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해외 진로개발 정책과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발전 방안

Overseas Career Development Policy and the Innovative Policy Agenda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
저자
이지연 김재희 이서정
분류정보
기본연구(2017-2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7.12.31
등록일
2018.02.09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8
제3절 용어의 정의	16
제4절 연구의 한계	20
제2장 해외 진로개발 정책 R&D 성과 및 특징_23
제1절 ELGPN(유럽 평생진로지도 정책 네트워크)	25
제2절 ICCDPP(국제 진로개발 및 공공정책 센터)	42
제3절 ICEF(국제진로교육포럼)	51
제4절 종합 및 함의	56
제3장 해외 진로개발 정책의 주요 이슈_61
제1절 진로개발 프로그램 및 콘텐츠	63
제2절 진로개발 담당자 전문 역량	94
제3절 진로개발 서비스 혁신	124
제4절 종합 및 함의	139
제4장 우리나라 진로교육 정책 검토 및 평가_145
제1절 우리나라 진로교육 정책 변화	148
제2절 OECD 한국 진로교육 정책 권고사항	158
제3절 OECD 한국 진로교육 정책 권고사항 평가	161
제4절 종합 및 함의 	196
제5장 우리나라 진로교육 혁신 방안_199
제1절 우리나라 진로교육 혁신을 위한 기본 방향	201
제2절 우리나라 진로교육 혁신을 위한 기본 전제	204
제3절 우리나라 진로교육 혁신을 위한 세부 방안	207
제4절 종합	235
SUMMARY_239
참고문헌_243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해외의 진로개발 정책을 수집·분석하여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미래 발전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진로개발 정책 중에서도 ① 진로개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및 콘텐츠 영역, ② 진로개발을 제공하는 담당자의 전문 역량개발을 위한 훈련 영역, 그리고 ③ 진로개발 서비스의 혁신 영역을 구분하여 검토하고, 이를 종합하여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미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 질문을 제시한다.
첫째, 해외에서는 진로개발 프로그램 및 콘텐츠의 적절성을 어떻게 확인하며, 효과는 어떻게 접근하는가?
둘째, 해외에서는 진로개발 담당자의 지속적인 전문 역량을 지원하기 위하여 어떤 내용과 노력을 훈련과정에 기울이고 있는가?
셋째, 해외에서는 진로교육·진로지도·진로상담·진로정보 등의 진로개발 서비스 혁신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넷째, 위에서 살펴본 3개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 기본 방향성은 무엇인가?
다섯째, 우리나라 진로교육에 적용하였을 때, 어떤 발전 방안이 필요한가?
This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career development as a bridge between promotion of lifelong learning and public policy in an uncertain future, and it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seeking development plan of the career education in Korea through review of overseas career development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nd analyze overseas career development policies and therefore, to propose future innovative policy agenda and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 Specifically,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of presenting the futur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in the following three areas; program and content of career 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practitioners’ training, and career service innovation. ...
