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국가 직업교육훈련 네트워크 구축 사전 타당성 연구
Pre-feasibility Study for Establishing Nation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Network in Latin America
- 저자
- 이남철 김도형 주현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7-3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7.11.30
- 등록일
- 2018.02.01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추진 방법 및 연구 대상 7 제3절 선행 연구 분석 10 제2장 연구 대상국의 경제 및 노동 시장 현황 분석_13 제1절 거시적인 경제 현황 분석 15 제2절 노동시장 현황 분석 19 제3장 직업교육훈련제도 분석_31 제1절 직업교육제도 분석 33 제2절 직업훈련제도 분석 73 제3절 최근 직업교육훈련 정책동향 분석 79 제4장 중남미 국가의 직업교육훈련 개혁 실태 분석_87 제1절 파라과이 89 제2절 페루 94 제3절 콜롬비아 107 제4절 개혁 동향의 시사점 111 제5장 중남미 국가의 직업교육훈련 네트워크 구축 방안_117 제1절 해외 직업교육훈련 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 실태 분석 119 제2절 네트워크 구축 방안 147 제3절 정책 제언 151 Abstract_155 참고문헌_161 부록 1_165 ILO/CINTERFOR 현황 167
본 연구·사업에서는 주요 중남미 국가의 직업교육훈련 분야 제도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자문의 수요 파악 및 사업 추진 가능성 등을 타진하기 위하여 국가의 직업교육·훈련 및 네트워크 구축·활용 실태를 파악했다. 특히, 과거의 일회성 직업교육훈련 지원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우리나라(고용노동부,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등)와 IDB 및 수원국들의 지속적인 교류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과 교류 사업의 사전 타당성을 연구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남미 한 나라를 위한 직업교육훈련 지원이 아니고 복수의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축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적인 연구로 우리 정부와 IDB 및 중남미 수원국과의 정책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정책적 기초 연구이다. 향후 지속적인 ODA와 협력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각 국가마다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이 다른 상황이지만, 가능한 수준에서 중남미 국가의 직업교육훈련 제도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직업교육훈련 분야에서 국제교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시행하고 있는 유네스코 직업기술교육기관 간 그룹(UNESCO LAG-TVET: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Inter-Agency Group Technical and Vocational and Training), 국제교육훈련정책협력 네트워크(NORRAG: Network of International Policies and Cooperation in Education and Training), 유네스코-직업기술교육 네트워크(UNESCO-UNEVOC Network), 동남아시아교육부장관모임(SEAMEO VOCTECH: Southeast Asian Ministers of Education Organization), 아시아직업교육교사협의회(RAVTE: Regional Association for Vocational Teacher Education in Asia), 콜롬보플랜대학(CPSC: Colombo Plan Staff College), 국제직업교육훈련협의회(IVETA: Internation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ssociation), 국제노동기구 직업훈련지식개발센터(CINTERFOR: Inter-American Center for Knowledge Development in Vocational Training) 등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Korea’s success storie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interest in Latin American countries as a global hub for benchmarking. In particular, Korea's economic growth,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are the main research sub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and are being hailed as one role model. In Latin America, the presence of IDB(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that supports economic development in Latin America, have a great advantage in facilitating ODA projects in an efficient and customized manner. In this way, considering the systematic advantages of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ista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Latin American countries and to establish a network for achieving effectiv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Latin American countr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state of vocational education in the country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a policy consultancy and feasibility of promoting projects in major Latin American countries. Particularly, this study, unlike the past, has deviated from one-tim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upport and conducte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network construction and exchange programs for continuous exchange between Korea and IDB & the recipient countries. This study is not a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upport for only one country in Latin America but a basic study to establish a network construction for plural countries. As we have to consider sustainable ODA support and cooperation, and each country has different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However, we have sought to establish a network through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n Latin America. ...
<표 2-1>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 국가 GDP 성장률 전망 2014~2017(연간 비율 변화율) 16 <표 2-2> 콜롬비아 주요 경제 지표 17 <표 2-3> 파라과이 주요 경제 지표 17 <표 2-4> 페루 주요 경제 지표 18 <표 2-5> 콜롬비아, 파라과이, 페루의 주요 사회개발 지표 19 <표 2-6> 국가 수준의 주요 노동시장 지표(2015년 및 2016년) 20 <표 2-7> 국가별 실업률(2006~2016)(연평균 비율) 20 <표 2-8> 국가별 및 성별 실업률(2006~2016) 21 <표 2-9> 국가별 및 연령별 실업률(2006~2016) 22 <표 2-10> 국가별 및 성별 노동 참가율(2006~2016년 평균) 23 <표 2-11> 국가별 및 연령별 노동 참가율(2006~2016년) 24 <표 2-12> 국가별 및 성별 고용률(2006~2016)(연평균 비율) 25 <표 2-13> 국가별 및 연령별 고용률(2006~2016)(연평균 비율) 26 <표 2-14> 고용 형태와 교육 연수에 따른 국가 고용(2005, 2011 및 2013~2015(백분율) 27 <표 2-15> 공식 부문 실질 평균 임금 지수 28 <표 2-16> 실질 최저 임금 지수(2006~2016) 29 <표 3-1> 수준별 학생 수 및 교육 연한 63 <표 3-2> 콜롬비아 대학 현황 63 <표 3-3> 기술기관 및 전문 기술기관 현황 65 <표 3-4> 선별된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75 <표 3-5>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노동시장 파급 효과 77 <표 3-6> VTI 프로그램, LAC, 2015년 총 참가자 중 견습생 참여자의 비율 78 <표 4-1> 교육 2016~2019 전략 및 행동 계획 90 <표 4-2> 성별 실업률 91 [그림 1-1] 연구 추진 절차 8 [그림 3-1] 파라과이의 공식적인 직업교육훈련제도 36 [그림 3-2] 페루 교육의 단계 44 [그림 3-3] 주기 단계의 진화 과정 6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중남미 국가 직업교육훈련 네트워크 구축 사전 타당성 연구 | 2017.06.01~2017.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