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 지원 방안

Supporting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Work-Learning Dual Training Completers
저자
김대영 황성수 장주희 전승환 이한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8-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0.31
등록일
2019.01.0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7
제3절 연구의 방법	 9
제2장 현대적 경력개발과 일학습병행 경력개발 지원 현황_25
제1절 인적자원 분야 경력개발 관련 연구 동향	 27
제2절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 및 이수자 대상 경력개발 지원 현황	 41
제3절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인프라 현황	 59
제4절 소결	 78
제3장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 현황 및 요구_81
제1절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FGI 결과	 83
제2절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및 일반 중소기업 재직자 설문조사 결과	 93
제3절 FGI, 설문조사 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38
제4장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정책 방안_143
제1절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경력개발 지원 방안 도출	 145
제2절 국가 차원의 인프라 구축을 통한 경력개발 지원 방안	 157
제3절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관리 및 지원 체제 개선을 통한 경력개발 지원 방안	 171
SUMMARY_179
참고문헌_183
<부표>_198
부  록_215
1. 초점집단면담 질문지	 217
2. 설문지	 224
3. Balance test 결과	 252
4. 전문가 의견 조사지	 254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학습병행 정책의 성과가 이에 참여하는 근로자들과 학습기업에게 직접적으로 전이되고 그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현대의 경력환경 및 경력개발 개념의 변화를 고려하여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 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이 연구는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들의 경력개발 현황 및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일학습병행을 통해 근로자들이 단지 노동시장 진입 초기의 기술적 능력개발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전 생애에 걸친 전인적 능력을 개발하는 계기를 만들고, 그들이 다시 기업 및 국가 인적자원개발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의 기틀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의 대상인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들이 재직하고 있는 곳은 대부분 중소기업이므로,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중소기업 재직자들의 경력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설정했다.
  첫째, 최근의 경력개발 관련 연구 동향,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 및 이수자 대상 경력개발 지원 현황,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 및 훈련과정 이수자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국가 및 사회적 수준의 인프라 현황을 검토한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 현황 및 요구를 분석한다. 
  셋째,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안한다.
  It is critical to enhance transfer of learning outcomes of work-learning dual system to maintain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his research aimed to suggest a proposal for supporting career development of those who completed work-learning dual training programs in South Korea.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recent research and data. Literature on recent research trend of career development, current state of dual training completers’ career development support system, and present condition of national and social level support infrastructure were reviewed. Focus group interviews and a survey were conducted to analyze current state and demand of career development of dual training completers...
<표 1-1> FGI 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	12
<표 1-2> 설문조사 대상별 모집단 및 목표 표본	14
<표 1-3> 대상별 설문조사 내용	16
<표 1-4> 연구변인의 정의 및 신뢰도	22
<표 2-1> 경력개발 패러다임의 변화	30
<표 2-2> 현대적 경력 태도의 정의 및 하위 요인	34
<표 2-3> 현대적 경력 태도의 선행변인	39
<표 2-4> 현대적 경력 태도의 결과변인	39
<표 2-5>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및 학습근로자 현황(누적)	42
<표 2-6>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및 학습근로자 유형별 현황	43
<표 2-7>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규모별 현황	44
<표 2-8>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직종별 현황	44
<표 2-9>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 연령별 현황	45
<표 2-10>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 학력별 현황	45
<표 2-1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기간별 학습근로자 현황	46
<표 2-12>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고용 유지율 현황	46
<표 2-13> 개인개발과 경력개발의 비교 	48
<표 2-14> 기업현장교사 기본과정(필수교육, 46시간) 중 평가 관련 내용	53
<표 2-15> 기업현장교사 심화과정(선택교육, 37시간)	53
<표 2-16> 기업현장교사 보수교육(선택교육, 138시간) 중 평가·상담 관련 내용	55
<표 2-17> 국가기술자격과 NCS기반 자격 비교	68
<표 3-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FGI 주요 결과	84
