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재포럼(2017)
Global HR Froum 2017
- 저자
- 황규희 정지선 김영생 이찬주 장여선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17-1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7.12.31
- 등록일
- 2018.01.17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글로벌 인재포럼GHR포럼
요약 vii 제1장 글로벌 인재포럼 개요 1 제1절 개최 배경 및 필요성 3 제2절 목적과 의의 4 제3절 조직 운영 6 제4절 경과 및 운영 13 제2장 2017년 글로벌 인재포럼 추진 사항 21 제1절 2017년 추진체계 23 제2절 2017년 주제 설정 28 제3절 2017년 포럼 구성 29 제3장 2017년 글로벌 인재포럼 세부내용 39 제1절 기조연설 41 제2절 기조세션 47 제3절 특별세션 69 제4절 트랙 A(교육부 주관) 80 제5절 트랙 B(한국경제신문사 주관) 110 제6절 트랙 C(한국직업능력개발원 주관) 127 제7절 트랙 D(한국경제신문사 주관) 160 제4장 글로벌 인재포럼 만족도 조사 173 제1절 조사 개요 175 제2절 연사(발표자/토론자/좌장) 평가 184 제3절 참가자 평가 199 제5장 글로벌 인재포럼 발전 방안 241 제1절 성과 평가 243 제2절 성과 확산 252 제3절 발전 전략 257 SUMMARY 259 참고자료 285 부록 287
○ 선도적인 인적자원 개발 우수사례 공유 및 실제적인 문제해결능력 배양 - 각국 정부·기업·대학·NGO 및 국제기구 등의 HRD 경험·정보 확산 - 다양한 기업 현실에 맞게 정부 및 대학의 바람직한 혁신 방향과 내용 발견 - 세계적인 CEO 등 초청, 우수인재 채용 및 교육 방식 벤치마킹 ○ 인적자원 관련 세계적 추세 파악 및 국내 정책의 국제적 홍보를 위해 국제적 정보 교류 및 협력 채널 구축 - 각국 정부, 국제기구들과 정책 정보 교류 및 협력 채널 구축 ○ 본 포럼을 통해 직능원 위상 및 연구수준 고양 - 원내 연구 성과의 대외 홍보 강화 - 글로벌 이슈를 선도하고 이슈에 대응하는 연구를 발굴하고 수행 - 직능원의 국내외 여론 주도 등을 도모
As globalization has rapidly changed our lives, the boundaries between countries have disappeared and the flow of human resources from one country to another has become commonplace. Accordingl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overnments,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are required to be globally competitive. The reason that global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s is a key issue now to everyone rather than to selected groups of elites in specialized fields is because they must compete against each other globally. Because human resources are fundamental to the prosperity of individuals, businesses, and nations around the world, now is the time for leaders from businesses, governm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must join efforts to improve the education, training, and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KRIVET recognized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and as a result, KRIVET initiated the Global Human Resources Forum 2006 in collaboration with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n Economic daily. Since the first forum in 2006, Global HR Forum 2017 is 12th forum. This year theme is "Future in Your Hands". Background of this year is as following. Artificial Intelligence, autonomous cars, and 3D Printers have become our realit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lready being realized. Successful industries are collapsing. Promising jobs have no security. Corporations must undergo strategic investment, especially in attracting talents. Individuals must decide how to respond to the coming futur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have positive results when it embraces and holds discourse with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humanity. And based on these, systematic innovation should take place in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arenas. Success or fail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pends on collective human will in response to technological changes. In the near future, there will be significant changes and uncertainties in people’s lives, works, and relationships. Nobody has experienced them yet. However, the future is coming. We must all prepare for it in advance. In this year, there are two Keynote Speeches, three Plenary Sessions, one track of Special Session and other four tracks of Sessions.
