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7)

Research on Korean Occupational Index for Career and Employment Service(2017)
저자
장현진 한상근 장주희 윤혜준 이민욱
분류정보
기본연구(2017-2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7.12.31
등록일
2018.03.0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제3절 조사 설계	14
제4절 용어 정의 및 연구 범위	24
제2장 선행연구_27
제1절 국내․외 직업지표 선행연구 및 사례	29
제2절 직업 관련 분류체계 및 조사통계	73
제3절 소결	87
제3장 직업지표 기초분석_93
제1절 응답자 현황 및 지표의 객관성	95
제2절 현재의 직업지표	105
제3절 10년 후의 직업지표	129
제4절 소결	153
제4장 직업지표 이슈분석_165
제1절 고졸자 취업	167
제2절 인문계열 대졸자 취업	197
제3절 경력단절 이후 취업	213
제4절 고령사회와 장년층 일자리	236
제5절 인공지능, 로봇 등의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일자리 영향	256
제5장 제 언_283
제1절 정책 추진을 위한 제언	285
제2절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300
SUMMARY_307
참고문헌_309
부  록_325
1. 직업지표(2017) 설문조사지	327
2. 직업지표(2017) 조사 대상 직업	341
3. 직업지표(2017) 표본 설계	348
4. 직업지표(2017) 세미나 초청장	354
이 연구의 목적은 현직자를 대상으로 세부 직업의 속성과 변화를 측정하는 직업지표를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대상별 맞춤형 취업 지원과 미래 직업세계의 변화에 대비하는 정책을 제언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세부 목표를 설정하여 추진하였다. 첫째, 직업지표 관련 선행연구 및 사례를 분석한다. 둘째, 세부 직업의 속성과 10년 후 전망에 대한 직업지표를 조사·산출한다. 셋째, 직업지표 조사 결과를 기초 및 이슈 분석하고, 맞춤형 취업 지원 및 미래 직업세계 변화에 대비하는 정책을 제언한다. 
이 연구의 수행으로 다음의 학술 및 정책적 기대 효과가 예상된다. 먼저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를 산출한다. 이는 현장에 기반하고 수요자 대상에 맞춤하는 진로정보 자료를 개발하는 데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상별 맞춤 취업을 지원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슈분석 결과는 대상별 맞춤형 취업을 지원하는 정책을 수립하거나 미래 직업세계 변화에 따른 대응 정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직업지표 연구 결과가 언론과 대중에게 보도되면서 전 국민의 직업의식을 제고하고 생애진로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analyze occupational index, and to suggest policies to support career and employment service and to prepare for future changes in the world of work. The study is a 10 years annual study from 2016 to 2025. In the 2016 study, basic occupational indicators for career and employment service were developed and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he 2017 study was the first year of first survey cycle form 2017 to 2019 years, in which 6,480 current workers in 162 occupations of natural science,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fields were surveyed and analyzed.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review, overseas visiting and experts interview, researcher workshop, expert advice, workers survey, focus group interview, and seminars. ...
<표 1-1> 기초 직업지표 항목 수정․보완을 통한 변경 내역(2016-2017년)	15
<표 1-2> 2017년 기초 직업지표 영역, 항목 및 설명	17
<표 1-3> 2017년 이슈 주제 및 이슈 직업지표 문항	19
<표 1-4> 지역별고용조사, 전국사업체조사를 활용한 표본 설계 방안	23
<표 2-1> 커리어캐스트닷컴의 2017년 상위 직업 10개	37
<표 2-2> 커리어캐스트닷컴의 직업 평가 기준, 요소 및 척도 요약	38
<표 2-3> 영국 창조직업의 행복수준	41
<표 2-4> 영국의 최고 직업 25선	44
<표 2-5> 직업별 직무재량 부족(absence of job latitude)의 정도	51
<표 2-6> 하던 일을 중단하고 다른 일로 넘어가도록 요구받는 비율	52
<표 2-7> 즉각적인 반응을 요구하는 외부 요청에 맞추어 일하는 비율	53
<표 2-8> 직업별 대중과의 직접 접촉(대면 또는 전화)	53
<표 2-9> 프랑스의 직업군별 종사자 수 변화 전망(2012-2022년)	55
<표 2-10> 국가별 신뢰도가 높은 직업군과 낮은 직업군	62
<표 2-11> 직업군별 신뢰도 순위	63
<표 2-12> 호주의 주요 전문직의 이미지 변화	69
<표 2-13> 우리나라 직업지표 연구의 기초 직업지표 항목 구성	70
<표 2-14>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의 응용 직업지표 구성	71
<표 2-15> 한국직업정보시스템의 직업 관련 정보	72
<표 2-16> 지역별고용조사 개요	78
<표 2-17> 전국사업체조사(2014년 기준) 개요	80
<표 2-18>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개요	82
