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글로벌교육지원사업
BEAR II 공식행사를 통한 한-아프리카 교육협력 강화 사업
Korea-Africa Education Cooperation Enhancement project through BEAR II Official Ceremony
- 저자
- 전재식
- 분류정보
- 수탁사업(2017-2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8.01.31
- 등록일
- 2018.05.15
주제어
베어프로젝트, 아프리카, 직업교육훈련, 역량개발, BEAR Project, Africa, TVET, Capacity Building
제1장 서 론_1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주요 사업내용 및 방법 9 제2장 BEAR II 공식 행사 주요 내용_13 제1절 BEAR II 공식 행사 주요 일정 15 제2절 BEAR II 공식 행사 세션별 발표 내용 및 논의 결과 21 제3절 BEAR II 공식 행사 현장방문 성과 41 제3장 BEAR II 공식행사 사업 결과 및 발전계획_43 제1절 BEAR 2차 사업 세부계획 45 제2절 BEAR 1차 수원국의 UNESCO 추후 지원 계획 90 제3절 BEAR 사업의 적절성, 효과성, 효율성, 지속가능성 확보 94 제4장 결 론_101 제1절 BEAR II 사업의 방향성 103 제2절 BEAR I 사업의 시사점 104 제3절 범국가적 사업실행 계획 105 제4절 파트너십 구축 및 지속가능성 확보 107 참고문헌_109 부 록_111 1. BEAR II 공식행사 발표자료 113 2. BEAR II 공식행사 활동사진 232
BEAR 2차 사업의 주요 목표는 국가 발전 전략 차원에서 선정된 산업분야에 숙련된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각 수원국의 직업교육훈련체제 개선을 통한 청년층에게 양질의 일자리 제공 및 자영업을 효과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환경 제공에 있다고 할 수 있다. BEAR 사업은 하기의 3가지 성과지표 창출을 목표로 사업이 실행된다. ○ TVET 적절성 신장 : 변화하는 노동시장의 기술수요를 반영한 직업교육훈련 교육과정 개발 ○ TVET 질 강화 : TVET 훈련기관 및 교사들의 역량개발 ○ TVET 인식 개선 : 사회, 기업, 청년층 사이에서 TVET의 인식 개선을 통한 학습자들에게 매력적인 교육 선택권으로서 자리매김 지원 상기 주요 사업실행 관련 활동은 수원국 내의 TVET 관련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과 함께 계획되었으며, 사업 수행기간을 넘어서 사업성과의 지속성 강화를 위하여 TVET 체계와 경제/산업부문 주요 관계자들과의 지속적인 공생관계를 유지하는데 본 사업의 의의가 있다.
Chapter 1 Introduction_1 Section 1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project 3 Section 2 Project contents and method 9 Chapter 2 Main Agendas of BEAR II Official Ceremony_13 Section 1 The Main schedule of BEAR II Official Ceremony 15 Section 2 The presentation contents for each session and discussion of the results 21 Section 3 Learning outcomes of field trips from BEAR II Official Ceremony 41 Chapter 3 Achievements of BEAR II Official Ceremony and Further Development Plans_43 Section 1 Specific plans for BEAR II projet 45 Section 2 Follow-up activities for BEAR I beneficiary countries 90 Section 3 Efforts for enhancing relevance,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of BEAR project 94 Chapter 4 Conclusion_101 Section 1 The further direction of BEAR II project 103 Section 2 Lessons learned from BEAR I project 104 Section 3 Cross-country implementation plan 105 Section 4 Establishment of a partnership and substantiality 107 References_109 Appendix_111
The Better Education for Africa’s Rise (BEAR) II is a five-year UNESCO Project supported by the Republic of Korea, to be implemented from 2016 to 2021 in selected countries in Eastern Africa. The five beneficiary countries of the project are Ethiopia, Kenya, Madagascar, the United Republic of Tanzania and Uganda. The project aims at enhancing the relevance, quality and perception of the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VET) system in the selected countries through specific sectoral interventions. This objective is to be achieved by means of improving the knowledge base and capacity of the TVET systems, in order to contribute towards evidence-based policy-making and its implementation in the field of skills development. ...
