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 2007~2015년 HCCP 분석 결과

The Skills Development in Korean Firms : The Results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2007-2015)
저자
김미란 박라인 설귀환 노용진 이상민
분류정보
기본연구(2017-0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7.12.31
등록일
2018.01.16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구성과 방법	10
제3절 HCCP와 다른 패널조사의 비교 소개	15
제2장 기업 인적자원개발의 일반 여건과 투자 변화_29
제1절 기업의 교육훈련 실시와 투자 추이	32
제2절 기업 교육훈련의 수요 여건 변화	40
제3절 기업 교육훈련의 운영 여건 변화	48
제4절 소결	63
제3장 기업 인적자원개발의 특징: 훈련개발과 조직개발을 중심으로_69
제1절 들어가는 말	71
제2절 훈련개발과 조직개발의 변화 추이	74
제3절 인적자원개발의 성과	83
제4절 인적자원개발 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87
제5절 소결	97
제4장 근로자 숙련개발의 특징과 변화_99
제1절 들어가는 말	101
제2절 분석자료와 기초통계 분석	103
제3절 숙련 형성의 영향 요인	121
제4절 소결	131
제5장 훈련투자의 기업 성과에 대한 영향_137
제1절 들어가는 말	139
제2절 기업의 훈련투자와 성과지표 간 상관관계	147
제3절 훈련투자의 기업 재무성과에 대한 영향 추정 결과	153
제4절 소결	162
제6장 결  론_165
제1절 요약: 기업 인적자원개발의 특징과 변화	167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79
제3절 HCCP 향후 조사에 대한 시사점	182
SUMMARY_185
참고문헌_189
부 록_195
1. 표본의 인구학적 및 인적자본 성격에 관한 기초통계	197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의 현황과 동태적 변화를 전체적으로 조망(overview and trend)하고, 전형적 사실(stylized facts)과 특징(characteristics)을 규명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전체적인 모습과 변화 추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업 인적자원개발(HRD)의 일반적인 여건과 투자의 추이, 훈련개발과 조직개발로 이루어지는 HRD의 변화와 그 특징, 근로자의 숙련수준과 변화 및 그 성격, 그리고 기업훈련 투자와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기업훈련에 대한 기본적인 사실들을 정확히 밝히고 확인함으로써 향후 심층연구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 또 기업과 정부의 인적자원개발 및 훈련 정책 방향을 수립하는 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ylized facts and its’ changes i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skills development in the medium to large sized firms for the last nine years by utilizing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HCCP is an employer panel with about 450 firms that comprised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has been surveyed biennially since 2005. ...
<표 1-1> 연구 내용 구성	11
<표 1-2> 기업체 표본의 산업 및 규모별 구성: 최종 조사 결과	17
<표 1-3> 소속 근로자 표본의 산업 구성: 최종 조사 결과	18
<표 1-4> 기업체 본사에 대한 설문 내용	19
<표 1-5> 소속 근로자에 대한 설문 내용	20
<표 1-6> 인적자원개발 관련 해외의 패널조사들	23
<표 2-1> 기업의 교육훈련 실시율: HCCP, WPS, 기업훈련실태조사,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실적, EU(CVTS)	33
<표 2-2> 기업 교육훈련에서 근로자의 참여율: HCCP, 기업훈련실태조사,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실적, EU(CVTS)	34
