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 지원 방안 연구
- 저자
- 박동열 조대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8-2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8.10.31
- 등록일
- 2019.01.31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7 제2장 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 관련 정책 및 변인_15 제1절 국내 청년 취업 지원 사업 및 일본 직업교육 정책 동향 분석 17 제2절 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 관련 변인 33 제3장 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 실태와 관련 변인 관계 분석_53 제1절 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실태와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55 제2절 직업계고 학생의 후학습 역량과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72 제4장 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 지원 방향과 과제_79 제1절 선취업 후학습 정책의 기본 방향 81 제2절 선취업 후학습 정책의 추진 과제 84 참고문헌_103 부록_109 1-1. 중앙부처 일자리 사업 현황 분석표 111 1-2. 지방자치단체의 일자리 사업 현황 분석표 116 1-3. 일자리 사업의 정책 목적, 정책 대상, 정책 개요 분석표 123
이 연구에서는 직업계고 취업 DB와 직업기초능력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직업계고 졸업생의 선취업 후학습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와 문헌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직업교육 기회 불평등 현상 해소를 유연한 직업계고 학사제도(직업계고 고교 학점제 등)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 직업계고 졸업생의 선취업 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 관련 정책과 변인을 도출하고, 직업계고 취업 및 직업기초능력 평가 DB를 활용하여 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 실태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며, 이를 통하여 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을 장려하고 지원하기 위한 방향과 추진 과제를 구안하는 데 있다. 첫째, 국내 청년일자리 지원 정책 및 일본의 직업교육 정책 동향을 파악하였다. 둘째, 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 관련 변인을 도출하고, 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 실태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한 추진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표 Ⅰ-1> 기존 취업 및 후학습 능력 관련 요인 10 <표 Ⅰ-2> 직업계고 취업 관련 변인 및 분석 항목 11 <표 Ⅱ-1>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상별 일자리 사업 현황 18 <표 Ⅱ-2> 중앙부처별 근로자와 취업・창업 희망자 대상별 지원 사업 실태 분석 20 <표 Ⅱ-3> 지방자치단체별 근로자와 취업․창업 희망자 대상별 지원 사업 실태 분석 22 <표 Ⅱ-4> 중앙부처의 중소기업 환경개선 지원 사업 현황 23 <표 Ⅱ-5> 일본의 고등 교육체제 개요 29 <표 Ⅱ-6> 특성요인별 선행연구 종합 37 <표 Ⅱ-7> 직업기초능력 영향요인 연구 결과 정리 39 <표 Ⅱ-8> 직업계고 졸업자의 후학습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50 <표 Ⅲ-1> 분석 대상의 일반적 사항 56 <표 Ⅲ-2> 취업 특성에 따른 직업기초능력(평균) 기술통계 59 <표 Ⅲ-3> 개인 및 학교 특성에 따른 취업 여부의 차이 60 <표 Ⅲ-4> 개인, 지역, 업종, 취업형태에 따른 고용형태의 차이 62 <표 Ⅲ-5> 개인, 지역, 업종 특성에 따른 취업형태의 차이 63 <표 Ⅲ-6> 고용 및 취업 형태별 연봉구간 차이 65 <표 Ⅲ-7> 고용형태(정규직 취업) 요인 분석 67 <표 Ⅲ-8> 취업기업 유형(대기업 및 공공기관) 요인 분석 69 <표 Ⅲ-9> 임금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71 <표 Ⅲ-10> 직업계고 학생의 후학습 역량 수준 72 <표 Ⅲ-11> 취업 집단과 미취업 집단의 직업기초능력 비교 74 [그림 Ⅱ-1]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졸 재직자의 후진학 경로 43 [그림 Ⅳ-1] 광의의 선취업 후학습 비전, 추진 전략과 과제 개요도 83 [그림 Ⅳ-2] 직업교육훈련 기회 불평등 개요도 87 [그림 Ⅳ-3] 직업계고 학점제와 연계된 후학습으로서 한국형 나노디그리 적용 구상(안) 89 [그림 Ⅳ-4] 국가역량체계에 기반한 직업교육훈련 운영 개요도 91 [그림 Ⅳ-5] 지역 경제와 지역 활력 제고를 위한 ‘지역교육공동체’ 운영 체제 9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직업계고 학생의 선취업 후학습 지원 방안 연구 | 2018.06.04~2018.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