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고등교육단계의 진로교육 정책 방향과 과제

Policy Directions and Challenges on Careers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저자
정윤경 나현미 이지은 임해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17-1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7.10.31
등록일
2018.01.02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제3절 용어의 정의 및 연구의 범위	15
제2장 대학 진로교육 정책 및 현황_21
제1절 대학생의 진로 현황 및 선행연구	23
제2절 대학 진로교육 정책	49
제3절 시사점	74
제3장 국내외 대학 진로교육 사례_77
제1절 국내 대학 진로교육 사례	79
제2절 국외 대학 진로교육 사례 	102
제3절 시사점	160
제4장 대학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_165
제1절 요구 조사 개요	167
제2절 대학생의 진로교육 인식 및 요구	177
제3절 교수의 진로교육 인식 및 요구	213
제4절 실무자의 진로교육 인식 및 요구	235
제5절 시사점	259
제5장 대학 진로교육 정책 제언_269
제1절 대학 진로교육 정책 기본 방향	271
제2절 대학 진로교육 정책 추진 과제	277
제3절 대학 단위의 진로교육 체제 및 운영 방안	284
SUMMARY_291
참고문헌_297
부록_307
<부록 1> 대학생 설문조사지	309
<부록 2> 대학 교수 설문조사지	318
<부록 3> 진로·취업지원 실무자 설문조사지	325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진로교육 정책 방향과 과제를 마련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진로교육 정책의 기본 방향을 수립한다.
둘째, 대학 진로교육 정책의 추진 과제를 제시한다.
셋째, 대학 단위의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위한 체제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대학생의 진로 현황 및 관련 선행연구 분석, 대학 진로교육 정책 분석, 대학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국내외 대학 진로교육 사례 분석, 대학의 진로교육 정책 방향과 과제 제언 등 크게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대학생 진로 현황 및 선행연구 분석
나. 대학 진로교육 정책 분석
다. 대학 진로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라. 국내외 대학 진로교육 사례 분석
마. 대학 진로교육 정책 방향 및 과제 제언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students, society and nation to prepare for the systematic career preparation in higher education phase due to the high rate of university entrance in Korea. The government has been contributed to university career education in promoting policies to support employment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there is an indication that the organic linkage of policies by ministries is insufficient and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and the needs of its members. It is pointed out that systematic career education is needed at higher education level in preparation for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abor market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basic directions and challenges of career education policy in higher education and proposes effective career education system and operational management method in university. ...
<표 1-1> 포커스 그룹 인터뷰 실시 현황	10
<표 1-2> 전문가 협의회 개최 현황	12
<표 1-3> 세미나 개최 현황	13
<표 2-1> 대학생 신규창업현황(2011~2013년)	31
<표 2-2> 선행연구에서 본 대학 진로교육의 문제점과 분석틀	35
<표 2-3> 진로교육 및 체험 관련 법령	49
