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특성화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개선 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System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or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저자
정윤경 나현미 김나라
분류정보
기본연구(2018-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0.31
등록일
2019.01.1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제3절 용어의 정의	15
제2장 지능정보사회와 특성화고 진로교육 체제 분석_19
제1절 지능정보사회와 중등 직업교육의 변화 방향 	21
제2절 특성화고 및 학생 진로 현황	43
제3절 특성화고 진로교육 체제 및 특징	59
제4절 시사점	72
제3장 국내외 진로교육 사례 분석_75
제1절 국내 특성화고 진로교육 사례 분석	77
제2절 독일 직업계고 진로교육 사례 분석	104
제3절 시사점	141
제4장 지능정보사회와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_145
제1절 응답자 특성	147
제2절 지능정보사회 변화 인식	151
제3절 학생 진로 과정과 준비	155
제4절 학교 진로교육 체제와 요구	172
제5절 시사점	186
제5장 특성화고 진로교육 체제 개선 방안_191
제1절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직업・진로교육의 방향	193
제2절 특성화고 진로교육 체제 개선 과제	199
SUMMARY_207
참고문헌_217
부록_227
1. 교사용 면담조사지	229
2. 학생용 면담조사지	233
3. 학교관리자용 설문조사지	237
4. 취업부교사용 설문조사지	242
5. 진로교사용 설문조사지	247
6. 학생용 설문조사지	253
  이 연구의 목적은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특성화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체제의 현황, 문제점 및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미래 지향적 진로교육 체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정보사회의 변화와 특징, 그리고 이에 대응한 중등 직업교육기관의 변화와 진로교육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능정보사회의 개념과 중등 직업교육기관의 변화 동향을 살펴보고, 지능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중등 직업교육 영향 요인 등을 고찰하였다. 
  둘째,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교 및 학생 현황을 살펴보고 학생의 진로 특성과 특성화고 진로교육 체제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에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를 포함하고, 진로교육 체제의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여 학교 진로교육(취업지원 포함)의 목표, 조직, 인력, 교육활동, 예산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학교교육 제도에서의 진로교육 체제와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 체제를 함께 고찰하였다.
  셋째, 지능정보사회에 따른 중등 직업교육 변화에 대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원 및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 진로전담교사, 취업지원교사(취업지원관), 학생 등을 대상으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진로교육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 요구 사항을 고찰하였다.
  넷째, 국내 직업계고 진로교육 체제 사례 및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국외 직업교육 및 직업계고 진로교육 체제 사례(독일)를 분석하였다. 이때 진로교육 사례는 중등 직업교육기관의 학교 급별, 학교 밖 기관과의 관계를 포함한 교육제도에서의 진로교육 체계와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다섯째,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하여 중등 직업교육기관의 진로교육 체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사회적 관점의 개선 과제와 학교교육제도에서의 특성화고 진로교육 체제의 개선 방안 및 지원 정책 등을 제시하였다.
 The industry and employment structure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re expected to change drastically with technology and ICT innovatio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s combined with various industries, and it is expected that new jobs in the new industry will be created and atypical employment such as platform-based service workers will be expanded. Although research and policy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and role of vocational education for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ere conducted,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system due to vocational education change are insufficient. In particular, the graduate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SVH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the threat of job loss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an the higher educated ones, so research on the career education system at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level is more urgently needed.  Chapter 1 outlines the background, content and research methodology of the study as an overview.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problems and requirements of the career education system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future oriented career education system. ...
