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Labor Market Outcomes of the Youth
- 저자
- 정지운 홍광표 류지영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7-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7.10.31
- 등록일
- 2018.01.16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5 제2장 청년층의 노동시장 상황과 정책 대응_7 제1절 청년층의 노동시장 상황 9 제2절 청년층 노동시장 문제에 대한 정책 대응 31 제3절 소결 65 제3장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분석_67 제1절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69 제2절 분석자료 및 분석 방법 74 제3절 학교와 노동시장 간의 이행 분석 결과 75 제4절 소결 86 제4장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_87 제1절 서론: 연구의 의의와 제약 89 제2절 기존연구 102 제3절 분석모형과 자료 107 제4절 분석 결과 115 제5절 소결 121 제5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_123 제1절 결론 125 제2절 정책 시사점 126 SUMMARY_129 참고문헌_135 참고자료_142 부 록_147
이 연구의 목적(주제)은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청년층의 노동시장 상황과 정부의 정책 대응을 개괄한 후 성과에 대해 논의한다. 둘째,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transition) 과정을 유형화하여 그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비인지적 능력이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식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 수립을 위한 전략을 제안한다. 이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은 청년층의 노동시장 현황 분석으로서 ① 인구 및 노동력 현황, ② 청년층의 경제활동 상태, ③ 청년층의 근로조건과 취업활동 과정, 그리고 ④ 청년층의 일자리 이동 등을 분석하였다. 제3장은 미시자료를 활용하여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분석으로서 ① ‘학교 ↔ 노동시장’, ② ‘실업 ↔ 고용’, 그리고 ③ ‘훈련과정 ↔ 고용’으로 유형화한 후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행태를 분석하였다. 제4장은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와 관련한 기존연구 결과를 일별하고, 비인지적 능력의 영향에 대해 식별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청년층 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사실들을 개괄하고 효과적인 정책 대안을 모색하였다.
In this research, the purpose is to seek youth labor market situation and policy correspondence, to seek ways to improve youth labor market performance.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Using the summarized data such as chapter 2 "Economic Activity Population Survey", we presented the situation and main facts of the youth labor market. In chapter 3, after examining the survey materials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we argue the transitional aspects to the labor market at the cohort, school types, and gender and presented key features. In chapter 4, we focus on the role of noncognitive skill as factors to determine labor market outcomes of youth, estimate their effect, and finally in policy chapter 5 we presented policy suggestions. ...
<표 2-1> 청년층 고용부진 원인과 정책 방향 32 <표 2-2> 정부의 청년(고용) 관련 종합대책 33 <표 2-3> 연도별 청년인턴사업 예산 및 참여자 현황 34 <표 2-4> 청년취업성공패키지 지원 내용 35 <표 2-5> 글로벌청년리더 양성계획 사업분야 36 <표 2-6> 청년고용정책 사업 유형 및 분류 43 <표 2-7> 2016년 고용노동부 청년고용정책사업(총 27개 사업) 46 <표 2-8> 2016년 고용노동부 이외 부처별 청년고용정책사업 50 <표 2-9> 청년층 대상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예산 현황 63 <표 2-10> 2016년 청년일자리 사업 현황 64 <표 3-1> 코호트별 교육-고용 이행 경로 75 <표 4-1>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관련 기존 문헌 92 <표 4-2> 빅5 요인의 특성 104 <표 4-3> 변수의 정의와 구성 110 <표 4-4> 기초통계 111 <표 4-5> 성격 요인 평가 문항 112 <표 4-6> 비인지적 역량 평가 세부 문항 응답의 분포 113 <표 4-7>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114 <표 4-8> 인지적/비인지적 능력의 임금에 대한 영향: OLS추정 115 <표 4-9> 시간당 임금 분위회귀분석 결과 117 <표 4-10> 인지적/비인지적 능력의 임금에 대한 영향: EIV추정 118 <표 4-11> 직무유형별 인지적/비인지적 능력의 임금에 대한 영향 추정 120 <부표 1> 연도별 연령별 인구 전망 149 <부표 2> 청년(15-29세) 인구 규모와 증감 및 비중(2017. 