<표 2-4> 취업지원 관련 법령	50
<표 2-5> 창업지원 관련 법령	53
<표 2-6> 대학생 진로교육 및 취·창업 관련 연계 사업	54
<표 2-7> PRIME 사업 주요내용	55
<표 2-8> PRIME 사업 진로교육관련 세부 평가지표 	56
<표 2-9> 고용노동부 청년대상 정책	60
<표 2-10> 청년취업아카데미 지원 대상	64
<표 2-11> 청년취업아카데미 운영방법	65
<표 2-12> 재학생 직무체험 사업개요	66
<표 3-1> 아주대학교 Startup 3by3 구성	95
<표 3-2> 더럼대학 화학과 2017년 진로지원활동 사례	117
<표 3-3> 1학년의 진로교육	133
<표 3-4> 2/3학년의 진로교육	135
<표 3-5> 4학년의 진로교육	137
<표 3-6> 야마나시대학교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145
<표 3-7> 직무 체계의 이점	149
<표 3-8> NTU의 학생 진로개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154
<표 3-9> SIM대학의 학생 진로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159
<표 4-1> 대학 진로교육 요구 조사 개요	168
<표 4-2> 대학생 조사 대상자 리스트 및 응답자 수 	169
<표 4-3> 대학 교수 조사 대상자 리스트 및 응답자 수 	170
<표 4-4> 취업지원센터 실무자 조사 대상자 리스트 및 응답자 수 	171
<표 4-5> 조사 진행 과정	172
<표 4-6> 대학생 설문조사 항목 	173
<표 4-7> 대학 교수 설문조사 항목 	174
<표 4-8> 취업지원센터 실무자 설문조사 항목	176
<표 4-9> 대학생 설문 응답자 특성	178
<표 4-10> 대학생의 진로 준비 정도	183
<표 4-11> 대학생의 진로수업 및 프로그램 참여 희망 시기	185
<표 4-12> 대학생의 진로선택 및 결정 시 가장 영향을 끼친 사람	188
<표 4-13> 대학생의 진로관련 수업 수강 여부	189
<표 4-14> 진로관련 수업 – 진로설계 도움 정도	191
<표 4-15> 진로관련 수업의 적절한 운영 방식	196
<표 4-16> 대학 내 진로 및 취업교과목의 희망운영 방식	197
<표 4-17> 대학 제공 진로관련 프로그램/활동(수업 제외) 참여정도	199
<표 4-18> 대학 제공 진로 관련 프로그램 및 활동의 진로설계 및 탐색에의 도움 여부 	200
<표 4-19> 전공 및 지도교수에 대한 인식	205
<표 4-20> 진로관련 기관(취업지원센터 등) 교직원(담당자)에 인식	206
<표 4-21> 대학 및 학과의 진로교육 제공에 대한 인식	208
<표 4-22> 창업에 대한 관심 유무	209
<표 4-23> 교수 설문 응답자 특성	214
<표 4-24> 한 학기 지도 학생 수	223
<표 4-25> 한 학생 지도에 소요되는 시간	224
<표 4-26> 대학 진로․취업 실무자 설문 응답자 특성	235
<표 4-27> 진로교육 및 취․창업교육 필요성(대학 실무자)	237
<표 4-28> 온라인 시스템 구축·운영 유무	251
<표 5-1> 대학의 진로교육 비전 및 역할 강화 정책 추진 과제	277
<표 5-2> 학교별 특성 및 전공 특성을 고려한 심화된 진로교육 확대 정책 추진 과제	278
<표 5-3> 대학 진로․취․창업교육 교육과정의 질 제고 및 내실화 강화 정책 추진 과제	279
<표 5-4> 대학 내 조직 체계 및 유관기관 연계 강화 정책 추진 과제	280
<표 5-5> 대학과 노동시장 연계 강화, 진로․취․창업교육 및 일 체험 기회 제공을 위한 재정지원 확대 정책 추진 과제	281
<표 5-6> 대학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참여 제고를 위한 홍보 및 후속연구 지속 정책 추진 과제	283
[그림 1-1] 본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14
[그림 2-1] 고등교육기관 재적학생, 입학자 수(2010~2017년)	24
[그림 2-2] 고등교육기관 신입생, 재학생 충원율(2010~2017년) 	25
[그림 2-3] 대학 입학자원 규모 전망 및 입학정원 변화 추이	26
[그림 2-4] 2011~2015년 졸업자 학제별 취업률 현황	28
[그림 2-5] 2015년 일반대학 졸업자 계열별 취업률 현황	29
[그림 2-6] 2015년 일반대학 졸업자 학교소재지별 취업률 현황	30
[그림 2-7]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학제별 진학률(2011~2015년)	32
[그림 2-8] 2015년 일반대학 졸업자 전공별 진학률	33
[그림 2-9] 2015년 일반대학 학교 소재지별 진학률	34
[그림 2-10]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사업추진체계	63
[그림 2-11] 청년취업아카데미 사업추진체계	65
[그림 2-12] 취업연계 R&D 교육센터 운영체계	67
[그림 2-13]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사업추진체계	68
[그림 2-14] 대학생 창업 아카데미 사업추진체계	69
[그림 2-15] 청년여성 경력개발 지원사업 사업추진체계	70