<표 1-1> 해외 진로개발 정책 검토를 위한 3대 영역	10
<표 1-2> FGI 및 자문회의 분야별 전문가	12
<표 2-1> 분야별 진로지도 관련 이슈의 정책적 개선 요소	30
<표 2-2> 평생진로지도의 성과 증거	32
<표 2-3> 질 보장 강화와 근거기반 진로지도를 위한 핵심 질문	34
<표 2-4> ELGPN 도구 6. 분야별 지침	35
<표 2-5> ELGPN 개념노트 6종 개요	36
<표 2-6> 일 기반 학습과 평생진로지도 상호 목적 달성을 위한 연계 방안	39
<표 2-7> ICCDPP IS 연혁(1~8차)	44
<표 2-8> ICCDPP IS 주제 변화(1~8차)	47
<표 2-9> 국제진로교육포럼(ICEF) 연혁(1~5차)	51
<표 2-10> ICEF 해외 사례 주제 검토(1~5차)	53
<표 3-1> 미국 P21의 21세기 학습 프레임워크	66
<표 3-2> 미국 고용가능성 기술 프레임워크	69
<표 3-3> 뉴질랜드의 고용가능성 기술 프레임워크	70
<표 3-4> 호주의 PaTH의 훈련 콘텐츠 내 고용가능성 기술	72
<표 3-5> 해외 국가의 교육과 훈련의 통합 프로그램 및 콘텐츠 사례	74
<표 3-6> 해외 국가의 프로그램 및 콘텐츠 수요자 확대 사례	78
<표 3-7> 덴마크 지역 진로지도센터의 개요	79
<표 3-8> 미국 취업센터 현황 및 제공 서비스	82
<표 3-9> 노르웨이 지역진로센터 주요 담당 영역	83
<표 3-10> 해외 국가의 서비스 전달 범위 확대 사례 종합	84
<표 3-11> 해외 국가의 진로서비스 실천에서의 기술 활용 사례	85
<표 3-12> 해외 국가의 온라인 포털사이트 사례	86
<표 3-13> 해외 국가의 프로그램 및 콘텐츠 성과 측정 주체 사례	90
<표 3-14> 해외 국가의 프로그램 및 콘텐츠 성과 측정 지표 사례	91
<표 3-15> 국가별 진로관리역량 평가 수준	92
<표 3-16> 진로개발 담당자 역량 형식: 유형 1 - 역량 필수 요건화	96
<표 3-17> 진로개발 담당자 역량 형식: 유형 2 - 역량 프레임워크 마련	98
<표 3-18> 진로개발 담당자 역량 형식: 유형 3 - 최소 규제 및 권고 	99
<표 3-19> 진로개발 담당자 역량을 개발한 주체 기관 사례	100
<표 3-20> IAEVG 교육 및 진로지도 서비스 담당자 핵심역량	101
<표 3-21> IAEVG 교육 및 진로지도 서비스 담당자 전문 역량	102
<표 3-22> CEDEFOP 진로지도 담당자 역량지표	103
<표 3-23> NICE 진로지도 및 상담 실무자(CGC) 6개 핵심역량	106
<표 3-24> 미국 NCDA 진로상담 전문가 11개 최소 역량 지표	107
<표 3-25> 캐나다 CCDF 진로개발 실무자 역량지표	109
<표 3-26> 남아프리카공화국 진로개발 담당자(CDP) 9개 핵심역량	110
<표 3-27> 남아프리카공화국 진로개발 담당자(CDP) 5개 전문 역량	111
<표 3-28> 진로 역량개발을 위한 훈련과정 유형, 정의 및 분석 사례	112
<표 3-29> 핀란드 진로개발 담당자 교육과정(대학) 종합	114
<표 3-30> 아일랜드 진로지도교사 자격 제도	116
<표 3-31> 아일랜드의 진로개발 담당자 양성과정 종합	116
<표 3-32> 아일랜드 메이누스 국립대학의 교육과정	117
<표 3-33> 더블린 트리니티 대학 진로지도 및 상담 석사 학위 교육과정	118
<표 3-34> 리머릭 대학 진로지도 상담 교육과정	119
<표 3-35> 호주 진로개발 담당자 양성 기관 및 학위 과정	120
<표 3-36> 호주 퀸스랜드 대학 교육연구 석사 교육과정	121
<표 3-37> 미국의 진로개발 촉진자 자격 제도	122
<표 3-38> 진로개발 담당자 표준 교육과정 영역별 구성 내용	122
<표 3-39> ICCDPP IS 20개 국가보고서에 언급된 교육 및 훈련 제도 안에 포함된 진로전환역량 관련 주제 및 수준	130
<표 3-40> 교육ㆍ노동 부문의 진로서비스 개혁을 위한 성공 및 장애 요인 요약 	132
<표 3-41> 국가보고서에서 확인된 성공적인 개혁 키워드	136
<표 4-1> 한국 진로교육정책의 주요 변화 개요	149
<표 4-2> 5개 부문별 OECD 진로교육 정책 제안 및 권고사항	159
