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FGI 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 12
<표 1-2> 설문조사 대상별 모집단 및 목표 표본 14
<표 1-3> 대상별 설문조사 내용 16
<표 1-4> 연구변인의 정의 및 신뢰도 22
<표 2-1> 경력개발 패러다임의 변화 30
<표 2-2> 현대적 경력 태도의 정의 및 하위 요인 34
<표 2-3> 현대적 경력 태도의 선행변인 39
<표 2-4> 현대적 경력 태도의 결과변인 39
<표 2-5>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및 학습근로자 현황(누적) 42
<표 2-6>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및 학습근로자 유형별 현황 43
<표 2-7>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규모별 현황 44
<표 2-8>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직종별 현황 44
<표 2-9>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 연령별 현황 45
<표 2-10>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 학력별 현황 45
<표 2-1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기간별 학습근로자 현황 46
<표 2-12>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고용 유지율 현황 46
<표 2-13> 개인개발과 경력개발의 비교 48
<표 2-14> 기업현장교사 기본과정(필수교육, 46시간) 중 평가 관련 내용 53
<표 2-15> 기업현장교사 심화과정(선택교육, 37시간) 53
<표 2-16> 기업현장교사 보수교육(선택교육, 138시간) 중 평가·상담 관련 내용 55
<표 2-17> 국가기술자격과 NCS기반 자격 비교 68
<표 3-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FGI 주요 결과 84
<표 3-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93
<표 3-3>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일학습병행 참여 경험 특성 95
<표 3-4>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참여 유형별 현재 경제활동 상태 98
<표 3-5> 일학습병행 훈련과정과 현재 수행직무의 관련성 99
<표 3-6> 과거 기업현장교사?현재 직속상사 일치 여부 100
<표 3-7> 훈련 중 기업현장교사의 진로 상담 및 정서적 지원에 대한 만족 101
<표 3-8> 기업현장교사의 지원이 경력개발에 미친 효과 102
<표 3-9>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종료 후 기업현장교사의 지원 제공 103
<표 3-10> 내부평가 실시 경험 104
<표 3-11> 외부평가 응시 여부 104
<표 3-12> 외부평가 합격 여부 105
<표 3-13> HRD 프로그램 참여 현황 및 효과 106
<표 3-14> 조직의 학습문화에 대한 집단별 인식 수준 108
<표 3-15> 직속상사와의 교환관계에 대한 집단별 인식 수준 109
<표 3-16> 개인-직무 적합성에 대한 집단별 인식 수준 110
<표 3-17> 직무 특성에 대한 집단별 인식 수준 111
<표 3-18> 집단별 프로티언 경력 태도 수준 112
<표 3-19> 집단별 무경계 경력 태도 수준 113
<표 3-20> 집단별 만화경 경력 태도 수준 114
<표 3-21> 집단별 경력계획 수준 115
<표 3-22> 집단별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 115
<표 3-23> 집단별 경력 만족 수준 116
<표 3-24> 집단별 직무 만족 수준 117
<표 3-25> 집단별 고용 가능성 수준 118
<표 3-26> 집단별 경력 몰입 수준 119
<표 3-27> 집단별 직무 몰입 수준 120
<표 3-28> 집단별 조직(정서적) 몰입 수준 120
<표 3-29> 집단별 직무 성과 수준 121
<표 3-30> 집단별 일과 삶의 균형 수준 122
<표 3-3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경력개발 지원 방안에 대한 동의 수준 123
<표 3-32> 집단별 일학습병행 외 직업능력개발 지원 사업에 대한 인지 수준 125
<표 3-33> 일학습병행 외 직업능력개발 지원 사업 참여 여부 126
<표 3-34> 집단별 개인 지원 및 공동훈련에 대한 참여 의향 127
<표 3-35> 집단별 기업의 기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필요성 인식 수준 128
<표 3-36> 집단별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사업에 대한 인지 수준 128
<표 3-37>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프로그램 참여 경험 129
<표 3-38> 집단별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프로그램 참여 의향 130
<표 3-39>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경력 태도, 경력개발 행위 및 성과의 상관관계 131
<표 3-40> 정부 지원 사업에 대한 인식과 경력 태도, 경력개발 행위 및 성과의 상관관계 132
<표 3-41> 일학습병행 참여 경험 특성과 경력 태도, 경력개발 행위 및 성과의 상관관계 133
<표 3-42> 환경적 특성과 경력 태도, 경력개발 행위 및 성과의 상관관계 134
<표 3-43> 경력 태도, 경력개발 행위 및 성과의 상관관계 135
<표 4-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 지원 방안(초안) 및 주요 검토 의견 148
<표 4-2> 경력개발을 강조한 산업현장 일학습병행 지원에 관한 법률안 보완(안) 예시 163
<부표 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조직의 학습문화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198
<부표 2>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직속상사와의 교환관계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199
<부표 3>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개인-직무 적합성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200
<부표 4>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직무 특성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201
<부표 5>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프로티언 경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ANCOVA) 202
<부표 6>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무경계 경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ANCOVA) 203
<부표 7>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만화경 경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ANCOVA) 204
<부표 8>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경력계획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205
<부표 9>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206
<부표 10>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경력 만족에 미치는 영향(ANCOVA) 207
<부표 1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ANCOVA) 208
<부표 12>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고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ANCOVA) 209
<부표 13>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경력 몰입에 미치는 영향(ANCOVA) 210
<부표 14>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직무 몰입에 미치는 영향(ANCOVA) 211
<부표 15>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조직 몰입(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ANCOVA) 212
<부표 16>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ANCOVA) 213
<부표 17>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ANCOVA) 214
[그림 1-1] 연구 절차, 주요 내용 및 방법 10
[그림 2-1] 뉴커리어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 40
[그림 2-2] 한국의 자격체계 66
[그림 2-3] 직업능력개발 사업체계 70
[그림 4-1] 분석 결과의 시사점에 따른 지원 방안 도출 146
[그림 4-2]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 지원 방안 수정・보완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