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18)
- 저자
- 서유정 김영생 박동 김민규 안유진 이찬주 장여선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18-0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8.12.31
- 등록일
- 2019.01.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URC 사업국제협력TVETUNEVOC
요 약 ix 제1장 서 론_1 제1절 사업의 배경과 목적 3 제2절 사업 추진 체제 5 제3절 사업 내용 6 제2장 글로벌 TVET 환경 분석_21 제1절 글로벌 TVET 환경 분석 23 제2절 아시아 TVET 환경 분석 37 제3장 URC 사업 운영 현황_65 제1절 사업 일반 현황 67 제2절 전년도 센터 운영 실적 74 제3절 2018년도 센터 운영 실적 78 제4장 URC 사업의 주요 성과_87 제1절 유네스코 지역 사무소 운영 내실화 89 제2절 아·태 지역 TVET 네트워크 강화에 기여 98 제3절 유네스코 TVET 이슈 발굴 및 확산 100 제5장 사업의 방향과 개선 방안_125 제1절 사업의 방향 127 제2절 개선 방안 129 참고문헌_137 부 록_139 [부록 1] European UNEVOC Consolidation Workshop 콘셉트 노트 141 [부록 2] European UNEVOC Consolidation Workshop 설문결과 145 [부록 3] East and Southeast Asia network consolidation workshop 가이드북 157
전 세계적으로 경제불황에 따른 청년 실업의 심화, 각국의 산업 구조 변화 및 기술 진보에 따른 숙련 불일치 확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등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아시아 각국이 공통으로 직면한 급격한 환경 변화에 맞추어 직업교육훈련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 확립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각 개별 국가의 노력이 아닌 세계 각국의 공동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 이미 UN을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에서도 직업교육훈련 분야에 대한 지원 비전을 제시하며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UNESCO-UNEVOC 주최로 2017년 9월 유럽 센터들의 TVET 분야 주요 이슈 관련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4차 산업혁명(Industry 4.0), 창업(Entrepreneurship), 매력도(Attractiveness), 친환경적 TVET(Greening TVET), 이민과 숙련(Migration & Skills)의 5가지 중점 이슈가 도출되었다. 직업교육훈련 분야는 각국의 경제발전 정도 및 기술인재 수급 상황에 따라 상이한 진단이 나올 수 있고 이에 적합한 정책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과거 유럽의 직업교육훈련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한국이 겪었던 시행착오는 여전히 아시아의 개도국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되풀이 되고 있다. 한국의 경험과 노하우가 효과적으로 전수되어 시행착오를 줄이고 경제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개별 국가 접촉을 통한 국가 대 국가의 양자협력 형태보다는 국제기구 네트워크 안에서의 보다 다각적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다자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고, 아시아 지역 내 TVET 이슈의 선도자로서 아시아 지역 협의체 운영 및 중점국가 대상 지원 프로그램 운영은 지속될 필요가 있다. 1. 유럽 강화 워크숍(Europe Consolidation Workshop) 참여 2. 아시아 UNEVOC 워크숍 개최 3. UNEVOC 본부 주관 미얀마 TVET 워크숍 참가
<표 1-1> 유럽 UNEVOC 네트워크 강화 및 계획 워크숍 일정 7 <표 1-2> 유럽 UNEVOC 네트워크 강화 및 계획 워크숍 2018 참여기관 8 <표 1-3> 워크숍 추진 절차 10 <표 1-4> 워크숍 주요 일정표 14 <표 1-5> UNEVOC 본부 주관 미얀마 TVET 워크숍 행사 일정 18 <표 2-1> 전 세계 지역별 직업교육 이수 현황(2016) 24 <표 2-2> 4차 산업혁명 세션 발표 및 토의 세션 정리표 29 <표 2-3> 창업과 혁신 세션 발표 및 토의 세션 정리표 31 <표 2-4> 친환경적 직업교육훈련 세션 발표 및 토의 세션 정리표 34 <표 2-5> 이민과 숙련 세션 발표 및 토의 세션 정리표 36 <표 2-6>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TVET 부문 취약점과 도전과제 41 <표 2-7> 아시아 지역 UNEVOC 센터의 TVET 의제 도출 결과 42 <표 