<표 1-1> 글로벌 인재포럼 개요(2006~2016년도) 13 <표 2-1> 2017년 추진 주체 주요 역할 및 기능 24 <표 2-2> 자문위원단 명단 25 <표 4-1> 글로벌 인재포럼 2017 프로그램 177 <표 4-2> 연사(발표자 및 토론자) 조사 내용 I 182 <표 4-3> 참가자 조사 내용 183 <표 4-4> 연사(발표자 및 토론자) 조사 내용 II 194 <표 4-5> 발표(토론) 희망 주제 194 <표 4-6> 글로벌 인재포럼 2018 추천 주제 및 연사 I 197 <표 4-7> 글로벌 인재포럼을 위한 제언 I 198 <표 4-8> 글로벌 인재포럼 2018 추천 주제 및 연사 II 234 <표 4-9> 글로벌 인재포럼을 위한 제언 II 239 <표 5-1> 인재포럼 각 년도 결과보고 요약 243 <표 5-2> 발표자 분석 248 <표 5-3> 글로벌 인재포럼 주제 250 <표 5-4> 한국경제신문 보도특집기사 제목 분석(2016년) 251 <표 5-5> 다보스 포럼 연도별 주제(1992~2017년도) 254 [그림 3-1] 삶을 통해 지능을 발달시키고 다양한 기술을 축적하는 과정 95 [그림 4-1] Likert 5점 척도 184 [그림 4-2] 연사(발표자/토론자/좌장) 소속 기관 184 [그림 4-3] 세션 주제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들의 적절성 186 [그림 4-4] 세션 주제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들의 적절성(항목별 응답비율) 187 [그림 4-5] 세션 주제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들의 적절성 비교(2016~2017) 188 [그림 4-6] 포럼 운영 관련 만족도 I (점수) 189 [그림 4-7] 포럼 운영 관련 만족도 II (비율) 191 [그림 4-8] 포럼 운영 관련 만족도 비교(2016~2017) 192 [그림 4-9] 개선 필요 사항 193 [그림 4-10] 응답자 성별 199 [그림 4-11] 응답자 연령 200 [그림 4-12] 응답자 학력 201 [그림 4-13] 응답자 소속 202 [그림 4-14] 참석 세션 주제에 대한 관심 정도 및 참여 후 만족도 203 [그림 4-15] 선정된 주제에 대한 관심 정도 205 [그림 4-16] 내용에 대한 만족도 207 [그림 4-17] 주제와 발표 내용의 일치정도 209 [그림 4-18] 참석 세션 발표자(토론자)에 대한 참여 후 만족도 211 [그림 4-19] 발표자에 대한 만족도 213 [그림 4-20] 청중 질문에 대한 답변 충실도 215 [그림 4-21] 국제적 감각과 의사소통의 원활 정도 217 [그림 4-22] 만족스러운 세션 Top 10(중복응답) 219 [그림 4-23] 기조세션 Ⅰ 만족 응답 이유: 주요 키워드 221 [그림 4-24] 기조세션 Ⅱ 만족 응답 이유: 주요 키워드 222 [그림 4-25] 기조세션 Ⅲ 만족 응답 이유: 주요 키워드 223 [그림 4-26] 만족스러운 발표자 Top 10(중복응답) 224 [그림 4-27] 만족스러운 토론자 Top 10(중복응답) 225 [그림 4-28] 만족스러운 좌장 Top 10(중복응답) 226 [그림 4-29] 포럼 운영 만족도 227 [그림 4-30] 포럼 운영 만족도: 항목별 응답 비율 229 [그림 4-31] 포럼 운영 만족도 비교(2016~2017) 230 [그림 4-32] 글로벌 인재포럼 2017 인지·참석 경로 231 [그림 4-33] 글로벌 인재포럼 2016 참가 경험 232 [그림 4-34] 글로벌 인재포럼 2018 참가 의향 233 [그림 4-35] GHR Forum 2018을 위한 제언: 주요 키워드 238 [그림 5-1] 참가자 등록 및 참석자 수 245 [그림 5-2] 2016년도 참가자 분석 246 [그림 5-3] 2011~2016년도 공공 및 민간 부문 참석자 비율 247 [그림 5-4] 발표자 지역별 분포추이 249 [그림 5-5] 정책제언 보고서 예시 25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글로벌 인재포럼(2017) | 2017.01.01~2017.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