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의 근로자 경력개발 지원방안
The Study of Supporting Career Development Policy in Industry 4.0
- 저자
- 문한나 윤수린 박동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8-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8.10.31
- 등록일
- 2019.01.17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추진 절차 및 방법 11 제2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노동시장과 경력개발의 변화_15 제1절 4차 산업혁명 시대 노동시장의 변화 17 제2절 4차 산업혁명 시대 경력개발 패러다임 변화 28 제3절 소결 52 제3장 근로자 경력개발 관련 정책 동향 분석_55 제1절 국내 경력개발 정책 동향 57 제2절 해외 경력개발 정책 동향 76 제3절 소결 118 제4장 근로자 경력개발 지원 현황 분석_123 제1절 경력개발 지원 설문 분석 125 제2절 경력개발 지원 현황 분석 결과 165 제3절 소결 190 제5장 정책 제언_199 제1절 결론 201 제2절 정책 제언 209 SUMMARY_227 참고 문헌_229 부록_245 1. 4차 산업혁명 훈련 프로그램 247 2. 설문조사지 252 3. FGI 질문지 264 4. 프랑스 전문가 면담 내용 266 5. 경력 지향성 및 무경계경력 사고방식에 대한 문항의 신뢰도와 요인 분석 결과 275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개인의 근로형태가 다양해지고 새로운 직무역량이 요구됨에 따라, 개인이 자신의 경력개발을 위한 경로를 설정하고 개척해 나갈 수 있도록 국가가 경력개발체제를 지원하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세부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하는 경력개발 관련 동향과 이슈를 구명한다. 2. 근로자의 경력개발과 관련하여 정책 동향을 분석한다. 3. 업종별 근로자 경력개발 지원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4.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근로자 지원방안을 제시한다.
The change of technology, socio-economics and culture, will bring another changes and transitions in labour market in Industry 4.0, and as a consequence, it will lead to the changes in career development of contemporary workers. This study aims to develop policies that support and help individual workers to explore their career pathways and anchor in careers as new job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different employment types and positions. This study identifies trends and issu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in terms of industry 4.0 and explores implic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By analyzing policy trend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current issues, problems, and policy improvements are identified. Lifelong career development policies for workers in Industry 4.0 are suggested.
<표 1-1> 국내 사례 조사 12 <표 1-2> FGI 개요 14 <표 2-1> 자동화 가능성에 따른 미국의 주요 직종 분류 19 <표 2-2> Career의 학술적 정의 28 <표 2-3> Career Development의 학술적 정의 29 <표 2-4> 경력개발(Career Development)의 유사 용어 32 <표 2-5> 경력개발 모형의 분류 33 <표 2-6> 프로티언 경력의 특성 34 <표 2-7> 무경계경력의 속성 37 <표 2-8> 경력 돛 유형별 특성 39 <표 2-9> 다중경력의 유형 40 <표 2-10> 경력개발 패러다임의 변화 48 <표 2-11> 경력개발 개념의 변천 49 <표 3-1> 4차 산업혁명 기술 과정 58 <표 3-2> 취업성공패키지 단계별 훈련참여 지원수당 59 <표 3-3> 유급휴가훈련 및 전직훈련 61 <표 