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글로벌 인재포럼(2018) : Global HR 포럼 & 한-베트남 인재포럼

Global HR Forum 2018
저자
정지선 박동 임건주 안유진 이찬주 장여선
분류정보
기본사업(2018-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2.31
등록일
2019.01.04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글로벌 인재포럼GHR포럼
요 약      ix
제1장 글로벌 인재포럼 개요_1
      제1절 개최 배경 및 필요성	3
      제2절 목적과 의의	6
      제3절 사업 내용   10
      제4절 글로벌 인재포럼 운영 내용	17
제2장 글로벌 인재포럼 2018과 한­베트남 인재포럼 추진 현황_29
      제1절 글로벌 인재포럼 2018 추진체계	31
      제2절 글로벌 인재포럼 2018 주제와 내용 	37
      제3절 한-베트남 인재포럼 2018 추진 현황	47
제3장 글로벌 인재포럼 2018 논의 내용_51
      제1절 기조연설과 특별대담	53
      제2절 기조 세션 	77
      제3절 특별 세션 	100
      제4절 Track A: “교육 혁신, 바로 지금부터”	123
      제5절 Track B: “미래를 위한 기업가 정신”	153
      제6절 Track C: “메이커 교육과 미래의 직업세계”	179
      제7절 Track D: “형식을 넘어서” 	219
제4장 글로벌 인재포럼 2018 만족도 분석_249
      제1절 조사 개요 	251
      제2절 연사(발표자, 토론자, 좌장)들의 만족도 평가	254
      제3절 청중(일반 참가자)의 만족도 평가	265
제5장 한-베트남 인재포럼 2018 개최 내용_297
      제1절 추진 배경과 주제 설정	299
      제2절 포럼 개최 내용 	303
      제3절 한-베트남 인재포럼 세부 내용 	310
제6장 글로벌 인재포럼과 한-베트남 인재포럼 개선 방안_335
      제1절 성과 평가 	337
      제2절 개선 방안 	343
Summary_351
참고문헌_377
부 록_379
      1. 참가자 만족도 설문조사지	381
      2. 세션별 컨셉노트	392
      3. 글로벌 인재포럼 2018 자문위원회 자문내용 	407
      4. 한-베트남 인재포럼 부대행사 개요	434
○글로벌 인재포럼은 인적자원 분야 연구의 글로벌 협력, 선도적 사례 발굴, 한국의 주요 정책연구사업 성과 확산 등을 목적으로 함
  - 각국 인재개발 경험을 공유
  - 미래의 도전과제 협의 
  -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및 고용·노동정책 연구사업 성과 공유
○직능원 연구사업의 대외적 확산 및 2018년 직능원 연구주제 발굴에 활용하고자 함
  -의제 설정과 포럼 개최 결과에서 직능원 연구 과제 및 정책 개발과의 연계성 강화
  - 평생직업교육훈련 어젠다 발굴
  -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직업교육훈련 이슈 제시
  - 평생직업교육, 진로개발, 산업교육, 창업교육의 연계 강화
○한-베트남 간 인적자원분야 연구의 글로벌 협력, 선도적 사례 발굴, 한국의 주요 정책연구사업 성과 확산 등 목적
  - 한-베트남 양국의 인재개발 경험 및 고용·노동정책 연구사업 성과 공유를 통한 상생 발전 도모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의 한-베트남 인력 구인수요 부응 노력 
  - 미래 도전과제 협의 
  - 의제설정에서 직능원 연구사업의 대외적 확산 및 정책 연계성 강화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 방향 논의
 Global Human Resources Forum has been initiated by KRIVET,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n Economic Daily, and the first forum was held in 2006 based on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education and training. The Global HR Forum has been held annually, and the 13th Global HR Forum was in 2018. Slogan of the Global HR Forum is “Global Talent, Global Prosperity!”, the theme of the Forum 2018 is “Future Makers: Challengers create Tomorrow”. 
 
 The Global HR Forum 2018 was held at Grand Walkerhill Seoul on November 6th to 7th. New technologies including AI, Big Data, and IoT defin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unarguably became megatrend. As technological advancement accelerates transformation of human society, the world would undergo incredible change in the future. In its speed, the transformation will be unlike anything humankind has experienced before. Some are even naming the transformation ‘the 4th Civilization Revolution’, instea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tiffer global competition will be shown among countries to dominate the market. Now the world has strived for innovation and reform in social and industrial structure to lead the way in this digital Revolution. Education reform is among major focuses of this effort. That is because the next generation leading the future is required exceptional capability and qualification.
 