<표 3-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93
<표 3-3>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일학습병행 참여 경험 특성	95
<표 3-4>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참여 유형별 현재 경제활동 상태	98
<표 3-5> 일학습병행 훈련과정과 현재 수행직무의 관련성	99
<표 3-6> 과거 기업현장교사?현재 직속상사 일치 여부	100
<표 3-7> 훈련 중 기업현장교사의 진로 상담 및 정서적 지원에 대한 만족	101
<표 3-8> 기업현장교사의 지원이 경력개발에 미친 효과	102
<표 3-9>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종료 후 기업현장교사의 지원 제공	103
<표 3-10> 내부평가 실시 경험	104
<표 3-11> 외부평가 응시 여부	104
<표 3-12> 외부평가 합격 여부	105
<표 3-13> HRD 프로그램 참여 현황 및 효과	106
<표 3-14> 조직의 학습문화에 대한 집단별 인식 수준	108
<표 3-15> 직속상사와의 교환관계에 대한 집단별 인식 수준	109
<표 3-16> 개인-직무 적합성에 대한 집단별 인식 수준	110
<표 3-17> 직무 특성에 대한 집단별 인식 수준	111
<표 3-18> 집단별 프로티언 경력 태도 수준	112
<표 3-19> 집단별 무경계 경력 태도 수준	113
<표 3-20> 집단별 만화경 경력 태도 수준	114
<표 3-21> 집단별 경력계획 수준	115
<표 3-22> 집단별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	115
<표 3-23> 집단별 경력 만족 수준	116
<표 3-24> 집단별 직무 만족 수준	117
<표 3-25> 집단별 고용 가능성 수준	118
<표 3-26> 집단별 경력 몰입 수준	119
<표 3-27> 집단별 직무 몰입 수준	120
<표 3-28> 집단별 조직(정서적) 몰입 수준	120
<표 3-29> 집단별 직무 성과 수준	121
<표 3-30> 집단별 일과 삶의 균형 수준	122
<표 3-3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경력개발 지원 방안에 대한 동의 수준	123
<표 3-32> 집단별 일학습병행 외 직업능력개발 지원 사업에 대한 인지 수준	125
<표 3-33> 일학습병행 외 직업능력개발 지원 사업 참여 여부	126
<표 3-34> 집단별 개인 지원 및 공동훈련에 대한 참여 의향	127
<표 3-35> 집단별 기업의 기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필요성 인식 수준	128
<표 3-36> 집단별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사업에 대한 인지 수준	128
<표 3-37>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프로그램 참여 경험	129
<표 3-38> 집단별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프로그램 참여 의향	130
<표 3-39>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경력 태도, 경력개발 행위 및 성과의 상관관계	131
<표 3-40> 정부 지원 사업에 대한 인식과 경력 태도, 경력개발 행위 및 성과의 상관관계	132
<표 3-41> 일학습병행 참여 경험 특성과 경력 태도, 경력개발 행위 및 성과의 상관관계	133
<표 3-42> 환경적 특성과 경력 태도, 경력개발 행위 및 성과의 상관관계	134
<표 3-43> 경력 태도, 경력개발 행위 및 성과의 상관관계	135
<표 4-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 지원 방안(초안) 및 주요 검토 의견	148
<표 4-2> 경력개발을 강조한 산업현장 일학습병행 지원에 관한 법률안 보완(안) 예시	163
<부표 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조직의 학습문화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198
<부표 2>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직속상사와의 교환관계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199
<부표 3>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개인-직무 적합성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200
<부표 4>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직무 특성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201
<부표 5>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프로티언 경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ANCOVA)	202
<부표 6>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무경계 경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ANCOVA)	203
<부표 7>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만화경 경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ANCOVA)	204
<부표 8>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경력계획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205
<부표 9>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ANCOVA)	206
<부표 10>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경력 만족에 미치는 영향(ANCOVA)	207
<부표 11>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ANCOVA)	208
<부표 12>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고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ANCOVA)	209
<부표 13>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경력 몰입에 미치는 영향(ANCOVA)	210
<부표 14>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직무 몰입에 미치는 영향(ANCOVA)	211
<부표 15>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조직 몰입(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ANCOVA)	212
<부표 16>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ANCOVA)	213
<부표 17>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가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ANCOVA)	214
[그림 1-1] 연구 절차, 주요 내용 및 방법	10
[그림 2-1] 뉴커리어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	40
[그림 2-2] 한국의 자격체계	66
[그림 2-3] 직업능력개발 사업체계	70
[그림 4-1] 분석 결과의 시사점에 따른 지원 방안 도출	146
[그림 4-2]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 지원 방안 수정・보완	15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경력개발 지원 방안 2018.01.01~2018.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