<표 1-1> 방문 심층그룹인터뷰 현황	8
<표 1-2> 설문조사 대상 및 목표 표본 규모	9
<표 1-3> 설문조사 영역 및 내용	11
<표 1-4> 전문가협의회 개최 현황	13
<표 1-5> 세미나 개최 현황	13
<표 2-1> 지능정보사회의 변화와 특징에 관한 선행연구 주요 내용	25
<표 2-2> 지능정보사회의 인력 양성과 교육・훈련 방향에 관한 선행연구 주요 내용	28
<표 2-3> 디지털기술의 활용 능력에 따른 근로자 분류	32
<표 2-4> 지능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직무능력	34
<표 2-5> 우리나라 직업교육 재구조화기(1998~2016)의 주요 변화	35
<표 2-6> 미래 직업교육 변화 요인 및 전망	37
<표 2-7> 2017년 특수목적고 현황	45
<표 2-8> 직업교육 특성화고 계열별 현황	45
<표 2-9> 마이스터고의 계열별 지정 분야 및 학교 현황	46
<표 2-10> 2017년 기준 마이스터고 학생 현황	48
<표 2-11> 특성화고등학교 졸업 후 상황	51
<표 2-12> 고등학교 유형별 졸업자의 진학률, 취업률 및 취업 비율(2017)	53
<표 2-13> 고등학교 유형별・성별 진학 수	54
<표 2-14> 교육부의 주요 진로교육 추진 정책	60
<표 2-15> 학교 진로교육 환경 여건 변화(2015~2017년)	62
<표 2-16> 진로전담교사 배치 현황(2017. 4. 기준)	63
<표 2-17> 학교 진로교육의 지역사회 협력 현황 종합	64
<표 2-18> 학교 진로교육 운영 내용 종합	65
<표 2-19> 학교급별 진로교육 목표	70
<표 3-1> 서울공업고등학교 졸업생 진학 현황	78
<표 3-2> 서울공업고등학교 졸업생 취업 통계	79
<표 3-3>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학생 현황	79
<표 3-4>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생 취업 현황 	80
<표 3-5> 서울공업고등학교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관련 부서 현황	81
<표 3-6> 학과별 현장실습 기간 및 실습생(명)	83
<표 3-7> 학과별 현장실습 만족도	84
<표 3-8> 현장실습 기업 만족도 요인	85
<표 3-9> 현장실습 기업체 불만족 요인	86
<표 3-10> 현장실습 추천 기업체	86
<표 3-11> 기업체가 요구하는 능력	87
<표 3-12> 전공학과별 현장실습생이 필요로 하는 능력	87
<표 3-13> 중소기업 취업률	90
<표 3-14> 제1~7차 마이스터고 학교별 취업률	96
<표 3-15> 직업학교(HSSW)의 Industry 4.0 학습 영역(예시)	113
<표 3-16> 중학교 과정인 레알슐레(BBRW)의 진로교육활동	134
<표 3-17> 레알슈레(Bertha Benz Realschule Wiesloch)의 협력 파트너	137
<표 3-18> 직업학교(HSSW)의 사전 자격 인증 및 직업 오리엔테이션	138
<표 3-19> 한국과 독일의 사회・교육 및 진로교육 특징 비교	142
<표 4-1> 응답자 현황	147
<표 4-2> 교원 응답자의 연령과 보직 특성 	148
<표 4-3> 취업부교사와 진로전담교사의 경력 특성 	149
<표 4-4> 성별에 따른 학생 응답자 특성	150
<표 4-5> 미래 지능정보사회를 아는 정도	151
<표 4-6> 재학 학교 및 학과 정보 원천-1순위	157
<표 4-7> 학과와 자신의 흥미・적성 적합도	159
<표 4-8> 희망 직업 유무	160
<표 4-9> 희망 직업과 전공 관련성	161
<표 4-10> 졸업 후 진로계획	163
<표 4-11> 졸업 후 진로계획 준비 정도	165
<표 4-12> 진로상담 주제(1순위)	167
<표 4-13> 진로상담 상담자(1순위)	168
<표 4-14> 학교가 진로준비를 도와주는 정도	170
<표 4-15> 학교에서 진로상담을 받을 수 있는 정도	171
<표 4-16> 학교의 진로교육 목표	173
<표 4-17>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조직 운영 형태	174
<표 4-18>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활동 예산 출처	175
<표 4-19> 학부모의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필요성	180
<표 4-20> 학교 유형별 진로교육의 문제점(1, 2순위 합산)	183
<표 5-1> 기존 진로교육 체제에 대비한 새로운 진로교육 체제(안) 	199
[그림 1-1] 본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14
[그림 2-1] 지능정보사회의 개념과 특징	22
[그림 2-2] 지능기술과 정보기술의 개념	23
[그림 2-3] 지능정보화시대 기술 진화에 따른 직업 분류	33
[그림 2-4]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 방안’의 방향과 추진 전략 	39
[그림 2-5]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 방안’의 정책 패러다임 전환	40
[그림 2-6]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 방안’의 예견되는 미래 변화 모습	41
[그림 2-7]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 방안’의 전문직업인 성장경로 모델(예시)	42
[그림 2-8] 우리나라 교육제도 및 2017년 학교・학생 수	43