 This year’s theme of the Forum holds meaning that now we should find the way to nourish global talent in order to proactively respond to this uncertainty. This forum is to serve as venue to bring together 5,000 global leaders and experts: ministers of related fields, high ranking officials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EOs of global businesses, Presidents of the world’s top universities and experts from academia and they will deeply discuss college innovation, creative learning, talent management of innovative enterprises and the creation of the future of jobs through innovation. ...
<표 1-1> 글로벌 인재포럼 개요 (2006~2017년도)	17
<표 2-1> 2018년 공동 주최기관 간 주요 역할 및 기능	32
<표 2-2> 자문위원회(2018) 프로그램	35
<표 4-1> 청중 대상 만족도 조사 내용	252
<표 4-2> 연사(좌장, 발표자, 토론자) 대상 만족도 조사 내용	253
<표 4-3> 세션 주제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들의 적절성(항목별 응답비율)	256
<표 4-4> 포럼 운영 관련 만족도(항목별 응답비율)	260
<표 4-5> 항목별 개선 필요 사항	262
<표 4-6> 발표(토론) 희망 주제	263
<표 4-7> 추천 주제 및 연사	264
<표 4-8> 글로벌 인재포럼을 위한 제언	265
<표 4-9> 세션 및 발표자 만족도 종합	276
<표 4-10> 세션이 유익하고 만족스러웠던 이유	278
<표 4-11> 포럼 운영 관련 만족도(항목별 응답비율)	284
<표 4-12> 글로벌 인재포럼 2019 추천 주제 및 연사	288
<표 4-13> 글로벌 인재포럼 발전을 위한 제언	294
<표 5-1> 한-베트남 인재포럼 2018 환영리셉션 프로그램	305
<표 5-2> 한-베트남 인재포럼 2018 총회 프로그램	307
<표 5-3> 한-베 인재포럼 참석자(한국측)	308
<표 5-4> 한-베 인재포럼 주요 참석자(베트남측)	309
<표 6-1> 글로벌 인재포럼 결과보고 요약	337
<표 6-2> 발표자 분석	340
<표 6-3> 글로벌 인재포럼 주제	342
<표 6-4> 글로벌 인재포럼 기사 제목 분석(2016년)	342
[그림 1-1] 한-베트남 인재포럼 개요(2017년)	27
[그림 3-1] 노스이스턴 대학 창업 시스템의 인큐베이션 프로세스	213
[그림 4-1] Likert 5단계 척도	253
[그림 4-2] 연사(발표자/토론자/좌장) 소속 기관	254
[그림 4-3] 세션 주제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들의 적절성	255
[그림 4-4] 세션 주제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들의 적절성 비교(2017~2018)	257
[그림 4-5] 포럼 운영 관련 만족도	258
[그림 4-6] 포럼 운영 관련 만족도 비교(2017~2018)	261
[그림 4-7] 개선 필요 사항 	262
[그림 4-8] 참가자 성별 	266
[그림 4-9] 참가자 연령	266
[그림 4-10] 참가자 학력	267
[그림 4-11] 참가자 소속기관	267
[그림 4-12] 참가 세션 주제에 대한 관심 정도 및 참여 후 만족도	268
[그림 4-13] 주제 관심 정도	269
[그림 4-14] 내용 만족도	270
[그림 4-15] 주제와 발표내용 일치 정도	271
[그림 4-16] 참가 세션 발표자(토론자)에 대한 참여 후 만족도	272
[그림 4-17] 발표자 만족도	273
[그림 4-18] 답변 충실도	274
[그림 4-19] 국제적 감각과 의사소통의 원활 정도	275
[그림 4-20] 만족스러운 세션 Top 10(중복응답)	278
[그림 4-21] 만족스러운 발표자 Top 10(중복응답)	280
[그림 4-22] 만족스러운 토론자 Top 10(중복응답)	281
[그림 4-23] 만족스러운 좌장 Top 10(중복응답)	282
[그림 4-24] 포럼 운영 만족도	283
[그림 4-25] 포럼 운영 만족도 비교(2017~2018)	286
[그림 4-26] 글로벌 인재포럼 2018 인지·참석 경로(중복응답)	287
[그림 4-27] 글로벌 인재포럼 2017 참가 경험	287
[그림 4-28] 글로벌 인재포럼 2019 참가 의향	288
[그림 6-1] 2011~2017년도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 참석자 비율	339
[그림 6-2] 발표자 지역별 분포 추이	34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글로벌 인재포럼(2018) 2018.01.01~201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