8. 기준) 150 <부표 3> 청년(15-29세) 취업자 수 및 고용률 추이 151 <부표 4> 성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 및 고용률 추이 152 <부표 5> 연령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 및 고용률 추이 153 <부표 6> 연령별 종사상 지위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 및 비중 추이 155 <부표 7> 연령별 종사상 지위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 및 비중 추이(계속) 157 <부표 8> 청년(15-29세) 정규직/비정규직 취업자 수 추이 159 <부표 9> 규모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 및 비중 추이 160 <부표 10> 직업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 및 비중 추이 161 <부표 11> 산업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 및 비중 추이 163 <부표 12> 산업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 및 비중 추이(계속) 165 <부표 13> 청년(15-29세) 실업자 수 및 실업률 추이 167 <부표 14> 비경제활동사유별 청년(15-29세) 비경제활동인구 수 추이 168 <부표 15> 청년(15-29세)의 시간당 임금 및 월 근로시간 추이 172 <부표 16> 성별 청년(15-29세)의 시간당 임금 추이 173 <부표 17> 성별 청년(15-29세)의 월 근로시간 추이 173 <부표 18> 학력별 청년(15-29세)의 시간당 임금 추이 173 <부표 19> 학력별 청년(15-29세)의 월 근로시간 추이 174 <부표 20> 규모별 청년(15-29세)의 시간당 임금 추이 174 <부표 21> 규모별 청년(15-29세)의 월 근로시간 추이 174 <부표 22> 직업별 청년(15-29세)의 시간당 임금 추이 175 <부표 23> 직업별 청년(15-29세)의 월 근로시간 추이 176 <부표 24> 산업별 청년(15-29세)의 시간당 임금 추이 177 [그림 2-1] 청년(15-29세) 취업자 수 및 고용률 추이 11 [그림 2-2] 성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 및 고용률 추이 12 [그림 2-3] 연령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 추이 13 [그림 2-4] 연령별 청년(15-29세) 고용률 추이 14 [그림 2-5] 청년(15-29세) 실업자 수 및 실업률 추이 16 [그림 2-6] 청년(15-29세) 비경제활동인구 수 추이 17 [그림 2-7] 산업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2017.8. 기준) 19 [그림 2-8]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수(2017.8. 기준) 19 [그림 2-9] 기업규모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 추이 20 [그림 2-10] 직업별 청년(15-29세) 취업자 수(2017.8. 기준) 21 [그림 2-11] 성별 청년(15-29세)의 시간당 임금 및 월 근로시간(2016.6. 기준) 추이 23 [그림 2-12] 학력별 청년(15-29세)의 시간당 임금 및 월 근로시간 추이(2016.6. 기준) 24 [그림 2-13] 규모별 청년(15-29세)의 시간당 임금 및 월 근로시간 추이(2016.6. 기준) 26 [그림 2-14] 직업별 청년(15-29세)의 시간당 임금(2016.6. 기준) 27 [그림 2-15] 산업별 청년(15-29세)의 월 근로시간(2016.6. 기준) 28 [그림 2-16] 직업별 청년(15-29세)의 월 근로시간(2016.6. 기준) 29 [그림 2-17] 산업별 청년(15-29세)의 시간당 임금(2016.6. 기준) 30 [그림 2-18] 청년일자리 사업의 예산 추이 62 [그림 3-1] Schmid의 5개 노동시장 이행 유형 70 [그림 3-2] 중3 코호트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경로 78 [그림 3-3] 고3 코호트 학교에서 노동시장 이행 경로 79 [그림 3-4] 중3 코호트 중 실업고 진학자의 학교에서 노동시장 이행 경로 80 [그림 3-5] 중3 코호트 중 일반고 진학자의 학교에서 노동시장 이행 경로 81 [그림 3-6] 고3 코호트 중 실업고 졸업자의 학교에서 노동시장 이행 경로 82 [그림 3-7] 고3 코호트 중 일반고 졸업자의 학교에서 노동시장 이행 경로 83 [그림 3-8] 중3 코호트 중 여성의 학교에서 노동시장 이행 경로 84 [그림 3-9] 고3 코호트 중 여성의 학교에서 노동시장 이행 경로 8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 2017.01.01~2017.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