[그림 2-16] 청춘순례사업 사업추진체계	71
[그림 3-1] 광주 호남대학교의 진로교육 관련 비전, 목표 및 핵심역량 	80
[그림 3-2] 인재개발원의 미션	82
[그림 3-3] 인재개발원의 비전	82
[그림 3-4] 인재개발원 조직도	83
[그림 3-5] 인재개발원의 역할과 구성	83
[그림 3-6] 4단계 취업지원 프로그램 	84
[그림 3-7] 리더십 교육 절차와 내용	84
[그림 3-8] 현장실습 절차	85
[그림 3-9] 진로교육 교육과정	86
[그림 3-10] 진로교육 로드맵	86
[그림 3-11] 경력개발처 조직도	87
[그림 3-12] 진로개발 조직	88
[그림 3-13] 진로개발 지원 강화 기대효과	89
[그림 3-14] 학생경력관리포털 시스템	89
[그림 3-15] 진로교육 발전 방향	90
[그림 3-16] 대구 한의대학교 진로개발 로드맵	92
[그림 3-17] 서강대학교 MEP 프로그램	94
[그림 3-18] Challenge e-포트폴리오 메인화면	96
[그림 3-19] 동의대학교 취업역량관리시스템	99
[그림 3-20]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의 산학협력 교육과정(CLC)	101
[그림 3-21] Leeds대학 DLHE QlikView 시스템	106
[그림 3-22] Leeds대학 DLHE QlikView의 졸업생 진로현황 화면	106
[그림 3-23] Leeds대학 DLHE QlikView의 신입생 분석 정보 화면	107
[그림 3-24] Leeds대학 DLHE QlikView의 학생 취업준비 정보 화면	108
[그림 3-25] ‘Leeds for Life’의 개념 구성도	112
[그림 3-26] ‘Leeds for Life’의 10가지 주제	113
[그림 3-27] Durham대학 경력개발센터의 조직 구성도	116
[그림 3-28] 싱가포르의 Skills Framework 	147
[그림 3-29] 싱가포르 Skills Framework의 주요 목적	148
[그림 3-30] 난양공과대학 Career&Attachment Office의 조직	153
[그림 4-1] 대학생의 현재 전공 선택 이유(중복응답)	180
[그림 4-2] 대학생이 현재 전공에 불만족하는 이유(중복응답)	180
[그림 4-3] 성, 학년, 계열에 따른 대학생 전공 불만족 이유(중복응답)	181
[그림 4-4] 대학생의 학년별 졸업 후 진로결정	182
[그림 4-5]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졸업 후 진로결정	183
[그림 4-6] 현재 진로준비의 가장 큰 고민(전체/성별/학년2)	186
[그림 4-7] 전체 및 성별 대학생의 진로정보 출처	187
[그림 4-8]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진로에 관한 정보 출처	188
[그림 4-9] 대학생의 진로 관련 이수과목 수 	190
[그림 4-10] 전체 및 학년별 진로관련 수강과목 유형(복수 응답)	191
[그림 4-11] 대학생의 진로관련 수업 이수 이유	192
[그림 4-12] 진로관련 수업이 진로설계에 도움 된 이유(전체/계열별)	193
[그림 4-13] 진로관련 수업이 진로설계에 도움이 되지 않은 이유(전체)	194
[그림 4-14] 진로관련 수업이 진로설계에 도움이 되지 않은 이유(학년별)	194
[그림 4-15] 대학생의 진로관련 비교과 프로그램 및 활동 참여(전체)	198
[그림 4-16] 전체 및 성별 대학생에게 가장 도움된 진로 프로그램 및활동 (1순위)	201
[그림 4-17] 학년별 대학 제공 진로관련 프로그램이 진로설계 및 탐색에 도움 된 이유	202
[그림 4-18] 대학 진로관련 프로그램 및 활동이 도움되지 않은 이유(전체/학년)	203
[그림 4-19] 대학생이 본 대학 진로관련 프로그램 및 활동의 개선할 점 (중복응답)	203
[그림 4-20] 대학생의 창업 관련 프로그램 및 활동 참여 경험 	210
[그림 4-21] 대학생의 자체 진로활동 경험(전체)	210
[그림 4-22] 대학생의 자체 진로활동이 진로에 도움 된 측면	211
[그림 4-23] 전체 대학생이 선호하는 진로교육 방식 (1순위)	212
[그림 4-24] 대학생이 희망하는 대학의 효과적인 지원방안(중복응답)	213
[그림 4-25] 대학 진로교육 및 취․창업교육의 필요성(교수 전체)	216
[그림 4-26] 대학 취업교육 및 지도의 필요성(교수 성별)	216
[그림 4-27] 대학 창업교육 및 지도의 필요성(교수 재직대학 소재별)	216
[그림 4-28] 교수의 진로교육 및 취․창업교육 참여 정도 (2016년 기준)	217
[그림 4-29] 계열별 교수의 취․창업교육 및 일체험 지도 참여 정도(2016년 기준)	217
[그림 4-30] 보직경험별 교수의 취업교육 및 지도 참여 정도(2016년 기준)	218
[그림 4-31] 대학 진로교육 및 취․창업교육에 대한 교수 참여의 중요도(전체)	218
[그림 4-32] 교수의 학생 진로교육, 취․창업교육 및 지도 시 애로사항 (중복응답)	219
[그림 4-33] 진로교육, 취․창업교육 및 지도에 대학 교수들이 희망하는 대학의 지원방안 (중복응답)	220
[그림 4-34] 진로․취․창업교육 관련 책임교수제도(가칭) 운영 여부	221
[그림 4-35] 전체 및 전공계열별 교수의 책임교수제도(가칭) 참여 경험	222
