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EAS TVET Provider’s Network 그룹의 새로운 직업기술교육훈련 사업 항목 설문 결과 19
<표 2-2> EAS TVET Provider’s Network 그룹의 TVET 분야 흥미도 24
<표 2-3> TVET 성과분석에 대한 관심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34
<표 2-4> TVET 성과분석 관련 주요 관심 지표 35
<표 2-5> TVET 성과분석 관련 주요 관심 지표-개인 수준 36
<표 2-6> TVET 성과분석 관련 주요 관심 지표-고용주 입장 37
<표 2-7> TVET 성과분석 관련 주요 관심 지표-국가 및 사회적 차원 38
<표 2-8> 이해관계자별 직업기술교육훈련 성과분석의 유용성 및 기대효과 39
<표 3-1> 주요 국제기구 방문 협의를 위한 출장 일정 및 주요 사항 46
<표 3-2> 사업 추진 체크리스트 76
<표 4-1> 미얀마 인구 89
<표 4-2> 주요 사회 개발 지표 90
<표 4-3> 미얀마의 HDI 추세(1990-2015) 90
<표 4-4> 선택된 국가 및 그룹과 비례한 미얀마의 HDI와 구성요소 지표 91
<표 4-5> 국가 빈곤선 이하의 인구비율(%) 91
<표 4-6> 미얀마 신정부의 경제정책 주요 내용 92
<표 4-7> 미얀마의 주요 경제 지표 94
<표 4-8> 미얀마의 주요 경제 분야 95
<표 4-9> 주요 고용 데이터 96
<표 4-10> 기업의 설문조사 데이터(2016) 97
<표 4-11> 상위 10개 비즈니스 환경 제약조건 97
<표 4-12> 목적지별 미얀마 국제 이주자(2014 미얀마 인구조사) 98
<표 4-13> ASEAN 국가들의 교육 시스템 99
<표 4-14> 교육 부문 자금 출처(2009–10에서 2013–14–회계연도) 103
<표 4-15> 低성과 시나리오에서의 교육제공 총비용(million MMK) 104
<표 4-16> NESP 高성과 시나리오에서의 교육제공 총비용(million MMK) 105
<표 4-17> 미얀마의 주요 직업교육훈련 기관과 감독 부처 115
<표 4-18> 최근 5년간 기술 및 직업 교육부(DTVE)의 재정 상태 119
<표 4-19> DTVE 산하 직업기술교육훈련 기관의 교사 수(2011/2012) 121
<표 4-20> 자격요건별 교사 수(2011/2012) 122
<표 5-1> 환경에 대한 기본 지식-1 132
<표 5-2> 환경에 대한 기본 지식-2 133
<표 5-3> 환경에 대한 기본 지식-3 133
<표 5-4> 심각한 환경문제 134
<표 5-5> 환경 만족도 135
<표 5-6> 국가별 환경 만족도 비교 135
<표 5-7> 녹지 공간 만족도 136
<표 5-8>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136
<표 5-9> 환경보전과 경제성장과의 관련성 137
<표 5-10> 지구 온난화와 환경재해에 대한 인식 137
<표 5-11> 지구 온난화와 환경재해에 대한 인식 138
<표 5-12>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 139
<표 5-13> 환경보호 관련 기관(주체)에 대한 평가 140
<표 5-14> 경제발전, 환경보전, 사회발전의 기준 적용 140
<표 5-15>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 141
<표 5-16> 환경단체에 참여한 경험 141
<표 5-17> 녹색 직업교육 인지 142
<표 5-18> 녹색 직업교육에 관하여 들어본 경로 142
<표 5-19> 녹색 직업교육에 관한 정보 경로 143
<표 5-20> Greening TVET 확산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복수응답) 143
<표 5-21> 녹색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키워드 144
<표 5-22> 녹색 직업교육이 포함해야 할 내용 144
<표 5-23> 녹색 직업교육에 참여한 경험 144
<표 5-24> 녹색 직업교육훈련과 관련된 활동 145
<표 5-25> 녹색직업교육훈련의 이해 정도와 정보 접근성 145
<표 5-26> 녹색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정보 146
<표 5-27> 녹색 직업교육훈련에서 가장 강조해야 할 환경문제 146
<표 5-28> 직업교육훈련이 녹색 직업교육훈련을 해야 하는 이유 147
<표 5-29> 녹색 직업교육훈련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요소 147
<표 5-30> 녹색 직업교육 경험 148
<표 5-31> 녹색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기관 148
<표 5-32> 녹색 직업교육훈련의 내용 148
<표 5-33> 녹색 직업교육훈련에서 가장 많은 내용 149
<표 5-34> 그룹별 액션플랜 주요 현안 및 해결 방법 181
<표 5-35> 워크숍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187
<표 5-36> 주제의 유용성 187
<표 5-37> 주제의 적용가능성 187
<표 5-38> 직업기술교육훈련 지식 향상도 188
<표 5-39> 지속가능개발, 녹색 직업기술교육훈련 이해도 188
<표 5-40> 워크숍의 목표 달성도 188
<표 6-1>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 연혁 209
[글상자 2-1] 국가별 녹색 직업기술교육훈련 정책 23
[그림 2-1] EAS TVET Provider’s Network 그룹의 직업기술교육훈련 분야에 대한 흥미도 분포 25
[그림 2-2] 직업교육훈련 편익의 종류 30
[그림 3-1] 산업생태계의 구성 요소 50
[그림 3-2] 국제 직업교육 및 훈련 시스템의 현대화를 위한 BIBB 컨설팅의 주요 과정과 연계효과 60
[그림 3-3] BIBB의 국제 컨설팅 절차와 순서 62
[그림 3-4] 국제협력 5대 사업–분야 및 주제 62
[그림 4-1] 2017 미얀마의 인구피라미드 89
[그림 4-2] 미얀마와 이웃국가의 후기중등 직업교육훈련 등록률 106
[그림 4-3] 고용 및 기술 개발법(2013) 107
[그림 4-4] 자격체계와 직업교육 모듈 연계 110
[그림 4-5] 노동력의 공급과 수요 112
[그림 4-6] TVET 경로지도 113
[그림 4-7] 미얀마 교육과학기술부(MOST)의 조직 구조 118
[그림 4-8] 미얀마의 국가훈련기금 조직구조(안) 120
[그림 4-9] 미얀마의 직업교육 품질보장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요 124
[그림 5-1] 워크숍 1일차 패널디스커션 167
[그림 5-2] 워크숍 2일차 동시 세션 종합 토론 171
[그림 5-3] 워크숍 2일차 태국 교육훈련기관 방문 173
[그림 5-4] 워크숍 3일차 태양열 키트 실습 177
[그림 5-5] 워크숍 3일차 UNEVOC 네트워크 미팅 179
[그림 5-6] 워크숍 4일차 액션플랜 수립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