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실습 중심 직업교육에 대한 학생, 훈련교사,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f Students, Teachers and Trainer on the Work-Based Learning
- 저자
- 임언 안재영 김지영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8-1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8.10.31
- 등록일
- 2019.01.1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7 제2장 현장기반학습에 대한 이론과 논의_19 제1절 경험학습 21 제2절 상황학습 이론 28 제3절 일기반학습 44 제3장 현장 기반 직업교육의 제도와 이슈 _57 제1절 산업체 파견형 현장실습제도 60 제2절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71 제3절 현장실습과 도제학교에 관한 교사 및 학생 FGI 결과 74 제4장 학생 내러티브 분석 결과_85 제1절 연구 참여자들 87 제2절 특성화고 선택 102 제3절 학교에서의 학습과 생활 114 제4절 도제생의 선택과 기업에서의 학습 125 제5절 미래 계획과 신현장실습제도 143 제6절 소결 154 제5장 현장교사들의 도제 학습에 관한 내러티브 분석 결과_157 제1절 연구 참여자들 159 제2절 기업에서의 교육과 훈련 165 제3절 학교 교육 178 제4절 채용 계획 183 제5절 소결 187 제6장 교사의 학생 학습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결과_189 제1절 연구 참여자들 191 제2절 학교에서의 학습 198 제3절 기업에서의 학습 206 제4절 “학습 중심 현장실습” 제도 214 제5절 소결 221 제7장 논의 및 제언_223 제1절 종합 논의 225 제2절 제언 247 SUMMARY_255 참고문헌_261
본 연구에서는 학생, 교사, 기업 현장교사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서, 도제훈련 및 현장실습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교와 기업에서의 현장 교육의 현황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내부자의 관점에서 경험과 의미를 해석해 내며, 그 제도가 작동하는 맥락에 대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현장기반학습에 관한 이론과 선행 논의를 검토하는 것과, 학생, 기업 현장교사, 교사와의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여 주제를 도출하고 그 의미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가운데,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기반 직업교육과 관련된 이론으로 경험학습과 상황학습, 인지적 도제 이론을 검토했다. 아울러 일기반학습에 대한 정책적 논의들을 검토했다. 현장실습과 도제제도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현장 중심 직업교육의 특징과 구조를 이해하고자 했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 대상과 맥락에 대한 사전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생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시했다. 학생과 기업 현장교사, 교사들과의 집중 인터뷰를 통해서 그들이 학교와 기업에서의 학습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한 내용을 분석하여 핵심 주제들을 도출했다. 마지막으로 고교 직업교육에 관한 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Over the past decade,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has been moving in line with government policies emphasizing work-based learning in a company during high school. There is a premise that working in a company is more meaningful than studying at school for preparing students’ career. However,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what is happening in work-base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students are experiencing work-based learning in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and how institutions and contexts work. Through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company trainers, and school teachers, we will look into the details of the system's operation and examine the direction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labor market reality. ...
<표 1-1> 전문가 회의 일정 및 내용 8 <표 1-2> FGI 일정 및 내용 9 <표 1-3> 연구 참여 학생 특성 12 <표 1-4> 연구 참여 현장교사 직무 분야 12 <표 1-5> 연구 참여 교사 전공 분야 13 <표 2-1> 2017년 유럽연합의 일기반학습 유형 46 <표 2-2> OECD의 일기반학습 유형 47 <표 2-3> 호주의 일기반학습 유형 49 <표 2-4> WIOA법 아래의 일기반학습 주요 모델 51 <표 2-5> 일기반학습 증진을 위한 4대 정책 과제와 20개 지도 원칙 54 <표 3-1>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 주요 정책 및 사건 61 <표 3-2> 특성화고 현장실습 실태 점검 결과 현황 64 <표 3-3> 대상별 FGI 질문 74 <표 4-1> 연구 참여 학생 특성 88 <표 4-2> 특성화고 선택과 관련된 주제 (학생) 103 <표 4-3> 학교에서의 학습과 생활에 관한 주제(학생) 114 <표 4-4> 도제생의 선택과 기업에서의 학습에 관한 주제(학생) 125 <표 4-5> 학생들의 미래 계획과 신현장실습제도에 대한 인식 143 <표 5-1> 현장교사 참여자 직무 분야 160 <표 5-2> 기업에서의 교육과 훈련에 관한 주제(현장교사) 165 <표 5-3> 학교 교육에 관한 주제(현장교사) 178 <표 5-4> 채용 계획에 관한 주제(현장교사) 183 <표 6-1> 교사 참여자 전공 분야 191 <표 6-2> 학교에서의 학습에 관한 주제(교사) 198 <표 6-3> 기업에서의 학습에 관한 주제(교사) 207 <표 6-4> “학습 중심 현장실습” 제도에 관한 주제(교사) 215 <표 7-1> 학교와 기업에서의 학습에 대한 학생, 현장교사, 교사 내러티브 속 핵심 주제 226 [그림 1-1] 내러티브 탐구 진행 과정 15 [그림 2-1] Vygotsky 근접발달영역의 네 단계 31 [그림 2-2] Collins(2006)의 인지적 도제제도의 학습 디자인 37 [그림 2-3] 일기반학습의 7가지 원칙 52 [그림 3-1] 현장실습의 의미에 대한 교사 인식(단위: 5점 척도) 66 [그림 3-2] 산업체 파견형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이유, 기업 관계자 67 [그림 3-3] 현장실습의 문제 항목별 중요도 68 [그림 4-1] 특성화고등학교 선택 과정에서 작용한 개체 104 [그림 7-1] 도제훈련에서 나타나는 괴리 유형 230 [그림 7-2] 도제제도의 편익 234 [그림 7-3] 교사가 인식하는 학생들의 능력별 진로 계획 236 [그림 7-4] 직업계 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학생 수학 점수 차이 237 [그림 7-5] 특성화고 학생 생활의 중요한 선택 시점 241 [그림 7-6] 특성화고 선택의 이유 24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현장 실습 중심 직업교육에 대한 학생, 훈련교사,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 2018.01.01~2018.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