<표 2-3> 규모별1) 기업의 교육훈련 실시율과 근로자 참여율: 고용노동부, EU 평균	35
<표 2-4> 기업의 재직자 교육훈련 미실시 사유(고용노동부)	37
<표 2-5> 총노동 비용 중 교육훈련비 비중: 규모별, 한국과 EU 평균	38
<표 2-6> 종업원 1인당 훈련비: 한국 대 EU 평균	40
<표 2-7> 훈련수요 배경 변수들의 변화 추이: 기술 변화, 신제품・서비스 개발, 사업장의 라인・설비, 노동장비율	42
<표 2-8> 제조업체 인력 충원 방식의 변화: 세 가지 직종별	45
<표 2-9> 근로자 연령 구성 추이	46
<표 2-10> 근로자 학력 구성 추이	47
<표 2-11> 근로자의 학력 및 연령과 훈련 시간의 상관관계	48
<표 2-12> 훈련 실시 및 지원 내용: WPS 조사 결과	52
<표 2-13> 기업 내 훈련 전담조직/부서를 보유한 기업의 비율	53
<표 2-14> 기업이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또는 보유한 비율	54
<표 2-15> 기업의 훈련 운영상의 어려움	54
<표 2-16> 교육훈련의 인사고과 반영 여부	55
<표 2-17> 교육훈련 인사고과의 반영 방법	56
<표 2-18> 노동조합의 기업훈련 참여 정도	58
<표 2-19> HRD-Index의 구성	60
<표 2-20> HRD-Index 추이: 산업별・규모별	62
<표 3-1> 변수의 기초통계	89
<표 3-2> 조직성과에 대한 개별효과	92
<표 3-3> 기술・구조적 변화에 대한 개별효과	93
<표 3-4> 프로세스・관계 변화에 대한 개별효과	94
<표 3-5> 조절효과 분석	96
<표 4-1> 근로자들의 숙련수준 척도	107
<표 4-2> 연도별 숙련수준의 빈도 분석 결과	108
<표 4-3> 연도별 숙련수준의 빈도 분석 결과: 성별 구분	110
<표 4-4> 학력별 숙련수준의 빈도 분석 결과	112
<표 4-5> 연도별 숙련수준의 빈도 분석 결과: 노조 유무별 구분	113
<표 4-6> 연도별 숙련수준의 빈도 분석 결과: 조직 규모별 구분 	115
<표 4-7> 숙련 이행 비율과 평균 근속년수	118
<표 4-8> 숙련 형성에 대한 영향 요인 추정: 기본 모형(서열 로짓 모형)	122
<표 4-9> 숙련 형성 모형: 근속년수와의 비선형관계	125
<표 4-10> 숙련 형성 모형: 훈련시간 포함	126
<표 4-11> 숙련 형성 모형: 훈련 시간의 조절효과	126
<표 4-12> 숙련 형성 모형: 학력의 조절효과	128
<표 4-13> 숙련 형성 모형: 여성의 조절효과	129
<표 4-14> 숙련 형성 모형: 조직 규모의 조절효과	130
<표 5-1> 훈련투자의 기업성과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들	142
<표 5-2> 훈련투자 지표와 성과지표 간 상관관계	148
<표 5-3> 훈련투자와 생산 관련 자본 변수와의 상관관계	150
<표 5-4> 분석에 사용한 주요 변수 설명	151
<표 5-5> 패널 분석한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	152
<표 5-6> 훈련투자의 인적자원개발 성과에 대한 영향: OLS1)	155
<표 5-7> 훈련투자의 기업수익성에 대한 영향: 매출액	157
<표 5-8> 훈련투자의 기업수익성에 대한 영향: 순이익	158
<표 5-9> 훈련투자의 생산성에 대한 영향: 부가가치	159
<표 5-10>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지수 추이: 광공업 기준(건설업 제외)	161
[그림 1-1] 기업훈련 투자의 배경과 연구 주제 구성	11
[그림 2-1] 종업원 1인당 훈련비 추이: 한국, HCCP	39
[그림 2-2] 작업 조직 관련 변수의 변화	43
[그림 2-3] 근로자의 이동성: 고용보험 자격 상실자 비율의 추이	44
[그림 2-4] 훈련 방법별 교육훈련 실시 추이	49
[그림 2-5] 사내 경력개발과 학습 조직 지원	50
[그림 2-6] 조직(팀/부서) 단위의 혁신활동들	50
[그림 2-7] 개인주도학습・능력개발에 대한 기업의 지원	51
[그림 2-8] 훈련 성과에 대한 기업의 인식	57
[그림 3-1]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추이	75
[그림 3-2] 훈련개발제도의 추이	77
[그림 3-3] 인적자원관리제도의 추이	80
[그림 3-4] 기술・구조적 개입의 추이	82
[그림 3-5] 조직변화의 추이	85
[그림 3-6] 조직성과의 추이	86
[그림 5-1] 영향 경로 분석의 모형도1)	144
[그림 5-2] 훈련투자의 기업성과에 대한 Sung&Choi(2014a)의 추정 결과	14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 2007~2015년 HCCP 분석결과 2017.01.01~2017.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