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2017)
- 저자
- 유한구 민숙원 류지영 신동준 이은혜 이의규 정태화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17-0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7.12.31
- 등록일
- 2018.03.07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KEEP
요약 ix 제Ⅰ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제1장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개요 3 제1절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5 제2절 사업 추진 절차 및 주요 사업 내용 10 제2장 1차(2016)년도 조사결과 및 데이터 클리닝 17 제1절 1차(2016)년도 조사 결과 19 제2절 1차(2016)년도 데이터 클리닝 21 제3장 2차(2017)년도 설문지 개발 33 제1절 응답자 특성 및 설문지 구조 35 제2절 조사 내용 37 제3절 설문 문항별 조사 지침 42 제4절 설문 문항 변경 내용 60 제4장 2차(2017)년도 본조사 준비 73 제1절 본조사 준비 75 제5장 향후 계획 79 제1절 향후 계획 81 제Ⅱ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Ⅰ 제6장 12차 학술대회 개최 89 제1절 개최 개요 91 제2절 주요 논문 소개 92 제3절 대학원생 논문 경진대회 95 제4절 데이터 사용자 의견 조사 96 제7장 12차(2015)년도 자료 공개 및 기초분석보고서 99 제1절 12차(2015)년도 공개자료의 내용 및 특성 101 제2절 12차(2015)년도 가중치 103 제3절 12차(2015)년도 기초분석보고서 발간 120 제8장 사업 성과 149 제1절 사업 성과 151 참고문헌 157 부록 163 1. 한국교육고용패널Ⅱ설문지 165 2. 조사·통계 브리프 263 3. KRIVET Issue Brief 289 4. 12차 학술대회 언론보도 자료 301 5.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II 참여자를 위한 진로·직업 뉴스레터 331 6. KEEP 자료 활용 리스트(언론보도, 학술논문 등) 337
○ 인적자원개발 정책 수립 및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 - 우리나라 청소년의 교육 경험과 진학·진로, 직업세계로의 이행 등 교육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과정에 대한 실증적 자료 구축을 통해 국가인적자원개발 정책 수립 및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 제공 ○ 국가 교육정책 수립 및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중·고등교육의 학교 효과를 분석하여 국가 교육정책 수립 및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 제공 - 중등단계 직업교육 활성화 정책(마이스터고, 산학일체형도제학교 등)에 대한 성과를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직업교육 정책 수립 및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 제공 ○ 노동시장 정책 수립 및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 교육-고용 간의 연계성 및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청년 노동시장 정책을 수립(고용, 정규직·비정규직 문제, 일자리 미스매치 등)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
제Ⅰ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표 1-1>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와 마이스터고 추적 조사 자체조사 및 통합조사 비교 8 <표 1-2> 고교 유형별 1차(2016)년도 조사 결과 12 <표 1-3> 조사 내용 14 <표 2-1> 1차(2016)년도 조사 결과 20 <표 2-2> 학교유형별 조사 결과 20 <표 2-3> 학생 데이터 클리닝 기준 24 <표 2-4> 가구 데이터 클리닝 기준 28 <표 3-1> 한국교육고용패널 설문지Ⅱ 2차(2017)년도 설문지 구조 및 응답자 특성별 조사 문항 37 <표 3-2> 한국교육고용패널 설문지Ⅱ 2차(2017)년도 조사 내용 38 <표 3-3> 한국교육고용패널 설문지Ⅱ 2차(2017)년도 설문 문항별 조사 지침 43 <표 3-4> 한국교육고용패널 설문지Ⅱ 1차(2016)년도 대비 한국교육고용패널Ⅱ 2차(2017)년도 설문 문항 변경 내역 60 <표 3-5> 한국교육고용패널I 12차(2015)년도 대비 한국교육고용패널Ⅱ 2차(2017)년도 설문 문항 변경 내역 65 <표 5-1> 동일한 문항에 대한 변수명 설계 예시 85 제Ⅱ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Ⅰ <표 7-1> 12차(2015)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4년 중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107 <표 7-2> 12차(2015)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4년 일반계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108 <표 7-3> 12차(2015)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4년 전문계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109 <표 7-4> 12차(2015)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7년 전문계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111 <표 7-5> 12차(2015)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7년 외국어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111 <표 7-6> 12차(2015)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7년 과학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112 <표 7-7> 12차(2015)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일반계고등학교 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114 <표 7-8> 12차(2015)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전문계고등학교 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115 <표 7-9> 12차(2015)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외국어고등학교 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115 <표 7-10> 12차(2015)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 (2007년 과학고등학교 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116 <표 7-11> 12차(2015)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7년 2년제 대학 졸업자 코호트)-보정 패널 118 <표 7-12> 12차(2015)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 (2009년 4년제 대학 졸업자 코호트)-보정 패널 118 <표 8-1> 연도별/유형별 자료 활용 건수 152 <표 8-2> 연도별 원자료 사용 건수 153 제Ⅰ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그림 1-1] 사업 추진 절차 11 [그림 1-2] 주요 사업 추진 내용 16 제Ⅱ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Ⅰ [그림 6-1] 제12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참석자 설문지 97 [그림 7-1] 전문대 대학생 학교 계열 122 [그림 7-2] 4년제 대학생 학교 계열 123 [그림 7-3] 전문대 대학생 시설자원 만족도 124 [그림 7-4] 4년제 대학생 시설자원 만족도 124 [그림 7-5] 4년제 대학생 복수전공 이수 여부 125 [그림 7-6] 4년제 대학생 복수전공 이수 이유 126 [그림 7-7] 수업 이외 전공공부 여부 127 [그림 7-8] 전공공부 사교육 경험 127 [그림 7-9] 전공공부 사교육 시간(일주일 평균) 128 [그림 7-10] 전공공부 사교육 비용(월평균) 129 [그림 7-11] 혼자 전공공부하는 시간(일주일 평균) 130 [그림 7-12] 여럿이 전공공부하는 시간(일주일 평균) 130 [그림 7-13] 교내 아르바이트 참여 여부 131 [그림 7-14] 교내 아르바이트 참여 횟수(평균) 132 [그림 7-15] 취업 시 가장 중요한 요소(1순위) 133 [그림 7-16] 지난 1년간 구직활동 경험 여부 134 [그림 7-17] 지난 1년간 구직 실패 경험 여부 135 [그림 7-18] 지난 1년간 구직 실패 경험 횟수(평균) 136 [그림 7-19] 취업 준비 경험의 도움 정도 137 [그림 7-20] 일자리 경험(현 일자리 제외) 여부 (2014.7.~2015.6.) 138 [그림 7-21] 일자리 경험 횟수(2014.7.~2015.6.) 139 [그림 7-22] 첫 번째 일자리-일자리 형태 140 [그림 7-23] 인턴 과정 여부 141 [그림 7-24] 첫 번째 일자리-월평균 소득 142 [그림 7-25] 첫 번째 일자리-일주일 총근로시간 143 [그림 7-26] 영어 공부 경험 144 [그림 7-27] 영어 사교육 경험 여부 144 [그림 7-28] 취업, 창업, 직무능력개발 교육훈련 경험 여부 145 [그림 7-29] 취업, 창업, 직무능력개발 교육훈련 경험 횟수(평균) 146 [그림 7-30] 용돈 액수(월평균) 14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2017) | 2017.01.01~2017.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