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인공지능(AI) 시대의 직업 환경과 직업교육

Vocational education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저자
임언 안재영 권희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17-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7.12.31
등록일
2018.01.02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7
제3절 연구 방법	8
제2장 인공지능 기술 변화와 사회 변화_15
제1절 인공지능 기술 변화	19
제2절 기술 변화로 인한 사회 변화	38
제3장 인공지능 시대 직업 변화와 필요 역량_47
제1절 자동화와 직업 변화	49
제2절 미래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역량	57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69
제4장 기술 변화에 따른 교육 변화_79
제1절 미래 학교교육에 대한 전망	82
제2절 기술 변화가 반영된 교육 변화	87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90
제5장 미래사회와 직업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_97
제1절 미래 워크숍	99
제2절 특성화고 교사들의 미래사회에 대한 인식	112
제3절 미래사회의 고교 직업교육에 대한 교사 전망	125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33
제6장 고교 직업교육의 목적과 정책에 대한 교사 인식_139
제1절 직업교육 목적에 대한 교사 인식	142
제2절 주요 직업교육 정책 미래지향성에 대한 교사 평가	153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160
제7장 결론 및 제언_163
제1절 주요 결론	165
제2절 제언: 2030 고교 직업교육의 방향	168
SUMMARY_183
참고문헌_193
부록_207
<부록 1> 미래 워크숍 진행자 역할 안내	209
<부록 2> 미래 워크숍 1차 워크시트(미래사회)	212
<부록 3> 미래 워크숍 2차 워크시트(미래 직업교육)	214
<부록 4> 선호 미래사회/실현 가능성 설문조사	217
<부록 5> 특성화고 교육의 목표에 대한 인식(사전, 사후)	219
<부록 6> 미래 워크숍 만족도 조사	221
<부록 7> 특성화고 정책의 미래지향성 설문조사	222
<부록 8> 미래사회 시나리오별 텍스트마이닝 결과	224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을 비롯한 기술 변화, 그로 인하여 야기되는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교 단계 직업교육이 변화해야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Discussions about the rapid changes in society caused by  drsatic technological changes are vigorous. Currently,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Korea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and the expansion of work-based learning.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Is the direction of these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compatible with the coming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should respond to technological change. ...
<표 1-1> 전문가 협의회 일정 및 내용	13
<표 2-1> 산업혁명의 역사와 인공지능	18
<표 3-1> 역량의 중요도 변화	63
<표 3-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역량	65
<표 3-3> 직업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	71
<표 3-4> 미래 역량에 대한 연구들	76
<표 5-1> 미래 시나리오 구성에서 고려한 요소	103
<표 5-2> 미래 워크숍 참여자 특성별 분포	107
<표 5-3> 미래 워크숍 내용	108
<표 5-4> 미래 워크숍 조 편성	110
<표 5-5> 미래 워크숍 워크시트 내용	111
<표 5-6> 시나리오별 단어 빈도수	122
<표 5-7> 미래 직업교육 상상하기 워크시트 내용	126
<표 5-8> 교사가 생각하는 미래 교육 내용	127
<표 5-9> 교사가 생각하는 미래 교육 방법	131
<표 5-10> 미래 교사의 역할과 위상	133
<표 6-1> 직업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 인식(사전, 사후)	144
<표 6-2> 직업교육의 방향에 대한 직업주의적 인식(교과별, 사전사후)	146
<표 6-3> 워크숍 사전, 사후 교사의 직업주의적 인식 변화 반복측정 분석	146
<표 6-4> 고교 직업교육 목적에 대한 교사 인식(사전 조사 결과)	150
<표 6-5> 워크숍 사전, 사후 차이에 대한 반복측정 분석 결과	151
<표 6-6> 최근 주요 고교 직업교육 정책(2016~2017년)	156
<표 6-7> 정책의 미래지향성과 개선 필요성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159
[그림 3-1] 자동화 확률분포(2010년 BLS 직업별 고용 자료)	51
[그림 3-2] 자동화 위험이 70% 이상인 직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비율	52
[그림 3-3] 직업군별 고용 전망(2015~2020)	54
[그림 3-4] AI 인간 추월 시기 중앙값과 50% 범위	55
[그림 3-5] O*NET 핵심 직무 역량 내용 모델	58
[그림 3-6] 직무 관련 핵심 역량에 대한 수요 변화, 2015~2020	59
[그림 3-7] 2002년과 2016년 숙련 중요도(Importance) 증감	61
[그림 3-8] 2021년 요구되는 역량	64
[그림 3-9] 고졸 청년의 성별․직업별 취업 구조	74
[그림 3-10] 특성화고 재학생 및 졸업생의 분야별 분포	74
[그림 4-1] NMC 미래 교육 전망 주요 결론	83
[그림 4-2] 2030 학교 변화에 대한 WISE 설문조사 결과	84
[그림 4-3] 뉴질랜드 미래 교육의 6원칙	86
[그림 5-1] 미래 비전 수립의 과정	101
[그림 5-2] 미래 시나리오별 성장 그래프와 이미지	102
[그림 5-3] 미래사회 시나리오 안내 내용	104
[그림 5-4] 미래 직업교육 시나리오 안내 내용	106
[그림 5-5] 미래 워크숍 만족도	112
[그림 5-6] 주황(성장)사회 주요 개념	114
[그림 5-7] 주황(성장)사회 네트워크 분석	115
[그림 5-8] 파랑(절제)사회 주요 개념	116
[그림 5-9] 파랑(절제)사회 네트워크 분석	117
[그림 5-10] 노랑(붕괴)사회 주요 개념	118
[그림 5-11] 노랑(붕괴)사회 네트워크 분석	119
[그림 5-12] 초록(대변환)사회 주요 개념	120
[그림 5-13] 초록(대변환)사회 네트워크 분석	121
[그림 5-14] 교사들이 선호하는 미래	123
[그림 5-15] 교사들이 선택한 가능성 높은 미래	124
[그림 5-16] 미래 교육 내용에 대한 특성화고 교사의 전망	136
[그림 5-17] 교사가 생각하는 미래 교육 방법	137
[그림 5-18] 교사가 예측한 미래 교사의 역할	138
[그림 6-1] 직업교육의 방향에 대한 교사 인식(사후 조사 결과)	148
[그림 6-2] 고교 직업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 인식	151
[그림 6-3] 직업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중요성 교사 인식(사후 조사)	152
[그림 6-4] 정책의 미래지향성과 개선 필요성에 대한 교사 인식	15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공지능(AI) 시대의 직업 환경과 직업교육 2017.01.01~2017.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