<표 1-1> BEAR 사업의 주요 성과 지표 4 <표 1-2> BEAR II 사업 실행 시기 4 <표 1-3> BEAR 2차 수원국별 중점 산업분야 10 <표 1-4> BEAR 1차 수원국 주요 발표 내용 10 <표 1-5> BEAR II 공식행사 국내 방문기관 11 <표 2-1> BEAR II 공식행사 1일차 주요일정 15 <표 2-2> BEAR II 공식행사 2일차 주요일정 17 <표 2-3> BEAR II 공식행사 3일차 주요일정 18 <표 2-4> 국외 주요 참가자 현황 19 <표 2-5> 케냐 비전 2030 주요 과제 26 <표 2-6> 우간다 취업인구 및 실업률 35 <표 3-1> 노동시장 분석 활용 강화 세부 내용 46 <표 3-2> 기술수요 평가 및 예측 거버넌스 강화 46 <표 3-3> 기술수요의 변화를 반영한 자격 및 교육과정 개발 47 <표 3-4> 에티오피아 TVET 교사 질 향상 세부방안 48 <표 3-5> 에티오피아 TVET 기관장들의 리더십 훈련 48 <표 3-6> 에티오피아 TVET 인식 개선 진로상담체계 개발 49 <표 3-7> BEAR II 에티오피아 사업실행 논리 체계 52 <표 3-8> 케냐 기술수요 평가 및 예측 사업 실행 세부 계획 55 <표 3-9> 케냐 수요기반 교육과정 개발 실행 세부 계획 55 <표 3-10> 케냐 교사교육 평생교육훈련개발 세부 계획 57 <표 3-11> 케냐 TVET 기관 관리능력 향상 세부 계획 58 <표 3-12> 케냐 진로상담체계 개발 세부 계획 59 <표 3-13> 케냐 Skills Gateway 개발 세부 계획 60 <표 3-14> 케냐 국가기능경기대회 세부 계획 61 <표 3-15> BEAR II 케냐 사업실행 논리 체계 65 <표 3-16> 마다가스카르 노동시장 분석 활용 세부 계획 67 <표 3-17> 마다가스카르 TCA 분야 산업체 훈련기관 협력체계 구성 세부 계획 68 <표 3-18> 마다가스카르 TCA 분야 훈련 질 향상 세부 계획 68 <표 3-19> 마다가스카르 TCA 분야 교사 역량 강화 세부 계획 69 <표 3-20> 마다가스카르 TVET 기관 역량 강화 세부 계획 69 <표 3-21> 마다가스카르 직업 상담 증진 역량개발 세부 계획 70 <표 3-22> 마다가스카르 TVET 직업군의 이미지 증진 세부 계획 70 <표 3-23> BEAR II 마다가스카르 사업실행 논리 체계 72 <표 3-24> 탄자니아 TVET 숙련수요 평가 및 예측 역량 강화 세부 계획 74 <표 3-25> 탄자니아 TVET 자격 및 교육과정 개정 세부 계획 75 <표 3-26> 탄자니아 TVET 교사 질 향상 세부 계획 75 <표 3-27> 탄자니아 TVET 기관 역량개발 세부 계획 76 <표 3-28> 탄자니아 TVET 진로 상담 체계 개발 세부 계획 77 <표 3-29> 탄자니아 TVET 기능경기대회 개최 세부 계획 77 <표 3-30> 탄자니아 TVET 국가기능 Gateway 개발 세부 계획 78 <표 3-31> BEAR II 탄자니아 사업실행 논리 체계 80 <표 3-32> 우간다 TVET 노동시장 분석 역량강화 세부 계획 82 <표 3-33> 우간다 TVET 수요기반 교육과정 개발 세부 계획 83 <표 3-34> 우간다 TVET 평생교육개발체제 이행 세부 계획 84 <표 3-35> 우간다 TVET 질 보장 체계 확립 이행 세부 계획 84 <표 3-36> 우간다 TVET 기능경기대회 개최 실행 세부 계획 85 <표 3-37> 우간다 TVET 국가진로상담 체계 개발 세부 계획 86 <표 3-38> BEAR II 우간다 사업실행 논리 체계 89 <표 3-39> 사업비 집행내역 표 98 [그림 2-1] 에티오피아 GDP 대비 산업별 비중 23 [그림 2-2] GTP II 주요 목표 및 세부 전략 24 [그림 2-3] 탄자니아 GDP 대비 산업별 비중(2013년) 32 [그림 3-1] BEAR II 에티오피아 사업 운영 구조 51 [그림 3-2] BEAR II 케냐 사업 운영 구조 62 [그림 3-3] BEAR II 마다가스카르 사업 운영 구조 71 [그림 3-4] BEAR II 탄자니아 사업 운영 구조 78 [그림 3-5] BEAR II 우간다 사업 운영 구조 86 [그림 3-6] 우간다 언론 매체에 보도된 BEAR 공식행사 성과 95 [그림 3-7] BEAR II 공식행사 운영 체계 구조화 96 [그림 3-8] BEAR II 전담팀 구성 97
|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 수탁 | BEAR II 공식행사를 통한 한-아프리카 교육협력 강화사업 | 2017.10.27~2018.01.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