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2025 기준 세계 시장에서의 경제효과에 대한 전망 18
<표 2-2> 분야별 미국 특허청 1991~2016년 등록특허 20
<표 2-3> 10대 기술별 최근 특허 및 우리나라 특허의 비중 41
<표 2-4> 미국, 독일, 일본의 중점 혁신 영역 49
<표 3-1> 다음 사항들에 대해 열광적이거나 우려스럽다고 느끼는 미국 성인의 비중 103
<표 4-1> 설비투자 계획의 투자 동기별 통계(1990년, 2016년) 119
<표 4-2> 자동화 영향 요인 분석의 기초통계 124
<표 4-3> 1인당 자동화 투자와 산업별 평균임금 추정 결과(OLS) 127
<표 4-4> 1인당 자동화 투자 추정 결과(OLS) 127
<표 4-5> 산업별 패널 자료 추정 결과(고정효과 모형) 129
<표 4-6> 산업별 패널 자료 추정 결과(동적패널 모형) 131
<표 4-7> 1990년과 2014년의 취업자, 취업계수 및 취업유발계수 138
<표 4-8> 1990년과 2014년의 최종수요, 취업유발인원수 140
<표 4-9> 취업계수 증감률, 최종수요 효과와 2014년 취업유발인원 비교 147
<표 5-1> 숙련지표 기술통계량 161
<표 5-2> 한국직업사전과 임금구조 연계 162
<표 5-3> 직업사전별 요인 적재치 및 설명 비율 170
<표 5-4> 한국직업사전(2판) 요인별 상위 직종 10위 171
<표 5-5> 한국직업사전(3판) 요인별 상위 직종 10위 172
<표 5-6> 한국직업사전(4판) 요인별 상위 직종 10위 172
<표 5-7> 임금구조 회귀분석 결과(2016년) 192
<표 6-1> 독일 노동 4.0 백서의 이상적인 추진 방향 227
<표 6-2> 기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 세부 내용 230
<표 6-3> 사례조사 표본사업체의 기본 특성 236
<표 7-1> 우리나라, 일본, 독일의 산업별 산업용 로봇스톡 270
<표 8-1> 추격형 숙련 체제의 특징 314
<표 8-2> 추격 성장형 숙련 체제와 혁신 성장형 숙련 체제의 핵심 특징 비교 333
<부표 1> 한국직업사전의‘경기장 아나운서’직업 기술 사례 391
<부표 2 > 한국직업사전 직무기능 분류와 수준 392
<부표 3> 임금구조 자료 연도별, 산업별 표본 393
<부표 4> 카이저 표본 적합도 393
<부표 5> 초과교육, 초과경력, 교육 연수, 경력 수익률 394
<부표 6> 숙련 수익률 395
<부표 7> 숙련 수익률 396
[그림 2-1] 미래의 생산 및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칠 과학기술 19
[그림 2-2] 인공지능기술 관련 등록특허 추이 21
[그림 2-3] 인공지능기술의 특허출원인 국적 분포 22
[그림 2-4] 사물인터넷 기술 관련 등록특허 추이 23
[그림 2-5] 사물인터넷 기술의 특허출원인 국적 분포 24
[그림 2-6] 클라우드 기술 관련 등록특허 추이 25
[그림 2-7] 클라우드 기술의 특허출원인 국적 분포 26
[그림 2-8] 빅데이터 기술 관련 등록특허 추이 27
[그림 2-9] 빅데이터 기술의 특허출원인 국적 분포 28
[그림 2-10] 3D 프린팅 기술 관련 등록특허 추이 29
[그림 2-11] 3D 프린팅 기술의 특허출원인 국적 분포 30
[그림 2-12] 지능형 로봇 기술 관련 등록특허 추이 31
[그림 2-13] 지능형 로봇 기술의 특허출원인 국적 분포 32
[그림 2-14] 자율주행차 기술 관련 등록특허 추이 33
[그림 2-15] 자율주행차 기술의 특허출원인 국적 분포 34
[그림 2-16] 드론 기술 관련 등록특허 추이 35
[그림 2-17] 드론 기술의 특허출원인 국적 분포 36
[그림 2-18] 공장 및 건물 에너지 관리 기술 관련 등록특허 추이 37
[그림 2-19] 공장 및 건물 에너지 관리 기술의 특허출원인 국적 분포 38
[그림 2-20] 합성생물학 기술 관련 등록특허 추이 39
[그림 2-21] 합성생물학 기술의 특허출원인 국적 분포 40
[그림 3-1] 유럽연합, 일본, 미국에서의 일자리 양극화 57
[그림 3-2] The distribution of BLS 2010 occupational employment 62
[그림 3-3] OECD 국가별 자동화 가능성 상위 근로자 비중 64
[그림 3-4] McKinsey Global Institute의 분석 방법 67
[그림 3-5] 기술개발 이후 실제 채택 접근 속도에 따른 시나리오 68
[그림 3-6] 미국에서 자동화 가능성 정도에 따른 직업의 비중 71
[그림 3-7] 미국에서 소득 최상위 0.001%의 소득 점유 비중, 1913~2015 71
[그림 3-8] 임금불평등, 고용 분포, 실업 등에 대한 시나리오 74
[그림 3-9] 임금 및 교육 수준과 자동화 가능성의 비교 76
[그림 3-10] 임금수준과 자동화 가능성 77
[그림 3-11] 기술적 대체 가능성 및 경제적 대체 비용 78
[그림 3-12] 품질 제고, 자동화 투자 등에 대한 일자리 대체 가능성 80
[그림 3-13] 일자리의 경제적 대체 가능성 81
[그림 3-14] 숙련수준별 직업별 고용량 변동 84
[그림 3-15]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메커니즘 95
