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훈련체계를 중심으로 본 ‘산업수요 중심 훈련’의 전달 과정 20
<표 2-2> 산업수요 중심 전달체계에서 산업계↔훈련기관간 역할 분담 21
<표 2-3> 산업수요 중심 훈련의 모델별 산업계와 훈련기관의 전달과정 조율방식 25
<표 2-4>「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 시행령」에 따른 국가지원 훈련 대상으로서의 직업훈련기관 32
<표 2-5> 전국 훈련기관 현황(2018) 34
<표 2-6> 직업능력개발훈련 참여기관 현황(’07~’17) 35
<표 2-7> 2017년도 직업능력개발사업 실적 총괄 37
<표 2-8> 「고등교육법」상의 학교(「고등교육법」제2조) 39
<표 2-9> 평생교육시설 현황(「평생교육법」) 40
<표 2-10> 평생직업교육학원의 교습과정 종류 41
<표 2-11> 평생직업교육학원 현황 42
<표 2-12> 공급자→수요자 중심 전환에 따른 훈련 전달과정의 변화 44
<표 2-13> 거버넌스 전환에 따른 훈련기관과 산업계의 역할 변화 44
<표 2-14> NCS기반 훈련에서 훈련직종 개요 및 직종의 구성 48
<표 2-15> NCS기반 훈련에서 훈련과정(능력단위)별 훈련기준의 구성 49
<표 3-1>「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제정 이후 직업훈련 환경과 훈련기관의 역할 55
<표 3-2>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활용)체계 현황 61
<표 3-3> 훈련기관 평가 추진 현황(2007∼2017년) 65
<표 3-4> 훈련기관 NCS기반 직업교육훈련 정책 대상 79
<표 3-5> 정책 대상별 NCS기반 직업교육훈련 정책사업 예산 79
<표 3-6> NCS 활용 전후의 훈련과정 비교 80
<표 3-7> NCS 및 NCS 학습모듈에 대한 인식 83
<표 3-8> NCS 및 NCS 학습모듈 관련 추진정책에 대한 인식 83
<표 3-9> NCS기반 과정평가형 자격 운영 현황 1 86
<표 3-10> NCS기반 과정평가형 자격 운영 현황 2 90
<표 3-11> 호주의 국가훈련제도(NRT)와 훈련패키지 제도 100
<표 3-12> 호주 훈련패키지의 구성 요소 및 특성 101
<표 3-13> TDA(호주 공공훈련기관 협회)의 지역별 회원 현황 108
<표 3-14> 공공훈련기관 대표로서 TDA의 역할 110
<표 3-15> ACPET의 지역별 회원 수 분포 114
<표 3-16> 민간훈련기관 대표(peak body)로서 ACPET의 역할 116
<표 3-17> 호주의 훈련기관에 대한 질관리 기준(RTO standards) 정리 128
<표 4-1> FGI 면담조사 기관 136
<표 4-2> 훈련기관협회 관계자의 면담 결과 145
<표 4-3> 1차 FGI 훈련기관의 특성 148
<표 4-4> 훈련기관 관계자 면담 결과(1차 & 2차) 157
<표 4-5> 공공 및 준공공 훈련기관 관계자 면담 결과 165
<표 4-6> 설문조사 기관(표본)의 구성 169
<표 4-7> 설문조사의 주요 및 세부 내용 171
<표 4-8> 기관유형, 설립연도, 직원 수, 훈련생 수별 응답 현황 174
<표 4-9> 훈련기관의 대표과정 분포(NCS 대분류) 175
<표 4-10> 기관유형별 설립연도, 직원 수, 훈련생 수, 대표과정 분포 177
<표 4-11> 산업수요 중심 훈련의 도입과 훈련요건의 변화(강화) 182
<표 4-12> 훈련요건의 변화가 훈련효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184
<표 4-13> 훈련과정 운영에 있어서 유연성에 미친 영향 185
<표 4-14>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에서의 자율성 변화 187
