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지원 방안

A Study on the Measures to Support the Labor Market Settlement of Workers with a High School Diploma
저자
김성남 강서울 허영준
분류정보
기본연구(2018-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0.31
등록일
2019.01.0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6
제3절 연구의 방법	 7
제4절 연구의 범위	 9
제2장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관련 논의 및 현황_13
제1절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관련 주요 논의	 15
제2절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진입 및 적응 현황	 23
제3절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화	 41
제3장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지원 정책 및 제도_67
제1절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의 개관 및 유형화	 69
제2절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관련 정책 및 제도	 79
제4장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관련 인식 및 요구 분석_85
제1절 조사 개요	 87
제2절 조사 결과	 98
제3절 시사점	 149
제5장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지원을 위한 정책 방안_155
제1절 기본방향	 157
제2절 정책 제안	 160
SUMMARY_191
참고문헌_195
부  록_199
고졸 취업자 대상 설문지 양식	 201
  이 연구의 목적은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과 관련한 최근의 현황 및 지원 정책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고졸 취업자의 안정적인 노동시장 정착을 저해하는 문제점과 장애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도출함으로써,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관련 논의, 현황 및 정책·제도 분석
  ○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관련 주요 선행연구 분석
  ○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관련 현황 분석
  ○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지원 정책 및 제도 분석
□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관련 인식 및 요구 분석
  ○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관련 인식 및 요구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관련 인식 및 요구 분석을 위한 조사 실시 및 결과 분석
  ○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
□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지원을 위한 정책 방안 마련
  ○ 기본방향 설정
  ○ 노동시장 정착 장애요인에 따른 정책 제안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and support policies related to the labor market settlement of workers with a high school diploma, to systematically derive problems and obstacles that impede stable settlement of workers with a high school diploma in the labor market, and to provide policy support for them.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studies and major discussions on the settlement of labor market of workers with a high school diploma were reviewed. Second, by analyzing data from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and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Survey', the entry and adaptation status of workers with a high school diploma in the labor market was analyzed. Third, the policies and systems to support the settlement of the labor market for workers with a high school diploma were analyzed. Fourth, the questionnaires and the FGI were administered to workers with a high school diploma and corporate HR managers, and their perceptions and needs related to the labor market settlement of workers with a high school diploma were analyzed. Fif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policy plans to support the labor market settlement for workers with a high school diploma were proposed...
<표 2-1> 학력별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	25
