 워크시트 내용 111
<표 5-6> 시나리오별 단어 빈도수 122
<표 5-7> 미래 직업교육 상상하기 워크시트 내용 126
<표 5-8> 교사가 생각하는 미래 교육 내용 127
<표 5-9> 교사가 생각하는 미래 교육 방법 131
<표 5-10> 미래 교사의 역할과 위상 133
<표 6-1> 직업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 인식(사전, 사후) 144
<표 6-2> 직업교육의 방향에 대한 직업주의적 인식(교과별, 사전사후) 146
<표 6-3> 워크숍 사전, 사후 교사의 직업주의적 인식 변화 반복측정 분석 146
<표 6-4> 고교 직업교육 목적에 대한 교사 인식(사전 조사 결과) 150
<표 6-5> 워크숍 사전, 사후 차이에 대한 반복측정 분석 결과 151
<표 6-6> 최근 주요 고교 직업교육 정책(2016~2017년) 156
<표 6-7> 정책의 미래지향성과 개선 필요성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159
[그림 3-1] 자동화 확률분포(2010년 BLS 직업별 고용 자료) 51
[그림 3-2] 자동화 위험이 70% 이상인 직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비율 52
[그림 3-3] 직업군별 고용 전망(2015~2020) 54
[그림 3-4] AI 인간 추월 시기 중앙값과 50% 범위 55
[그림 3-5] O*NET 핵심 직무 역량 내용 모델 58
[그림 3-6] 직무 관련 핵심 역량에 대한 수요 변화, 2015~2020 59
[그림 3-7] 2002년과 2016년 숙련 중요도(Importance) 증감 61
[그림 3-8] 2021년 요구되는 역량 64
[그림 3-9] 고졸 청년의 성별․직업별 취업 구조 74
[그림 3-10] 특성화고 재학생 및 졸업생의 분야별 분포 74
[그림 4-1] NMC 미래 교육 전망 주요 결론 83
[그림 4-2] 2030 학교 변화에 대한 WISE 설문조사 결과 84
[그림 4-3] 뉴질랜드 미래 교육의 6원칙 86
[그림 5-1] 미래 비전 수립의 과정 101
[그림 5-2] 미래 시나리오별 성장 그래프와 이미지 102
[그림 5-3] 미래사회 시나리오 안내 내용 104
[그림 5-4] 미래 직업교육 시나리오 안내 내용 106
[그림 5-5] 미래 워크숍 만족도 112
[그림 5-6] 주황(성장)사회 주요 개념 114
[그림 5-7] 주황(성장)사회 네트워크 분석 115
[그림 5-8] 파랑(절제)사회 주요 개념 116
[그림 5-9] 파랑(절제)사회 네트워크 분석 117
[그림 5-10] 노랑(붕괴)사회 주요 개념 118
[그림 5-11] 노랑(붕괴)사회 네트워크 분석 119
[그림 5-12] 초록(대변환)사회 주요 개념 120
[그림 5-13] 초록(대변환)사회 네트워크 분석 121
[그림 5-14] 교사들이 선호하는 미래 123
[그림 5-15] 교사들이 선택한 가능성 높은 미래 124
[그림 5-16] 미래 교육 내용에 대한 특성화고 교사의 전망 136
[그림 5-17] 교사가 생각하는 미래 교육 방법 137
[그림 5-18] 교사가 예측한 미래 교사의 역할 138
[그림 6-1] 직업교육의 방향에 대한 교사 인식(사후 조사 결과) 148
[그림 6-2] 고교 직업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 인식 151
[그림 6-3] 직업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중요성 교사 인식(사후 조사) 152
[그림 6-4] 정책의 미래지향성과 개선 필요성에 대한 교사 인식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