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의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사례 및 정책화 방안 연구

A research on study and policy plans of universities
저자
이민욱 정지은 정동열
분류정보
기본연구(2018-2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09.30
등록일
2018.12.0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7
제3절 연구의 방법	8
제2장 대학 진로교육의 성과와 한계_11
제1절 대학 진로교육 현황 및 문제점	13
제2절 대학 진로교육 관련 정책	23
제3장 국내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사례 분석_49
제1절 4년제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사례 분석	51
제2절 전문대학 진로체험학기제 유사 제도 운영 사례 분석	88
제3절 종합 및 시사점	105
제4장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관련 인식 및 요구 분석_111
제1절 조사 설계 	113
제2절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관련 인식	117
제3절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관련 요구	134
제4절 종합 및 시사점	174
제5장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도입을 위한 정책 제언_181
제1절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도입을 위한 정책 방향	183
제2절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도입을 위한 단계별 과제	189
SUMMARY_197
참고문헌_205
부  록_209
1. 심층 면담 질문지	211
2. 설문지 양식	21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4년제 대학 및 전문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진로체험학기제 및 유사 제도에 대한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도입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향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대학 진로교육 현황 및 정책 분석
 ○ 대학 진로교육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교육부 및 고용노동부의 대학 진로교육 관련 정책 분석
□ 국내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사례 분석
 ○ 4년제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현황 분석
 ○ 전문대학 진로체험학기제 유사 제도 운영 현황 분석 
□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도입을 위한 요구 분석
 ○ 학생, 교수 및 교직원 대상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관련 인식 분석
 ○ 학생, 교수 및 교직원 대상 진로체험학기제 도입을 위한 요구 분석
□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도입을 위한 정책 제언 
 ○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도입을 위한 정책 방향
 ○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도입을 위한 추진 과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policy support and the management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university career experience semester system through case study of career semester system and similar system operated by four-year colleges and junior colleges in Korea. In order to do so, first we reviewed the university career education policy. Second, we analyzed the cases of university career experience semesters in Korea. Third, we conducted the needs analysis for introduction of university career experience semester system. Finally we proposed policy suggestions for introduction of university career experience semester system. In addition,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in-depth interview, FGI, and questionnaire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
<표 2-1> 교육부의 주요 진로교육 정책	23
<표 2-2> PRIME 사업 주요 내용	24
<표 2-3> PRIME 사업 진로교육 정책 관련 평가지표	26
<표 2-4> LINC+ 사업 주요 내용	27
<표 2-5> LINC+ 사업 진로교육 정책 관련 평가지표	29
<표 2-6> ACE+ 사업 주요 내용	30
<표 2-7> ACE+ 사업 진로교육 정책 관련 평가지표	31
<표 2-8> CK 사업 주요 내용	32
