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혁신형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사례연구

The Case Study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Innovat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저자
김미란 권현지 노용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8-3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2.29
등록일
2019.02.01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3
제2절 연구 질문과 연구 방법	12
제2장 (혁신형) 중소기업의 주요 현황_17
제1절 (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혁신활동과 인적자원개발	19
제2절 독일과 일본 중소기업의 최근 혁신 상황	36
제3장 사례연구 1: ICT 벤처기업_47
제1절 들어가는 말 	49
제2절 사례연구 배경: ICT 산업 상황	50
제3절 사례연구 업체 개요 	61
제4절 사례조사 결과	66
제5절 소결	93
제4장 사례연구 2: 기술혁신형 중소제조업_97
제1절 들어가는 말 	99
제2절 사례조사 결과	101
제3절 소결 	123
제5장 결 론_129
제1절 요약	131
제2절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 	142
SUMMARY_145
참고문헌_149
부  록_155
[부록 1] <부표 1> 일본 제조기업의 혁신과 인적자원개발: 중소규모 기업	157
  본 연구는 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의 중요한 한 축이라 할 인적자원의 확보와 육성 그리고 숙련개발을 둘러싼 제반 여건들에 대해 사례연구하고, 이를 통해 혁신형 중소기업의 육성을 위한 인적자원개발 훈련정책 방향에 대해 모색·제안하고자 한다. 
  사례연구는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성장하게 된 배경과 과정은 어떠한지, 이 과정에서 인적자원(특히 혁신역량)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 혁신역량을 어떻게 확보하고 또 어떻게 육성하고 있는지,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성장한 후 인력의 수급과 인적자원 포트폴리오의 구성과 개발은 어떠한지, 그리고 전통적인 중소기업과의 차이는 무엇인지 등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위한 질문을 다음 몇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혁신형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 과정에서 인적자원은 어떻게 활용되었으며, 어떤 역할과 기능을 하였는가? 
  둘째, 기술혁신이나 제품혁신 과정에 핵심인력을 어떻게 확보했으며 이들의 혁신역량을 어떻게 육성/보전해 갔는가? 핵심인력의 수급 상황이나 인적자원의 구성은 전통적 중소기업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인사관리, 경력개발, 조직 수준에서 혁신역량의 개발과 축적에 어떤 특징이 있는가?
  셋째, 혁신형 중소기업에서 기술변화에 따라 숙련요건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이런 변화 속에서 핵심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어떤 것들인가? 
  넷째, 혁신형 중소기업에서 핵심인력의 육성이나 숙련개발을 위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서 어떤 정책적 지원이나 조건 개선이 필요한가?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production·service processes, marketing, staffing, and skills development that are associated with technology innovation in ‘ICT venture business’ and ‘technologically innovative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which are patterns of innovative small enterprises. Based on the study, we presents the industrial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direction for fostering innovative SME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 1) two enterprises in ICT field which are designing semiconductor chips (software) and developing security solutions, 2) and three technologically innovative SMEs (one machine parts processing subcontractor, one independent machine parts manufacturer, one car electro-mechanical parts subcontractor)...
<표 1-1> 우리나라 중소기업 현황: 2016년	6
<표 1-2> 사례연구 대상 선정 개요	15
<표 2-1> 중소기업 현황: 2017년	21
<표 2-2> 혁신형 중소기업의 구분	22
<표 2-3> 혁신형 중소기업 현황	23
<표 2-4> 이노비즈기업의 업종 분포 	23
<표 2-5> 중소기업의 경쟁력: 국제비교, 종합, 4 영역별	25
<표 2-6> 중소기업의 기술요소별 능력 수준: 세계 최고 대비	27
<표 2-7>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	29
<표 2-8>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의 분포: 2015년	29
<표 2-9> 중소제조업의 연구개발 활동: 운영방식과 종사자 	30
<표 2-10> 기업 혁신활동  	31
<표 2-11> 작업장 혁신활동 상황: 2007년, 2015년	32
<표 2-12> 경영혁신 성과에 대한 인식: 2013년	33
<표 2-13> 산업기술인력 상황: 규모, 학력, 부족률	34
<표 2-14> 기업의 교육훈련 실시율과 재직근로자의 훈련참여율: 규모별 	35
<표 2-15> 총노동 비용 중 교육훈련비 비중: 규모별, 한국과 EU 평균	36
<표 2-16> 종업원 1인당 훈련시간 추이 	36
<표 2-17> 독일 중소기업(미텔슈탄트)의 특징 	38
<표 2-18> 독일 중소기업의 미래 액션플랜 	40
<표 5-1> 사례연구 기업체 개요	134
<표 5-2> ICT 기업 사례연구: 비메모리 반도체, 요약	137
<표 5-3> 기술혁신형 중소제조기업 사례연구: 요약	141
[그림 2-1] 중소·중견기업의 구분	20
[그림 2-2] 중소기업의 경쟁력 요인별 평가: 경쟁기업 대비	26
[그림 2-3]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실패요인	27
[그림 3-1] ㄱ사의 주력 제품군과 애플리케이션	64
[그림 3-2] ㄱ사의 인재상	73
[그림 3-3] ㄴ사의 월별 종업원 수 현황	84
[그림 3-4] 인력 운영 현황 및 계획 	91
[그림 4-1] C 기업의 조직표	11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혁신형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사례연구 2018.06.01~2018.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