<표 4-15> 훈련 프로그램의 주체 및 교사 역할의 변화 189
<표 4-16> NCS 도입으로 인한 훈련 프로그램의 질적 내용 변화에 대한 견해 190
<표 4-17> 훈련교재의 활용에 관한 질문 191
<표 4-18> 훈련 교·강사 활용 192
<표 4-19> 훈련생 모집 및 훈련성과에 미친 영향 194
<표 4-20> NCS기반 훈련의 도입으로 훈련기관의 역할 증가 195
<표 4-21> 훈련 전달체계에서 산업계, 정부, 훈련기관의 역할(복수응답 허용) 197
<표 4-22> 훈련 전달체계에서 산업계, 정부, 훈련기관의 역할: 기관유형별 198
<표 4-23> 훈련 전달체계에서 산업계,정부,훈련기관의 역할: 기관유형별(계속) 198
<표 4-24> 훈련요건의 변화(강화): 기관유형, 대표과정, 기관규모, 설립연도별 203
<표 4-25> 훈련요건의 변화가 훈련과정 운영의 유연성에 미친 영향: 기관유형, 대표과정, 기관규모, 설립연도별 204
<표 4-26>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에 있어서의 자율성 변화: 기관유형, 대표과정, 기관규모, 설립연도별 205
<표 4-27> 훈련 프로그램의 질적 내용 변화에 대한 견해: 기관유형, 대표과정, 기관규모, 설립연도별 206
<표 4-28> 훈련교재의 활용: 기관유형, 대표과정, 기관규모, 설립연도별 207
<표 4-29> 훈련 교·강사의 활용: 기관유형, 대표과정, 기관규모, 설립연도별 208
<표 4-30> 훈련성과에 미친 영향: 기관유형, 대표과정, 기관규모, 설립연도별 209
<표 5-1> 산업체↔훈련기관 간 전달과정에 대한 질관리 기준 수립절차 223
[그림 1-1] 산업수요 중심 훈련제도에서 산업계 ↔ 훈련기관간 훈련전달 사이클 5
[그림 1-2] ‘산업수요 중심 훈련제도 정착을 위한 훈련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흐름도 9
[그림 2-1] 산업수요 중심 훈련에서 훈련전달 과정 17
[그림 2-2] 사례 1: 산업체↔훈련기관 연계 모델 사례 27
[그림 2-3] 사례 2: 현장기반 모델 27
[그림 2-4] 사례 3: 학교기반 훈련 모델 28
[그림 2-5] 산업수요 중심 훈련체계 정착을 위한 요건 30
[그림 2-6] 훈련기관의 구성(훈련기관 vs. 교육기관) 33
[그림 2-7] 산업수요 중심 훈련체제 도입과 훈련전달 거버넌스의 변화 43
[그림 2-8] NCS기반의 훈련기준 구성 47
[그림 3-1] KQF 연계 자격 범주 91
[그림 3-2] 자격과 동일 능력단위 인정 92
[그림 3-3] 호주의 직업교육훈련(VET) 거버넌스 구조 99
[그림 3-4] 호주 TP제도 운영에서 ‘growth of specification’의 문제* 105
[그림 3-5] 호주의 직업교육훈련(VET) 질관리체계 129
[그림 4-1] 훈련기관 유형별 기초통계 179
[그림 4-2] 훈련기관의 대표과정 분포(NCS 대분류) 180
[그림 4-3] 훈련기관의 대표과정 분포(NCS 대분류): 기관유형별 180
[그림 4-4] 훈련기관의 운영과정 분포(NCS 대분류) 181
[그림 4-5] 훈련기관의 운영과정 분포(NCS 대분류): 기관유형별 181
[그림 4-6] 설문기관별 훈련요건의 변화(강화) 183
[그림 4-7] 훈련기준 변화가 훈련과정 운영의 유연성에 미친 영향 186
[그림 4-8] NCS 도입으로 인한 훈련 프로그램의 질적 내용 변화에 대한 견해 190
[그림 4-9] 훈련 교·강사 활용 193
[그림 4-10] 훈련생 모집 및 훈련성과에 미친 영향 194
[그림 5-1] 산업수요 중심 훈련제도의 사이클 217
[그림 5-2] VET 질관리 체계도(안)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