[그림 3-16] 기술 변화의 일자리 영향 경로 96
[그림 3-17] 기술과 일자리의 상호 작용을 매개하는 것으로서 숙련 체제 100
[그림 3-18] 로봇 등에 대한 긍정적 견해와 노동시장 지출 101
[그림 3-19] 로봇 등의 일자리 위협과 노동시장 지출 101
[그림 4-1] 1인당 기계장치와 1인당 자동화 투자 비교(1990~2014) 122
[그림 4-2] 1인당 자동화 투자와 1인당 자동화 신제품 투자 비교(1990~2014) 123
[그림 4-3] 1인당 자동화 투자와 임금수준 비교 126
[그림 4-4] 취업계수 증감률과 취업유발인원 증감률 비교 142
[그림 4-5] 취업계수 증감률과 취업유발인원 감소 기여도 비교 143
[그림 4-6] 디비지아 분해에 따른 산업연관 효과와 최종수요 효과 145
[그림 4-7] 취업계수 증감률, 최종수요 효과와 2014년 취업유발인원 비교 146
[그림 5-1] 최초 요인 설명 비율 174
[그림 5-2] 필요교육기간(년)의 변화 추이 178
[그림 5-3] 필요숙련기간(년)의 변화 추이 179
[그림 5-4] 자료기능 수준의 변화 추이 180
[그림 5-5] 사람기능 수준의 변화 추이 181
[그림 5-6] 사물기능 수준의 변화 추이 182
[그림 5-7] 인지적 숙련의 변화 추이 184
[그림 5-8] 육체적 숙련(1993~1999)의 변화 추이 185
[그림 5-9] 상호숙련(1993~1999)의 변화 추이 186
[그림 5-10] 감각적 숙련(2000~2016)의 변화 추이 187
[그림 5-11] 숙련특성 변화: 산업효과와 직업효과(1993~2016) 188
[그림 5-12] 2・3차 산업의 산업효과와 직업효과(1993~2016) 190
[그림 5-13] 초과교육과 초과경력 수익률 변화(1993~2016) 195
[그림 5-14] 교육 연수와 경력 연수 수익률 변화(1993~2016) 195
[그림 5-15] 모형 1의 숙련 수익률 변화(1993~2016) 197
[그림 5-16] 모형 3의 숙련 수익률 변화(1993~2016) 197
[그림 5-17] 직무기능 수익률 변화(1993~2016) 199
[그림 5-18] 남성 수익률 변화(1993~2016) 200
[그림 6-1]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물리시스템 개요 224
[그림 6-2] 스마트공장 추진단 협력기관 231
[그림 6-3] 우리나라 스마트공장 운영 성과 232
[그림 7-1] 기업의 혁신활동수준과 직군별 고용규모 변화 전망(2020년) 288
[그림 7-2] 기업의 혁신활동수준과 직군별 고용규모 변화 전망(2030년) 289
[그림 7-3]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증가직군의 업종별 고용 전망 290
[그림 7-4]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감소직군의 업종별 고용 전망 291
[그림 7-5]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증가직군의 기업규모별 고용 전망 292
[그림 7-6]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감소직군의 기업규모별 고용 전망 293
[그림 7-7] 기업의 혁신활동수준과 직군별 요구역량 내용 변화 전망(2020년) 294
[그림 7-8] 기업의 혁신활동수준과 직군별 요구역량 내용 변화 전망(2030년) 295
[그림 7-9]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증가직군의 업종별 요구역량 내용의 변화 정도 296
[그림 7-10]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감소직군의 업종별 요구역량 내용의 변화 정도 297
[그림 7-11]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증가직군의 기업규모별 요구역량 내용의 변화 정도 297
[그림 7-12]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감소직군의 업종별 요구역량 내용의 변화 정도 298
[그림 7-13] 기업의 혁신활동수준과 직군별 관리직 대비 임금수준 변화 전망(2020년) 300
[그림 7-14] 기업의 혁신활동수준과 직군별 관리직 대비 임금수준 변화 전망(2030년) 300
[그림 7-15]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증가직군의 업종별 관리직 대비 임금수준 변화 전망 301
[그림 7-16]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감소직군의 업종별 관리직 대비 임금수준 변화 전망 302
[그림 7-17]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증가직군의 기업규모별 관리직 대비 임금수준 변화 전망 303
[그림 7-18] 혁신활동 2배 강화 시 고용감소직군의 기업규모별 관리직 대비 임금수준 변화 전망 303
[그림 8-1] 커리어-구직-훈련서비스의 상호 연계 구상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