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연구 내용 구성 11
<표 1-2> 기업체 표본의 산업 및 규모별 구성: 최종 조사 결과 17
<표 1-3> 소속 근로자 표본의 산업 구성: 최종 조사 결과 18
<표 1-4> 기업체 본사에 대한 설문 내용 19
<표 1-5> 소속 근로자에 대한 설문 내용 20
<표 1-6> 인적자원개발 관련 해외의 패널조사들 23
<표 2-1> 기업의 교육훈련 실시율: HCCP, WPS, 기업훈련실태조사,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실적, EU(CVTS) 33
<표 2-2> 기업 교육훈련에서 근로자의 참여율: HCCP, 기업훈련실태조사,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실적, EU(CVTS) 34
<표 2-3> 규모별1) 기업의 교육훈련 실시율과 근로자 참여율: 고용노동부, EU 평균 35
<표 2-4> 기업의 재직자 교육훈련 미실시 사유(고용노동부) 37
<표 2-5> 총노동 비용 중 교육훈련비 비중: 규모별, 한국과 EU 평균 38
<표 2-6> 종업원 1인당 훈련비: 한국 대 EU 평균 40
<표 2-7> 훈련수요 배경 변수들의 변화 추이: 기술 변화, 신제품・서비스 개발, 사업장의 라인・설비, 노동장비율 42
<표 2-8> 제조업체 인력 충원 방식의 변화: 세 가지 직종별 45
<표 2-9> 근로자 연령 구성 추이 46
<표 2-10> 근로자 학력 구성 추이 47
<표 2-11> 근로자의 학력 및 연령과 훈련 시간의 상관관계 48
<표 2-12> 훈련 실시 및 지원 내용: WPS 조사 결과 52
<표 2-13> 기업 내 훈련 전담조직/부서를 보유한 기업의 비율 53
<표 2-14> 기업이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또는 보유한 비율 54
<표 2-15> 기업의 훈련 운영상의 어려움 54
<표 2-16> 교육훈련의 인사고과 반영 여부 55
<표 2-17> 교육훈련 인사고과의 반영 방법 56
<표 2-18> 노동조합의 기업훈련 참여 정도 58
<표 2-19> HRD-Index의 구성 60
<표 2-20> HRD-Index 추이: 산업별・규모별 62
<표 3-1> 변수의 기초통계 89
<표 3-2> 조직성과에 대한 개별효과 92
<표 3-3> 기술・구조적 변화에 대한 개별효과 93
<표 3-4> 프로세스・관계 변화에 대한 개별효과 94
<표 3-5> 조절효과 분석 96
<표 4-1> 근로자들의 숙련수준 척도 107
<표 4-2> 연도별 숙련수준의 빈도 분석 결과 108
<표 4-3> 연도별 숙련수준의 빈도 분석 결과: 성별 구분 110
<표 4-4> 학력별 숙련수준의 빈도 분석 결과 112
<표 4-5> 연도별 숙련수준의 빈도 분석 결과: 노조 유무별 구분 113
<표 4-6> 연도별 숙련수준의 빈도 분석 결과: 조직 규모별 구분 115
<표 4-7> 숙련 이행 비율과 평균 근속년수 118
<표 4-8> 숙련 형성에 대한 영향 요인 추정: 기본 모형(서열 로짓 모형) 122
<표 4-9> 숙련 형성 모형: 근속년수와의 비선형관계 125
<표 4-10> 숙련 형성 모형: 훈련시간 포함 126
<표 4-11> 숙련 형성 모형: 훈련 시간의 조절효과 126
<표 4-12> 숙련 형성 모형: 학력의 조절효과 128
<표 4-13> 숙련 형성 모형: 여성의 조절효과 129
<표 4-14> 숙련 형성 모형: 조직 규모의 조절효과 130
<표 5-1> 훈련투자의 기업성과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들 142
<표 5-2> 훈련투자 지표와 성과지표 간 상관관계 148
<표 5-3> 훈련투자와 생산 관련 자본 변수와의 상관관계 150
<표 5-4> 분석에 사용한 주요 변수 설명 151
<표 5-5> 패널 분석한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 152
<표 5-6> 훈련투자의 인적자원개발 성과에 대한 영향: OLS1) 155
<표 5-7> 훈련투자의 기업수익성에 대한 영향: 매출액 157
<표 5-8> 훈련투자의 기업수익성에 대한 영향: 순이익 158
<표 5-9> 훈련투자의 생산성에 대한 영향: 부가가치 159
<표 5-10>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지수 추이: 광공업 기준(건설업 제외) 161
[그림 1-1] 기업훈련 투자의 배경과 연구 주제 구성 11
[그림 2-1] 종업원 1인당 훈련비 추이: 한국, HCCP 39
[그림 2-2] 작업 조직 관련 변수의 변화 43
[그림 2-3] 근로자의 이동성: 고용보험 자격 상실자 비율의 추이 44
[그림 2-4] 훈련 방법별 교육훈련 실시 추이 49
[그림 2-5] 사내 경력개발과 학습 조직 지원 50
[그림 2-6] 조직(팀/부서) 단위의 혁신활동들 50
[그림 2-7] 개인주도학습・능력개발에 대한 기업의 지원 51
[그림 2-8] 훈련 성과에 대한 기업의 인식 57
[그림 3-1]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추이 75
[그림 3-2] 훈련개발제도의 추이 77
[그림 3-3] 인적자원관리제도의 추이 80
[그림 3-4] 기술・구조적 개입의 추이 82
[그림 3-5] 조직변화의 추이 85
[그림 3-6] 조직성과의 추이 86
[그림 5-1] 영향 경로 분석의 모형도1) 144
[그림 5-2] 훈련투자의 기업성과에 대한 Sung&Choi(2014a)의 추정 결과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