2-8> 워크숍 주제별 관심도 및 역할(순위*) 48 <표 2-9> TVET의 매력도 향상(TVET Attractiveness & quality, career guidance) 세션 발표 및 토의 세션 정리표 57 <표 2-10> 4차 산업혁명 및 미래기술 수요(Industry 4.0 / 21st century skills & future skill needs) 세션 발표 및 토의 세션 정리표 59 <표 2-11> 친환경 TVET 세션 발표 및 토의 세션 정리표 62 <표 3-1> 유네스코와의 협력 관계 현황 69 <표 3-2> UNESCO-UNEVOC의 글로벌 TVET 네트워크 71 <표 3-3> UNEVOC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클러스터 소속 센터 현황 72 <표 3-4> 최근 5년간 UNEVOC-KRIVET 협력 네트워크 활동 74 <표 3-5> 최근 10여 년간 본원 유네스코 지역센터 사업 현황 76 <표 3-6> 미얀마 직업교육훈련 현황과 제도 84 <표 4-1> 본원 주최 워크숍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90 <표 4-2> 본원 주최 워크숍에 대한 내용적 측면의 만족도 91 <표 4-3> 본원 주최 워크숍에 대한 운영적 측면의 만족도 92 <표 4-4> 본원 주체 워크숍의 구체적인 운영목표 및 기대 성과 97 <표 4-5> 클러스터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한 계획 99 <표 4-6> 설문 참여자 후기 102 <표 4-7> ROI의 모델 개요 105 <표 4-8> 캄보디아의 ROI 실행을 위한 실행 계획 계획수립(자국 내 모든 TVET 기관 내 훈련 VSTP 운영) 107 <표 4-9> 캄보디아의 ROI 실행을 위한 실행 계획 계획수립(EQF 2-4 레벨 학생 및 대학생의 훈련 프로그램 등록 관리) 109 <표 4-10> 인도네시아의 ROI 실행을 위한 실행 계획 계획수립 (STEAM 교육 촉진) 111 <표 4-11> 한국의 ROI 실행을 위한 실행 계획 계획수립 (해외 취업 지원을 위한 예산 증액) 112 <표 4-12> 말레이시아의 ROI 실행을 위한 실행 계획 계획수립 (새로운 숙련수요에 적합한 인력양성 체계 강화) 114 <표 4-13> 미얀마의 ROI 실행을 위한 실행 계획 계획수립 (정보통신기술을 활용, 본 TVET 학교에서 지식 습득) 116 <표 4-14> 필리핀의 ROI 실행을 위한 실행 계획 계획수립 (TVET 교육의 질 향상) 118 <표 4-15> 스리랑카의 ROI 실행을 위한 실행 계획 계획수립(TVET 프로그램의 품질 보증을 위해 ROI 측정) 120 <표 4-16> 태국의 ROI 실행을 위한 실행 계획 계획수립 (신규 HRD 센터 건립) 121 [그림 1-1] 사업 추진 체계도 5 [그림 1-2] 사전 주제 선정 설문 조사 절차도 12 [그림 1-3] 사업 추진 절차 19 [그림 2-1]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17 25 [그림 2-2] UNESCO-UNEVOC 본부의 글로벌 TVET 중점 이슈 도출 과정 27 [그림 2-3] 4차 산업혁명 토의 자료 28 [그림 2-4] 창업과 혁신 토의 자료 31 [그림 2-5] 친환경적 TVET 토의 자료 32 [그림 2-6] 아시아 지역 주요 국가의 성인 및 청년 실업률(2017) 37 [그림 2-7] 아시아 국가의 낮은 직업교육 및 훈련 참여율(2018) 38 [그림 2-8] 아세안 지역 기업가 수요에 기반한 직업교육훈련의 제공 여부 및 자국 기술인력 수준 39 [그림 2-9] TVET 주요 이슈에 대한 아시아 지역 UNEVOC 센터의 우선순위 도출 결과 43 [그림 2-10] TVET 매력도에 대한 아시아 지역 UNEVOC 센터의 의견 44 [그림 2-11]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아시아 지역 UNEVOC 센터의 의견 45 [그림 2-12] 21세기 기술 및 수요에 대한 아시아 지역 UNEVOC 센터의 의견 46 [그림 2-13] 친환경적 TVET에 대한 아시아 지역 UNEVOC 센터의 의견 47 [그림 3-1] UNEVOC 네트워크의 협력 체계 68 [그림 3-2] UNESCO-UNEVOC 네트워크 현황 70 [그림 3-3] 주제별 토의 79 [그림 3-4] 참석자 단체 사진 80 [그림 3-5] 워크숍 개최 현장 사진 81 [그림 4-1] 유네스코 베이징 사무소(UNESCO Beijing office)에서 보낸 이번 워크숍의 성공적인 개최에 대한 감사편지 93 [그림 4-2] UNESCO-UNEVOC에서 발간하는 ‘East and Southeast Asia 8월 뉴스레터’ 중 직능원 행사 개최 소식 94 [그림 4-3] UNESCO-UNEVOC의 공식 웹사이트 메인 화면에 탑재된 직능원 행사 개최 소식 95 [그림 4-4] 본원에서 작성한 워크숍 콘셉트 노트 96 [그림 4-5] 영문 홈페이지 개발 및 활용 96 [그림 4-6] 아프리카-유럽, 아시아-유럽 UNEVOC 클러스터 협력방안 98 [그림 4-7] 각 UNEVOC 센터에서 지역 내 클러스터 활동에서 기여 가능 영역 100 [그림 4-8] 각 UNEVOC 센터에서 초점을 두고 추진하고자 하는 활동 101 [그림 5-1] 직능원 URC 사업 운영로드맵(안) 12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18) | 2018.01.01~2018.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