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다문화 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지원 방안 : 해외사례 및 실태조사 분석

저자
김기홍 이남철 나현미
분류정보
기본연구(2018-03-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0.31
등록일
2019.01.04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5
제3절 연구 방법	6
제2장  일본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지원 실태 분석_9
제1절 다문화청소년 현황 및 인적자원 활용	11
제2절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현황과 지원 정책	20
제3절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운영 사례 분석	25
제3장  독일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지원 실태 분석_41
제1절 독일 다문화청소년 현황 및 인적자원 활용	43
제2절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현황과 지원 정책	50
제3절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운영사례 분석	53
제4장  대만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실태 분석_71
제1절 대만 다문화청소년 현황과 인적자원 활용	73
제2절 대만의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현황과 지원 정책	82
제3절 대만 신주민자녀 직업교육훈련 운영사례 분석	103
제5장  종합시사점_111
제1절 일본에서의 시사점	113
제2절 독일에서의 시사점	119
제3절 대만에서의 시사점	125
부록_131
1. 학교조사 결과	133
2. 학생조사 결과	170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직업교육훈련 기회 및 참여 실태를 재조명하여 이들의 직업교육훈련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인 세부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개념과 직업교육훈련의 연계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정책적 변화 속에서 실행되고 있는가를 파악한다. 
  둘째,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및 교육지원 현황과 문제점 및 운영사례를 파악하여 제도적 개선과 운영 내실화를 위한 방안을 도출한다.
  셋째,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참여 실태 및 요구가 어떠한가를 파악한다.
  넷째, 주요국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및 지원과 관련하여 다문화청소년의 현황과 인적자원 활용, 직업교육훈련 지원정책과 운영사례가 어떠한가를 파악한다.
  다섯째,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지원 활성화를 위해 어떠한 제도 강화 및 개선 방안들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제시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추진하였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다문화청소년과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개념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다문화청소년 및 다문화청소년과 연계된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는 등의 논리적 고찰과 관련 지원정책적 변화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운영 현황과 문제점 분석 및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이 재학하고 있는 직업계고등학교와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그 실태를 조사·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주요국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실태분석을 통해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및 지원과 관련하여 다문화청소년의 현황과 인적자원 활용, 직업교육훈련 지원정책과 운영사례를 파악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다문화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지원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제도 강화와 개선 방안 및 추진 과제를 제시하였다.
<표 2-1> 학교에 재적하는 외국인학생 수(2015년 5월 1일 현재)	14
<표 2-2> 커리어 세미나 실시 내용	37
<표 2-3> 비즈니스 매너 세미나 실시 내용	39
<표 3-4> 2016년 다문화청소년의 직업교육 지원 현황	52
<표 4-1> 대만 종족 분포	75
<표 4-2> 초등학교 및 중학교 재학 신주민자녀 학생 수 및 비율 변화	77
<표 4-3> 대만 초・중학교 신주민자녀 재학생 수 변화	78
<표 4-4> 「손잡기 계획–방과 후 부조」(携手計畫-課後扶助) 방안 소개	81
<표 4-5> 내정부와 교육부 및 직할시・현시정부 공동 추진 중점 업무 항목:  계획과 실천	85
<표 4-6> 대만 「신주민자녀 5년 중기계획」 책략 3 제2항목 개요	86
<표 4-6> 대만 「신주민자녀 5년 중기계획」(수정) 책략 5 제2항목 개요	87
<표 4-7> 대만 「신주민자녀 5년 중기계획」(수정) 책략 5 제2항목 실적평가 지표	88
<표 4-8> 신주민자녀 국제훈련 산학프로그램 보조 항목	101
<표 4-9> 대중시노공대학의 교육과정 편성	104
<표 4-10> 교육과정 편성 내용 및 시수	106
<표 4-11> 도원시 신주민 언어 교학 지도자 양성 교육과정	110
[그림 2-1] 일본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 추이(명)	13
[그림 2-2] 공립학교 재적 외국인학생 수(2015년 5월 1일 현재)	14
[그림 2-3] 공립학교 재적 학생 중 일본어 지도가 필요한 외국인학생 수	15
[그림 2-4] 공립학교 재적 학생 중 일본어 지도가 필요한 일본 국적의 학생 수	16
[그림 2-5] 일본어 지도가 필요한 외국인학생의 모국어별 재적 상황	18
[그림 2-6] 15~19세, 국적별 통학률(1995~2010년)	19
[그림 2-7] 문부과학성의 정보검색사이트(CASTA-NET)	22
[그림 2-8] 실시 체계	28
[그림 2-9] 대상 지역의 외국인주민 수 추이	35
[그림 3-1] 2017 연방부처의 등록된 외국인 수	45
[그림 3-2] 독일의 외국 국적 순위(2017년 3월 현재)	4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다문화 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지원 방안 2018.01.01~2018.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