<표 2-2> 학력별 취업자의 직업별 분포	26
<표 2-3> 학력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별 분포	28
<표 2-4> 학력별 취업자의 사업체 규모별 분포	29
<표 2-5> 2017년 학력별 취업자의 산업별 30인 미만 사업체 취업 비율	30
<표 2-6> 2017년 학력별 취업자의 직업별 30인 미만 사업체 취업 비율	31
<표 2-7> 학력별 취업자의 월평균 임금	32
<표 2-8> 학력별 취업자의 직장 경험 횟수	33
<표 2-9> 학력별 이직경험자의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	34
<표 2-10> 학력별 이직경험자의 첫 직장 이직 이유	35
<표 2-11> 학력별 이직경험자의 첫 직장과 현 직장 산업별 취업 분포 차이	37
<표 2-12> 학력별 이직경험자의 첫 직장과 현 직장 직업별 취업 분포 차이	39
<표 2-13> 학력별 이직경험자의 첫 직장과 현 직장 종사상 지위 분포 차이	40
<표 2-14> 분석 대상의 성별 및 학교유형	42
<표 2-15> 분석 대상의 연도별 경력 현황(전체)	44
<표 2-16> 분석 대상의 연도별 경력 현황(남성)	45
<표 2-17> 분석 대상의 연도별 경력 현황(여성)	47
<표 3-1> 시대별 직업교육 정책 및 성격 변화	70
<표 3-2> 지난 10년간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 추진 현황	72
<표 3-3> 고졸 취업자 후진학(학위과정) 지원 정책의 변화	80
<표 3-4> 고졸 취업자 직무능력개발(비학위과정) 지원 정책의 변화	82
<표 3-5> 고졸 취업자 장기근속 지원 정책의 변화	83
<표 4-1> 고졸 취업자 대상 설문조사 내용	90
<표 4-2> 고졸 취업자 대상 FGI 조사영역 및 질문항목	91
<표 4-3> 기업 인사담당자 대상 FGI 조사영역 및 질문항목	94
<표 4-4> 고졸 취업자 대상 FGI 참여자의 일반적 사항	97
<표 4-5> 기업 인사담당자 대상 FGI 참여자의 소속 기업 현황	97
<표 4-6>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9
<표 4-7> 고졸 취업 결정 이유	102
<표 4-8> 고졸 취업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람	103
<표 4-9> 취업 정보 획득 방법	105
<표 4-10> 취업하고자 했던 직장 또는 직무에 대한 인식 수준	107
<표 4-11> 향후(5~10년) 진로목표 설정 정도	109
<표 4-12> 현재 직장의 진로목표 근접 정도	112
<표 4-13> 직장 경험 횟수	113
<표 4-14> 첫 직장 이직 이유(복수응답)	115
<표 4-15> 첫 직장 고용 관련 현황	117
<표 4-16> 고교 졸업 후 현재까지 총 직장 근무기간	118
<표 4-17> 현 직장 고용 관련 현황(임금 수준 제외)	121
<표 4-18> 현 직장의 임금 수준	123
<표 4-19> 고졸 대상 직장 내 인사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125
<표 4-20> 현재 직장에 대한 만족도	130
<표 4-21> 현재 직장에 대한 만족도(산업 분야, 인력 규모 및 성별 차이)	131
<표 4-22> 자신의 업무 수행 역량 관련 인식 수준	134
<표 4-23> 자신의 업무 수행 역량 관련 인식 수준(산업 분야, 인력 규모 및 성별 차이)	135
<표 4-24> 향후 경력계획	136
<표 4-25> 현재 직장 유지, 동일/다른 직무 분야 이직 희망 이유	138
<표 4-26> 현재 직장 퇴사 후 대학 진학 희망 이유	139
<표 4-27> 직장-대학 병행 계획 및 힘든 점	142
<표 4-28> 향후 경력계획에 따른 현재 직장 만족도 차이	145
<표 4-29> 재직자 경력개발 지원 정책/제도에 대한 인식 수준	146
<표 4-30> 장기근속 지원 정책/제도에 대한 인식 수준	148
<표 5-1> 고용노동부의 청년 대상 주요 정책	169
<표 5-2> 직업계고의 진로지도 서비스 강화를 위한 조직체계 개편(안)	183
<표 5-3> 직업계고의 (가칭)진로취업지원부의 조직 및 역할 분담(안)	184
<표 5-4> 직업계고 교사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안)	185
<표 5-5> 직업계고의 지역사회 유관기관 및 그 역할	187
<표 5-6> 직업계고의 산학협력체제 구축(안)	189
<표 5-7> 직업계고의 분야별 외부전문가 역할 및 인력 풀 구성(안)	190
[그림 1-1]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개념 범위	10
[그림 2-1] 남성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화를 위한 덴드로그램	48
[그림 2-2] 남성 고졸 취업자의 노동이장 이행 경로 유형별 전체 시퀀스	51
[그림 2-3] 남성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별 상태 분포(타임 프로파일)	52
[그림 2-4] 남성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별 대표 시퀀스	53
[그림 2-5] 여성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화를 위한 덴드로그램	56
[그림 2-6] 여성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별 전체 시퀀스	59
[그림 2-7] 여성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별 상태 분포(타임 프로파일)	60
[그림 2-8] 여성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별 대표 시퀀스	61
[그림 3-1] 고교 직업교육 규모 및 취업률과 주요 정책과의 연계성	71
[그림 4-1] 고졸 취업자 대상 설문조사 문항 구성 개념도	89
[그림 5-1] 문제점 및 장애요인에 따른 개선 기본방향	158
[그림 5-2] 학년별 전공·직업탐색 프로그램 운영 체계(안)	180
[그림 5-3] 학생 진로정보관리 온라인시스템 구축(안)	18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정착 지원 방안 2018.01.01~2018.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