<표 2-9> CK 사업 진로교육 정책 관련 평가지표	33
<표 2-10> WE-UP 사업 주요 내용	34
<표 2-11> WE-UP 사업 진로교육 정책 관련 평가지표	35
<표 2-12> 고용노동부의 주요 진로교육 정책	35
<표 2-13> 대학일자리센터 사업 내용	38
<표 2-14> 청년취업아카데미 지원 대상	39
<표 2-15> 청년취업아카데미 운영 유형	40
<표 2-16> 프로그램 운영 일수별 기업 현장체험 운영 시간	43
<표 2-17> 중소기업 탐방 프로그램 사업 추진 체계	44
<표 2-18> 재학생 직무체험 사업 운영 체계	47
<표 3-1> 아주대 파란학기제 교수 제안 프로그램(2018학년도)	54
<표 3-2> 아주대 파란학기제 평가지표	57
<표 3-3> 아주대 파란학기제 오리엔테이션 일정(2016학년도 2학기)	58
<표 3-4> 아주대 파란학기제 성과 발표회 시상 내용	59
<표 3-5> 아주대 파란학기제 참여 현황	63
<표 3-6> 한동대 자유학기 참여 현황	70
<표 3-7> 이화여대 도전학기제 참여 현황	75
<표 3-8> 건국대 드림학기제 모형	79
<표 3-9> 건국대 드림학기제 선정 및 평가 기준	80
<표 3-10> 건국대 드림학기제 참여 현황	81
<표 3-11> 세종대 창의학기제 유형	84
<표 3-12> 세종대 창의학기제 참여 현황	86
<표 3-13> 2018-1학기 세종대 창의학기제 과제	87
<표 3-14> 부산여자대학교 진로탐색학기제 프로그램 세부 내용	89
<표 3-15> 부천대학교 진로・취업교과 운영 전략	91
<표 3-16> 진로설계와 자기개발 주차별 수업 내용	92
<표 3-17> 통합 학생역량개발 시스템의 학생 단계별 맞춤 지원서비스	101
<표 3-18> 진로 관련 지원 프로그램 	103
<표 3-19> 국내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사례 종합	108
<표 4-1> 심층 면담 실시 일시, 장소 및 참석자 	114
<표 4-2> 설문조사 대상 및 응답자 현황	115
<표 4-3>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관련 인식 및 요구 분석조사 내용 종합	116
<표 4-4> 응답자 특성	135
<표 4-5> 진로체험학기제 참여 동기	137
<표 4-6> 진로체험학기제 참여의 주된 목적	138
<표 4-7> 진로체험학기제를 알게 된 계기	139
<표 4-8> 진로체험학기제 홍보 시 가장 적절한 방법	140
<표 4-9> 진로체험학기제 참여 전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았는지 여부	140
<표 4-10> 진로체험학기제 참여 전 제공받은 정보(중복 응답)	141
<표 4-11> 진로체험학기제 참여 전 사전 교육의 필요 여부	142
<표 4-12> 진로체험학기제 참여 전 필요한 교육 내용	143
<표 4-13> 진로체험학기제에 참여한 학기	144
<표 4-14> 진로체험학기제를 통해 이수한 학점	145
<표 4-15> 참여한 진로체험학기제 과제의 유형	146
<표 4-16> 진로체험학기제 지도교수 미팅 횟수	147
<표 4-17> 진로체험학기제 투자한 시간 및 비용	147
<표 4-18> 참여한 진로체험학기제 만족도	149
<표 4-19> 지도교수의 지원이 만족스럽지 않은 이유	150
<표 4-20> 중복 참여가 가능하다면 향후 진로체험학기제에참여할 의사	151
<표 4-21> 중복 참여 의사가 없는 이유	152
<표 4-22> 진로체험학기제 참여 효과	153
<표 4-23> 진로체험학기제 계획 수립 시 설정했던 목적의달성 여부	153
<표 4-24> 진로체험학기제 계획 수립 시 설정했던 목적을달성하지 못한 이유	154
<표 4-25> 진로체험학기제의 가장 적절한 이수 형태	156
<표 4-26> 진로체험학기제의 가장 적절한 참여 시기	157
<표 4-27> 진로체험학기제의 지도교수의 선정 범위	158
<표 4-28> 진로체험학기제 참여를 위해 학교 차원의지원 필요성	158
<표 4-29> 진로체험학기제 참여를 위한 적절한 지원 규모	159
<표 4-30> 진로체험학기제의 가장 적절한 운영 분야	160
<표 4-31> 학교 지원의 강화되어야 할 부분	161
<표 4-32> 진로체험학기제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	162
[그림 3-1] 파란학기제 신청 및 활동	53
[그림 3-2] 파란학기제 특별 컨설팅 안내문	56
[그림 3-3] 파란학기제 성적표 기입 예시	61
[그림 3-4] 파란학기제 활동 증명서 예시	62
[그림 3-5] 한동대학교 자유학기제 신청서 및 이수 계획서 예시	68
[그림 3-6] 도전학기 운영 절차 요약	72
[그림 3-7] 도전학기제 추진 과정	74
[그림 3-8] 이화여자대학교 도전학기 활동 사례-인턴 백서 제작기	76
[그림 3-9] 이화여자대학교 도전학기 활동 사례-신촌 르네상스	76
[그림 3-10] 창의학기제 운영 절차	83
[그림 3-11] 부천대학교 진로 및 취업 교과 운영 체계	90
[그림 3-12] 부천대 CES 운영 체계	93
[그림 3-13] 부천대학교 진로교과목 운영을 위한 교재 사례	94
[그림 3-14] 구미대학교 진로지도 로드맵	95
[그림 3-15] 영진전문대학 취・창업 지원 비교과 지원 체계	97
[그림 3-16] 부산과기대 진로지도역량 강화 모듈	98
[그림 3-17] 학생 맞춤형 진로 및 취・창업 지원 체계	100
[그림 3-18] My Brand Up Program(MyBu) 체계도 	102
[그림 3-19] 학기별 진로목표 및 세부 과업	104
[그림 3-20] 서정대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	105
[그림 4-1]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관련 인식 및요구 분석 개요 	113
[그림 5-1] 대학 진로체험학기제 도입을 위한 기본 방향 및단계별 과제	18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대학의 진로체험학기제 운영 사례 및 정책화 방안 연구 2018.04.01~2018.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