[그림 2-9] 2017년 유형별 고등학교 및 학생 비율	44
[그림 2-10] 연도별 고등학교 진학률(1980~2017)	52
[그림 2-11] 고등학교 유형별 진학률/취업률(2017)	52
[그림 2-12]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성장경로 모형	66
[그림 2-13] 우리나라 학생의 진로경로 개요(2015년)	66
[그림 2-14] 일반고・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 교육 및 활동 만족도 비교	67
[그림 2-15] 일반고・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 교육 및 활동 경험 비교	68
[그림 2-16]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생의 취업 지원 및 활동 경험 비교	69
[그림 2-17]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생의 취업 지원 및 활동 만족도 비교	69
[그림 3-1] 서울여상 전공별 산업체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80
[그림 3-2]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업무의 유기적인 연계 체제 사례	101
[그림 3-3] 독일 Digital Strategy 2025의 10대 정책 과제	105
[그림 3-4] Industry 4.0 직업교육을 위한 지역 네트워크 거점 기관: 라인 넥카 서클 개념(Rhein Neckar Kreis)	107
[그림 3-5] 휴버트 스턴 슐레(HSSW)의 학습 4.0과 연계된 기업(공장)	107
[그림 3-6] 휴버트 스턴 슐레(HSSW)의 Industry 4.0 직업교육 교실 환경	108
[그림 3-7] 테크니크 슐레 알렌(TSA)의 Industry 4.0 직업교육 교실 환경	109
[그림 3-8] SEW유로드라이브의 지능화 기계 로봇 시스템(직업학교 HSSW)	111
[그림 3-9] 직업학교(TSA)의 타 학교 교사 대상 Industry 4.0 직업교육 연수	112
[그림 3-10] 직업학교(TSSW)의 Industry 4.0 개념도	113
[그림 3-11] 직업학교(TSSW)의 Smart Factory MOVIGEAR 조립 모듈 수업(예시)	116
[그림 3-12] 직업학교(TSA)의 전기 제어 수업 예시 	117
[그림 3-13] 직업학교(TSA)의 정밀기계 자동 생산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 예시	118
[그림 3-14] 직업학교(TSSW)의 Smart Factory 자동화 로봇 시스템 수업 예시	119
[그림 3-15] 독일 마팔사 도제교사의 도제훈련 결과 보고서	122
[그림 3-16] 독일의 학제	124
[그림 3-17] 직업학교의 일과 학습 단계	126
[그림 3-18] 독일의 듀얼 직업교육훈련 체계도	128
[그림 3-19] 직업학교(TSA)의 직업교육 체계	130
[그림 3-20] 1주일간의 마팔사 도제훈련 체험 시 제작한 모형	140
[그림 4-1] 지능정보사회에 따른 직업교육 변화 인식(5점 척도)	152
[그림 4-2] 학교 유형별 지능정보사회에 따른 직업교육 변화 인식(5점 척도)	153
[그림 4-3] 지능정보사회에 따른 직업교육 변화 인식(5점 척도)-교사/학생	154
[그림 4-4]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입학 이유	155
[그림 4-5] 학교 및 학과 정보를 충분히 알고 입학한 정도	156
[그림 4-6] 학과(전공)와 흥미・적성 맞는 정도	159
[그림 4-7] 졸업 후 진로계획	162
[그림 4-8] 졸업 후 진로계획 준비 정도-전체/학교 유형별	164
[그림 4-9] 진로상담 주제 1순위-전체	165
[그림 4-10] 진로상담 주제 1순위-학교 유형별	166
[그림 4-11] 학교가 진로준비 도와주는 정도-전체/학교 유형별	169
[그림 4-12] 학교에서 진로상담을 받을 수 있는 정도-전체/학교 유형별	171
[그림 4-13] 학교의 진로교육 목표-전체/학교 유형별	172
[그림 4-14] 진로교육 담당 인력	176
[그림 4-15] 취업지원 담당 인력	176
[그림 4-16]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체제 운영 정도(5점 척도)	177
[그림 4-17]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체제 운영 정도_학교 유형별(5점 척도) 	178
[그림 4-18] 학교 진로교육활동의 도움 정도_전체/학교 유형별(5점 척도)	179
[그림 4-19] 진로교육의 문제점_전체/학교 유형별(n=549명 교원)	181
[그림 4-20] 진로교육의 문제점-교사별	182
[그림 4-21] 미래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학교 제공 사항_학생 및 교사	184
[그림 4-22] 미래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학교 제공 사항_학교 유형별	185
[그림 5-1] 평생직업교육훈련 패러다임의 변화	19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특성화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개선 방안 2018.01.01~2018.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