[그림 4-36] 교수의 책임교수제도 참여 기간(전체/직급/보직유무)	223
[그림 4-37] 교수 전체 및 연령별 책임교수제도 운영 시 애로사항 (1순위)	225
[그림 4-38] 교수의 소속대학규모별 책임교수제도 운영 시 애로사항 (1순위)	226
[그림 4-39] 대학 차원의 진로교육, 취․창업교육 및 지도 전담조직 유무	226
[그림 4-40] 대학의 진로교육, 취․창업교육 및 지도 애로사항이나 문제점 (1순위)	227
[그림 4-41] 대학의 진로교육, 취․창업교육 및 지도 애로사항이나 문제점 (1순위)	228
[그림 4-42] 재학생의 진로교육, 취․창업 관련 교과목 개설 유무 	229
[그림 4-43] 교수 전체 및 연령별 학생 진로교육, 취․창업 지원 교과목 (학점 부여) 개설․운영 필요성	229
[그림 4-44] 교수 전체 및 학교규모별 교과목(학점 부여) 개설․운영의 애로사항 (1순위)	230
[그림 4-45] 진로교육, 취․창업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학점 미부여) 유무 	232
[그림 4-46] 대학생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를 위해 대학이 도입․확대할 점에 대한 교수 의견 (중복응답)	233
[그림 4-47] 교수가 생각하는 대학 차원의 진로교육 정책 방향 사항 (전체/1순위)	234
[그림 4-48] 교수가 생각하는 국가 차원의 진로교육 정책 방향 사항 (전체/1순위)	234
[그림 4-49] 대학 차원의 진로교육, 취․창업교육 및 지도 조직·담당자 유무	238
[그림 4-50] 대학 차원 조직의 담당 역할 범위 (중복응답)	238
[그림 4-51] 단과대학 또는 학과 차원의 진로교육, 취․창업교육 및 지도 조직 유무	239
[그림 4-52] 단과대학 또는 학과 차원 조직의 담당 역할 범위 (중복응답)	239
[그림 4-53] 대학실무자의 진로교육 및 취․창업교육의 애로사항 (1순위)	240
[그림 4-54] 대학실무자의 진로교육 및 취․창업교육 관련 조직 운영의 애로사항 (1순위)	241
[그림 4-55] 진로교육, 취․창업교육 및 지도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계획 유무 	242
[그림 4-56] 진로교육, 취․창업교육의 학년별 교육과정 운영 계획 유무	242
[그림 4-57] 실무자 전체 및 연령별 진로․취․창업교육 교과목(학점 부여) 개설 유무	243
[그림 4-58] 대학 실무자 권역별 진로․취․창업교육 교과목(학점 부여) 개설 유무	243
[그림 4-59] 대학실무자가 본 진로․취․창업교육 교과목(학점 부여) 개설․운영 애로사항 (1순위/중복응답)	244
[그림 4-60] 대학실무자 전체 및 대학규모별 취업박람회 개최 계획 유무	245
[그림 4-61] 대학권역별 취업박람회 개최 계획 유무	245
[그림 4-62]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 계획	246
[그림 4-63] 대학실무자 책임교수제도(가칭) 운영 유무(전체)	246
[그림 4-64] 책임교수제도(가칭)를 적용하고 있는 교육범위 (중복응답)	247
[그림 4-65] 대학실무자 전체 및 설립구분별 책임교수제도에 대한 교수들의 참여 정도	248
[그림 4-66] 대학실무자 권역별 책임교수제도에 대한 교수들의 참여 정도	248
[그림 4-67]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 적용 유무	249
[그림 4-68] 전체 실무자가 본 책임교수제도 운영의 애로사항 (전체/1순위)	250
[그림 4-69] 온라인시스템의 제공 서비스 순위 (실무자 전체)	251
[그림 4-70] 온라인시스템의 이용자 비율 (중복응답)	253
[그림 4-71] 대학실무자의 온라인 시스템 운영의 애로사항 (중복응답)	253
[그림 4-72]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축 유무 	254
[그림 4-73] 대학실무자 전체 및 설립구분별 오프라인 네트워크 활용도	254
[그림 4-74] 대학실무자 규모별 오프라인 네트워크 활용도	255
[그림 4-75] 대학실무자 권역별 오프라인 네트워크 활용도	255
[그림 4-76] 대학생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를 위해 대학이 도입․확대할 방향에 대한 실무자 의견 (중복응답)	256
[그림 4-77] 실무자가 본 대학 차원의 진로교육 정책 방향(1순위)	257
[그림 4-78] 실무자가 본 국가 차원의 진로교육 정책 방향(1순위)	258
[그림 5-1] 진로교육 체제 및 운영방안 모형	285
[그림 5-2] 진로교육의 비전과 목표 수립에 따른 조직 구성	285
[그림 5-3] 진로교육에 대한 유기적 정보공유	286
[그림 5-4] 학년별 취·창업교육 단계	287
[그림 5-5] 온라인 진로교육지원정보시스템 구성 요소	288
[그림 5-6] 학생 개인별 맞춤형 진로교육 서비스	289
[그림 5-7] 창업 네트워크 구성	29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고등교육단계의 진로교육 정책 방향과 과제 2017.01.01~2017.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