<표 2-19>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개요	83
<표 2-20> 산업기술인력수급실태조사 개요	85
<표 2-21> 우리나라 직업 관련 조사통계 요약	91
<표 3-1> 응답자 현황	96
<표 3-2> 직업지표의 신뢰도 분석 결과	97
<표 3-3> 현재수준 직업지표 간의 상관관계	99
<표 3-4> 10년 후 전망 직업지표 간의 상관관계	102
<표 3-5> 직업 대분류별 입직요건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05
<표 3-6> 학력 지표 상․하위 20순위 직업(현재수준)	107
<표 3-7> 직업 대분류별 직무특성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08
<표 3-8> 융합성 지표 상․하위 20순위 직업(현재수준)	110
<표 3-9> 직업 대분류별 직무능력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11
<표 3-10> 비판적 사고력 지표 상․하위 20순위 직업(현재수준)	113
<표 3-11> 직업 대분류별 근무여건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14
<표 3-12> 업무 유연성 지표 상․하위 20순위 직업(현재수준)	116
<표 3-13> 직업 대분류별 소득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17
<표 3-14> 소득만족 지표 상․하위 20순위 직업(현재수준)	119
<표 3-15> 직업 대분류별 고용안정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20
<표 3-16> 고용유지 지표 상․하위 20순위 직업(현재수준)	122
<표 3-17> 직업 대분류별 일자리 전망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23
<표 3-18> 일자리 수 변화 지표 상․하위 20순위 직업(현재수준)	125
<표 3-19> 직업 대분류별 직업가치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26
<표 3-20> 소명의식 지표 상․하위 20순위 직업(현재수준)	128
<표 3-21> 직업 대분류별 입직요건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	129
<표 3-22> 자격증(면허)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31
<표 3-23> 실무경험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32
<표 3-24> 직업 대분류별 직무특성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	133
<표 3-25> 융합성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34
<표 3-26> 변화속도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35
<표 3-27> 직업 대분류별 직무능력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	136
<표 3-28> 창의성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37
<표 3-29> 공감능력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38
<표 3-30> 비판적 사고력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39
<표 3-31> 직업 대분류별 근무여건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	140
<표 3-32> 업무 유연성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41
<표 3-33> 직업 대분류별 소득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	142
<표 3-34> 소득수준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43
<표 3-35> 직업 대분류별 고용안정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	144
<표 3-36> 고용유지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45
<표 3-37> 평생직업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46
<표 3-38> 직업 대분류별 일자리 전망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	147
<표 3-39> 일자리 수 변화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49
<표 3-40> 직업 대분류별 직업가치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	150
<표 3-41> 직업평판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51
<표 3-42> 소명의식 지표 상위 20순위 직업(현재대비 10년 후)	152
<표 3-43> 직업군별 현재와 10년 후 종합(입직요건, 직무특성, 직무능력)	154
<표 3-44> 직업군별 현재와 10년 후 종합(근무여건, 고용안정)	155
<표 3-45> 직업군별 현재와 10년 후 종합(일자리 전망)	156
<표 3-46> 직업군별 현재와 10년 후 종합(소득, 직업가치)	157
<표 3-47> 세분류 직업별 현재와 10년 후 지표 종합(입직시 학력의 중요성)	158
<표 3-48> 세분류 직업별 현재와 10년 후 지표 종합(융합성)	159
<표 3-49> 세분류 직업별 현재와 10년 후 지표 종합(업무 유연성)	160
<표 3-50> 세분류 직업별 현재와 10년 후 지표 종합(고용유지, 일자리 수 변화)	161
<표 3-51> 세분류 직업별 현재와 10년 후 지표 종합(비판적 사고력)	162
<표 3-52> 세분류 직업별 현재와 10년 후 지표 종합(소득만족)	163
<표 3-53> 세분류 직업별 현재와 10년 후 지표 종합(소명의식)	164
<표 4-1> 2015년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산업․직업․사업체 규모 분포	170
<표 4-2> 고졸채용 유형	171
<표 4-3> 고졸자 취업을 위한 분석틀	174
<표 4-4> 고졸자 추천 상․하위 직업	176
<표 4-5> 고졸자 추천 상․하위 직업 집단의 직업지표 영역별 차이	179