3-4> 서울시50플러스재단 경력개발 프로그램(예시) 63 <표 3-5> 노사발전재단 프로그램 65 <표 3-6> 전직 서비스 프로그램 사례 65 <표 3-7> 공공부문 경력상담 현황 71 <표 3-8> 경력개발 지원 근거 법 75 <표 3-9> ITM 클러스터 및 분야별 담당 정부기관 리스트 91 <표 3-10> 싱가포르 SkillsFuture 및 Adapt & Grow 프로그램 대상별 요약 94 <표 3-11> 개인훈련휴가제(CIF: Le Congé Individuel de Formation) 101 <표 3-12> 프랑스의 근로자 주도 경력개발 정책 107 <표 3-13> 경력개발 상담(CEP)에서 다루는 주요 서비스 108 <표 3-14> 프랑스의 고용주 주도 경력개발 정책 115 <표 4-1> 설문지 영역 및 항목 126 <표 4-2>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 산업범위 및 대표기관 129 <표 4-3> 응답자 유형 130 <표 4-4> 현 담당 직무 132 <표 4-5> 현재 직무 전담 기간 132 <표 4-6> 현 직장 규모 133 <표 4-7> 현 종사 업종 133 <표 4-8> 연봉 범위 135 <표 4-9> 현 직업의 종사자 수(취업자 수)의 향후 5년 동안 증가하는 정도 136 <표 4-10> 전공 계열별 경력 유형 137 <표 4-11> 직급별 경력 유형 138 <표 4-12> 연령별 원하는 경력 변화 138 <표 4-13> 연령별 경력개발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139 <표 4-14> 직장규모별 경력개발과 관련한 상사와의 대화 횟수 140 <표 4-15> 직장규모별 상사와의 대화 이후 경력개발 관련 사후조치 140 <표 4-16> 연령별 경력개발에 도움이 된 활동 141 <표 4-17> 직장규모별 기업 또는 HRD/HRM 부서의 경력개발 지원 144 <표 4-18> 직장규모별 기업 또는 HRD/HRM 부서의 경력개발 프로그램 만족도 144 <표 4-19> 업종별 현 직업의 종사자 수(취업자 수)의 향후 5년 동안 증가하는 정도 145 <표 4-20> 업종별 4차 산업혁명 관련 경력개발: 업무의 기계 대체로 인해 느끼는 위기감 146 <표 4-21> 업종별 4차 산업혁명 관련 경력개발: 수행하는 일에 대한 향후 기회 여부 147 <표 4-22> 업종별 4차 산업혁명 관련 경력개발: 필요 기술에 대한 자기 주도적 습득 의향 여부 148 <표 4-23> 업종별 4차 산업혁명 관련 경력개발: 현재 지식과 기술 활용 가능 기간 149 <표 4-24> 응답자의 직장 옮긴 횟수 152 <표 4-25> 응답자의 직장 산업분야별 직장이동 횟수 평균 153 <표 4-26> 응답자의 직장 산업분야별 직장이동 인원 및 종사기간 154 <표 4-27> 산업분야별 직장이동 횟수별 응답자 인원(명) 155 <표 4-28> 제조업 종사자의 직장이동 현황 156 <표 4-29> 종사자의 직무이동 현황(기획・전략) 157 <표 4-30> 종사자의 직무이동 현황(인사・교육・노무) 159 <표 4-31> FGI 참석자 특성 166 <표 4-32> FGI 분석 틀 및 주제별 요약 168 <표 5-1> 근로자 경력개발 이슈 현황 및 지원방안 205 <표 5-2> 훈련 휴가제 운영(예시) 211 [그림 1-1] 연구 내용, 추진 절차 및 방법 11 [그림 2-1] 플랫폼 노동의 구분 23 [그림 2-2] OECD 국가 고령 근로자의 고용률 증감 현황(2000~2016년) 26 [그림 2-3] 다중경력 관리 방법 43 [그림 3-1] 취업성공패키지 단계별 지원 내용 60 [그림 3-2] 50플러스 지원 종합계획 64 [그림 3-3] 생애경력설계 자가진단 서비스 67 [그림 3-4] 경력진단 서비스 68 [그림 3-5] 싱가포르 경력개발 관련 부처 및 하위 기관 78 [그림 3-6] iN LEARN 2020의 5가지 키워드 80 [그림 3-7] Industrie du Futur의 5가지 중점 영역 102 [그림 4-1] 최종 학력의 전공 131 [그림 4-2] 현재 근무지 134 [그림 4-3] 평균 주당(7일 기준) 근무시간 135 [그림 4-4] 경력개발을 위한 미디어 활용 142 [그림 4-5] 경력개발 또는 변화를 위해 선택한 미디어를 활용하는 목적 143 [그림 4-6] 노동조합의 근로자 경력개발 지원 여부 150 [그림 4-7] 응답자의 경력성공(1순위)에 따른 프로티언 경력 지향성과 무경계경력 사고방식의 차이 151 [그림 4-8] 성별 추구하는 경력성공 160 [그림 4-9] 고용형태별 추구하는 경력성공 161 [그림 4-10] 직급별 추구하는 경력성공 163 [그림 4-11] 경력 단계별 필요한 경력서비스 164 [그림 5-1] Skill 4.0 210 [그림 5-2] 업종별 커리어 컨설팅 서비스(career consulting service) 213 [그림 5-3] 경력 단계별 서비스 22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근로자 경력 개발 지원 방안 연구 | 2018.01.01~2018.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