<표 5-1> 진로개발 프로그램ㆍ콘텐츠 영역의 문제점 및 세부 방안 종합	220
<표 5-2> 진로개발 담당자 전문 역량 영역의 문제점 및 세부 방안 종합	231
<표 5-3> 진로개발 서비스 혁신 영역의 문제점 및 세부 방안 종합	235
[그림 1-1] CEDEFOP에서 제안하는 진로개발의 성과와 역할	5
[그림 1-2] 연구 내용 및 방법	8
[그림 1-3] 연구의 기본 틀	10
[그림 1-4] FGI 진행 단계	14
[그림 2-1] ELGPN을 통한 단위국가 및 유럽수준의 파급 효과	27
[그림 2-2] 네 가지 주제와 분야별 정책의 연계 지도	29
[그림 2-3] 진로지도의 단계별 및 분야별 영향력 	32
[그림 2-4] ICCDPP IS 주제 검토를 통한 3개 핵심 이슈 요약	49
[그림 3-1] 핀란드 기본 교육과정 내 핵심역량	65
[그림 3-2] 일본 NIER 21세기 역량 프레임워크	67
[그림 3-3] 미국 고용가능성 기술 프레임워크	69
[그림 3-4] 평생지도 활동의 주요 부분으로서 원스톱센터 역할	81
[그림 3-5] NICE 진로지도 및 상담 실무자 6개 핵심역량	106
[그림 3-6] 핀란드의 상담교사 자격 획득 5개 모듈	113
[그림 4-1] 국가진로교육센터 기능과 역할	157
[그림 4-2] OECD 초ㆍ중등학교 및 대학교의 정책 권고사항 1	162
[그림 4-3] OECD 초ㆍ중등학교 및 대학교의 정책 권고사항 2	164
[그림 4-4] OECD 초ㆍ중등학교 및 대학교의 정책 권고사항 3	165
[그림 4-5] OECD 초ㆍ중등학교 및 대학교의 정책 권고사항 4	167
[그림 4-6] OECD 초ㆍ중등학교 및 대학교의 정책 권고사항 5	169
[그림 4-7] OECD 초ㆍ중등학교 및 대학교의 정책 권고사항 6	170
[그림 4-8] OECD 초ㆍ중등학교 및 대학교의 정책 권고사항 7	172
[그림 4-9] OECD 초ㆍ중등학교 및 대학교의 정책 권고사항 8	173
[그림 4-10] OECD 초ㆍ중등학교 및 대학교의 정책 권고사항 9	175
[그림 4-11] OECD 초ㆍ중등학교 및 대학교의 정책 권고사항 10	176
[그림 4-12] OECD 공공고용안정 정책 권고사항 1	177
[그림 4-13] OECD 공공고용안정 정책 권고사항 2	180
[그림 4-14] OECD 공공고용안정 정책 권고사항 3	182
[그림 4-15] OECD 공공고용안정 정책 권고사항 4	183
[그림 4-16] OECD 공공고용안정 정책 권고사항 5	184
[그림 4-17] OECD 성인 대상 진로서비스 정책 권고사항 1	185
[그림 4-18] OECD 진로지도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 정책 권고사항 1	187
[그림 4-19] OECD 진로지도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 정책 권고사항 2	189
[그림 4-20] OECD 진로지도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 정책 권고사항 3	190
[그림 4-21] OECD 진로지도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 정책 권고사항 4	191
[그림 4-22] OECD 진로지도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 정책 권고사항 5	193
[그림 4-23] OECD 조율 및 리더십 정책 권고사항 1	194
[그림 4-24] OECD 조율 및 리더십 정책 권고사항 2	195
[그림 4-25] OECD 조율 및 리더십 정책 권고사항 3	196
[그림 5-1] 우리나라 진로교육 혁신 방안과 연계된 연구의 논리 구조 	236
[그림 5-2] 우리나라 진로교육 혁신 방안 종합	23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해외 진로개발 정책과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발전 방안 2017.05.01~2017.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