<표 4-6> 고졸자 추천 상․하위 집단의 직업지표 항목별 차이	181
<표 4-7> 고졸자 추천 상위 직업, 직무의 학력수준 및 입직을 위한 학력수준	183
<표 4-8> 고졸자 추천 상위 직업별 학력에 따른 보수 및 승진 차별 정도	185
<표 4-9> 고졸자 추천 상위 직업별 직무특성	187
<표 4-10> 고졸자 추천 상위 직업별 근무여건	190
<표 4-11> 고졸자 추천 상위 직업별 소득	192
<표 4-12> 고졸자 추천 상위 직업별 고용안정	193
<표 4-13> 인문계열 대졸자가 취업할 만한 자연과학․제조․공학 분야 직업	204
<표 4-14> 인문계열 대졸자 취업 용이성과 기초 직업지표들 간의 상관관계	207
<표 4-15> 인문계열 대졸자 취업 용이성 영향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209
<표 4-16> 인문계열 대졸자의 전공 교차 취업에 효과적인 준비 사항	210
<표 4-17> 인문계열 대졸자의 취업 용이한 직업의 필요 준비 사항	211
<표 4-18> 취업 유무별 경력단절 경험 유무별 유형 분류	216
<표 4-19> 만 25~54세 기혼여성의 경력단절 사유	216
<표 4-20> 경력단절 전후 취업 업종, 종사상 지위, 임금 비교	217
<표 4-21>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추천 직업 분석틀	219
<표 4-22> 직업생활 중단 후 해당 직업에 복귀하기 쉬운 직업(상위 30개)	219
<표 4-23> 직업생활 중단 후 타 분야로 취업하기 쉬운 직업(상위 30개)	221
<표 4-24> 직업생활을 한 적이 없는 사람이 취업하기 쉬운 직업(상위 30개)	222
<표 4-25> 경력단절 이후 취업이 쉬운 직업의 직업지표 각 영역의 특성	223
<표 4-26> 경력단절 여성에게 추천하고 싶은 직업(30개)	225
<표 4-27> 경력단절 여성 추천 직업의 직업지표 각 영역의 특성	226
<표 4-28> 경력단절 여성 추천 직업(서술형 문항)	230
<표 4-29> 경력단절 여성 추천 직업(23개)	231
<표 4-30> 중장년층 산업별 취업자 비율	240
<표 4-31> 중장년층 직업별 취업자 비율	242
<표 4-32> 장년층 재취업 분석을 위한 주요 직업지표 항목	244
<표 4-33>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장년층 직업추천 정도	246
<표 4-34> 장년층 추천 상․하위 20개 직업	248
<표 4-35> 장년층 취업 용이성 상위 30개 직업	249
<표 4-36> 장년층 추천 직업: 임금수준 및 입직 시 중요도	251
<표 4-37> 장년층 추천 직업: 직무특성 및 근무여건	252
<표 4-38> 장년층 추천 직업: 직업가치 및 일자리 전망	253
<표 4-39> 컴퓨터화의 장애 지표 역할을 하는 O*NET의 변수들	258
<표 4-40> 2015-2020년 직업군별 일자리 전망	259
<표 4-41> 과학기술 발전이 본격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기	264
<표 4-42> 인공지능과 로봇 등 과학기술의 발전으로부터 10년 이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30개 직업	266
<표 4-43> 인공지능과 로봇 등 과학기술의 발전으로부터 본격적인 영향을 20년 이후에 영향을 받는 20개 직업	268
<표 4-44>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10년 후 일자리 수 변화(인구 통계학적 특성)	269
<표 4-45>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10년 후 일자리 수 변화(직업 및 교육분야별 차이)	271
<표 4-46>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10년 후 일자리 수 증가 직업과 감소 직업 간 직업지표 영역 차이	272
<표 4-47>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10년 후 일자리 수 변화와 직업지표와의 상관관계	273
<표 4-48>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수행업무 변화(인구 통계학적 특성 차이)	274
<표 4-49>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10년 후 수행업무 변화(직업 및 교육분야별 차이)	276
<표 4-50> 향후 10년 후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수행업무 변화(상․하위 20개 직업)	277
<표 4-51>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수행업무 변화가 많은 직업과 적은 직업 간 직업지표 영역 차이(10년 후)	278
<표 4-52>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수행업무 변화와 직업지표 간 상관관계	279
<표 4-53> 직업지표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수행업무 변화의 회귀분석	281
<표 5-1> 향후 10년 후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일자리 연구 결과 비교	297
[그림 1-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지표 연구 흐름과 2017년 연구 내용	7
[그림 1-2] 연구 추진 단계별 연구 방법	9
[그림 1-3] 직업지표 조사 내용의 연차별 유지 및 개정․보완	14
[그림 2-1] 오넷 콘텐츠 모델	31
[그림 2-2] 연도별 오넷 직업의 갱신 정보 요약	33
[그림 2-3] O*NET–SOC 2010 직업분류 체계	34
[그림 2-4] 커리어캐스트닷컴의 2017 직업 순위 인포그래픽	36
[그림 2-5] 영국 주요 직업의 진실성 지수	46
[그림 2-6] 호주의 직업전망 사이트	67
[그림 4-1] 과학기술 발전이 직업에 본격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시기	265
[그림 5-1] 맞춤형 취업과 직업생활 지원을 위한 정책 제언	286
[그림 5-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30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7) 2017.01.01~2017.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