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 진로체험의 효과 분석과 발전 방안
Study on Work Experience Programs in Free-Semester System
- 저자
- 주휘정 김영식 양정승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7-1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7.10.31
- 등록일
- 2018.01.02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범위, 내용, 방법 및 구성 체계 5 제2장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현황_11 제1절 ’17년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현황 13 제2절 자유학기 대상 학교 체험활동 운영 현황 21 제3절 자유학기제 시행 이전의 진로체험 현황 30 제3장 자유학기제 진로체험의 참여 실태 및 효과 조사연구_37 제1절 연구 설계 39 제2절 조사연구 분석 결과 47 제3절 소결 61 제4장 진로체험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_65 제1절 연구 설계 67 제2절 실험연구 분석 결과 75 제3절 소결 85 제5장 중학교 단계 진로체험의 해외 사례 _87 제1절 독일: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선택을 위한 진로체험 89 제2절 덴마크: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진로체험 94 제3절 시사점 97 제6장 자유학기제 진로체험의 발전 방안 _101 제1절 요약 및 결론 103 제2절 정책 방안 105 SUMMARY_119 참고문헌_123 부록_129
본 연구는 앞서 진술한 연구 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자유학기제 진로체험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2017년 1학기에 시행된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현황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상황실 내부 자료 및 꿈길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유학기제 시행 전 중학교 과정 3년 동안 진로체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자유학기제 시행 전과 시행 후의 개략적인 상황을 비교하여 자유학기제 진로체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둘째, 2017년 1학기 자유학기제 시행 학교와 미시행 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이전의 진로체험 경험, 1학기 동안의 진로체험 참여 실태, 진로체험 참여 후의 변화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진로체험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실험연구 설계를 통해 자유학기제 시행 학교에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유사한 지역, 규모, 특성을 지닌 학교의 학생을 통제집단으로 상정하여 실험연구를 통한 진로체험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넷째, 해외 사례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과 덴마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다섯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 자유학기제 진로체험의 효과 제고 및 발전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basically aims to collect the data fo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 experience programs for free-semester system. The two main data for this study were the survey questionnaire on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ng in work experience programs from students,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work experience programs from each school in 2017. The information for the work experience programs was collected from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 network "Ggoomgil" (www.ggoomgil.go.kr). Also, the authors conducted two experimental studies with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work experience programs and the group that did not. Review on international case studies were helpful to propose some implications for improving work experience programs in Korea, and discussion on the work experience programs are expected to suggest some career education policy implications for bridging free and general semesters. ...
<표 2-1> 체험처 유형별 체험활동 수 13 <표 2-2> 체험 유형별 체험활동 수 14 <표 2-3> 체험 인원별 체험활동 수 15 <표 2-4> 지역별 체험활동 수 16 <표 2-5> 체험처 유형별 체험활동 수(진로체험활동) 18 <표 2-6> 체험 유형별 체험활동 수(진로체험활동) 19 <표 2-7> 체험 인원별 체험활동 수(진로체험활동) 20 <표 2-8> 지역별 체험활동 수(진로체험활동) 21 <표 2-9> 체험처 유형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22 <표 2-10> 체험 유형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23 <표 2-11> 체험 인원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24 <표 2-12> 지역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25 <표 2-13> 체험처 유형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진로체험) 26 <표 2-14> 체험 유형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진로체험) 27 <표 2-15> 체험 인원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진로체험) 28 <표 2-16> 지역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진로체험) 29 <표 2-17> 학년별 직업체험활동 참여 빈도(지역별) 31 <표 2-18> 직업체험활동 참여 시간(지역별) 32 <표 2-19> 지역별 진로체험 관련 현황 33 <표 2-20> 학년별 직업체험활동 참여 빈도(가구 소득별) 34 <표 2-21> 직업체험활동 참여 시간(가구 소득별) 35 <표 3-1> 설문조사 대상 학교 41 <표 3-2> 학업 측정 문항 44 <표 3-3> 학교생활 측정 문항 44 <표 3-4> 행복 측정 문항 45 <표 3-5> 진로성숙 측정 문항 45 <표 3-6> 설문조사 참여 현황 47 <표 3-7> 부모와 함께 한 체험활동 48 <표 3-8> 사전 진로체험활동 횟수 49 <표 3-9> 사후 진로체험활동 횟수 49 <표 3-10> 진로체험 태도 및 만족도 50 <표 3-11> 학업 50 <표 3-12> 학교생활 및 행복도 51 <표 3-13> 진로성숙 52 <표 3-14> 이중차분 분석 결과(종속변수: 학업) 55 <표 3-15> 이중차분 분석 결과(종속변수: 학교생활과 행복도) 57 <표 3-16> 이중차분 분석 결과(종속변수: 진로성숙도) 60 <표 4-1> 실험연구 대상 69 <표 4-2> 진로캠프 일정표 73 <표 4-3> 진로체험 경험 학생과 미경험 학생 간 진로성숙도 변화량 차이 75 <표 4-4> 진로체험 경험 학생과 미경험 학생 간 진로포부 변화량 차이 76 <표 4-5> 진로체험 경험 학생과 미경험 학생 간 자기이해 변화량 차이 77 <표 4-6> 진로체험 경험 학생과 미경험 학생 간 정보탐색 변화량 차이 79 <표 4-7> 진로체험 경험 학생과 미경험 학생 간 직업태도 변화량 차이 80 <표 4-8> 진로체험 경험 학생과 미경험 학생 간 진로계획성 변화량 차이 81 <표 4-9> 진로체험 경험 학생과 미경험 학생 간 합리적 의사결정 변화량 차이 83 <표 4-10> 진로체험 경험 학생과 미경험 학생 간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량 차이 84 [그림 1-1] 연구 내용, 방법, 구성 체계 9 [그림 2-1] 체험처 유형별 체험활동 수 14 [그림 2-2] 체험 유형별 체험활동 수 15 [그림 2-3] 체험 인원별 체험활동 수 16 [그림 2-4] 지역별 체험활동 수 17 [그림 2-5] 체험처 유형별 체험활동 수(진로체험활동) 18 [그림 2-6] 체험 유형별 체험활동 수(진로체험활동) 19 [그림 2-7] 체험 인원별 체험활동 수(진로체험활동) 20 [그림 2-8] 지역별 체험활동 수(진로체험활동) 21 [그림 2-9] 체험처 유형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22 [그림 2-10] 체험 유형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23 [그림 2-11] 체험 인원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24 [그림 2-12] 지역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25 [그림 2-13] 체험처 유형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진로체험) 26 [그림 2-14] 체험 유형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진로체험) 27 [그림 2-15] 체험 인원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진로체험) 28 [그림 2-16] 지역별 체험활동 수(자유학기 진로체험) 29 [그림 3-1] 이중차분 모형 개요 42 [그림 4-1] Arduino CAR 주제 설계 71 [그림 4-2] Arduino CAR 프로그램의 구성 72 [그림 5-1] 독일 연방정부의 교육사슬(Educational Chains) 계획 9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의 효과 분석과 발전 방안 | 2017.01.01~2017.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