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박사조사(2018) : 국내신규박사학위취득자 실태조사

저자
송창용 김영식 김혜정 이은혜
분류정보
기본사업(2018-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2.31
등록일
2019.03.05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박사조사박사학위취득자 실태조사
요 약      xi
제1부  사업 개요
제1장 서론_1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사업의 주요 내용      5
      제3절  박사조사 연혁      10
제2장 실사 및 DB 구축_23
      제1절  조사 설계      25
      제2절  조사 준비 및 실사      33
      제3절  온라인 설문 시스템 구축      42
      제4절  데이터 클리닝 및 DB 구축      53
제3장 7차 연도 사업 성과_65
      제1절  기초분석보고서 작성      67
      제2절  정책 연구 및 자료 활용 현황      68
      제3절  언론 보도 현황      71
제4장 8차 연도 조사 준비 및 향후 계획_79
제2부  박사조사(2018) 기초분석
제1장 조사 결과 개요_89
제2장 박사학위과정 및 연구 성과_97
      제1절  박사학위과정      99
      제2절  연구 성과      110
제3장 노동시장 이행 성과_117
      제1절  취업 상태      119
      제2절  취업자      123
      제3절  구직자 및 이직 희망자      138
제4장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_145
      제1절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      147
제5장 박사후과정(Post-doc) 및 시간강사_151
      제1절  박사후과정(Post-doc)      153
      제2절  시간강사      158
제3부  제1장 국내박사학위 취득자 현황_163
제2장 전공별 박사후과정 진학을 위한 해외 거주 계획자_173
참고문헌_177
부  록_179
      1. 박사조사(2018)에 대한 협조 공문      181
      2. 2018년도 박사조사 시행 계획(안)      183
      3. 박사조사(2018) 설문지(국문/영문)      188
      4. 변수 레이아웃      204
      5. 온라인 조사 시스템 사용 매뉴얼(응답자용/대학 담당자용)      208
      6. THE HRD REVIEW 조사·통계브리프      221
○ 사업의 목적
  - 국내 대학의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전수조사를 통해 박사의 양성-배분-활용에 대한 신뢰성 있고 시의 적절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국가 고급인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사업의 주요 내용
  - 박사조사(2018)는 2018년 2월 및 8월 국내 대학에서 신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전수를 조사 대상으로 하며,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음. 
     · 향후 20년 동안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함(2011년 8월 조사 기준).
     · 조사 시기: 매년 2월과 8월 연 2회에 걸쳐 조사 실시
     · 조사 대상: 전국 대학에서 신규로 배출되는 박사 전수
     · 조사 시행: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교육부가 공동 실시
  - 박사조사(2018)의 조사 준비는 주로 설문 보완 및 추가 정보 수집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함.
  - 박사조사(2018)는 전수조사이며, 최대한 많은 수의 사람이 조사에 응하도록 해야 하므로 효율적인 조사를 위해 기존 방식과 동일한 조사 프로세스를 유지하는 데 주력함.
  - 박사조사(2018)은 2017년 11월 14일~2018년 2월 23일, 2018년 5월 17일~8월 27일까지 약 3개월씩 본조사를 진행함.
  - 본조사를 종료한 후 데이터 클리닝 및 DB 구축을 2018년 7월 및 11월 한 달간씩 진행
제 1 부 사업 개요
<표 2-1> 국내외 박사조사 관련 설문 주요 내용  26
<표 2-2> 박사조사(2018) 설문 변경사항  27
<표 2-3> 박사조사(2018) 설문 주요 내용  32
<표 2-4> 박사조사(2018) 기관별 업무  34
<표 2-5> 박사조사(2018) 명부 및 설문지 제출 현황  39
<표 2-6> 용역업체 선정 일정  53
<표 2-7> 변수 레이아웃 예시  57
<표 3-1> 박사조사(2012-2018) Brief 작성 현황  68
<표 3-2> 박사조사(2013-2018) 언론 보도 현황  71
<표 4-1> 박사조사(2019) 기관별 업무  83
제 2 부  박사조사(2018) 기초분석
<표 1-1> 응답자의 성별 분포  91
<표 1-2> 응답자의 전공계열별 분포  92
<표 1-3> 응답자의 연령별 분포  92
<표 1-4> 응답자의 지역별 분포  93
<표 1-5> 응답자의 성별・전공계열별 분포  94
<표 1-6> 응답자의 성별・지역별 분포  95
<표 1-7> 응답자의 성별・연령별 분포  96
<표 2-1> 응답자 특성별 입학에서 수료까지 학업 전념 여부  102
<표 2-2> 응답자 특성별 휴학 경험 유무  104
<표 2-3> 응답자 특성별 휴학 사유  106
<표 2-4> 응답자 특성별 박사과정 중 총 학비 지출 현황  108
<표 2-5> 응답자 특성별 박사과정 중 학술지 논문 게재 수  112
<표 2-6> 응답자 특성별 프로젝트 참여 경험  115
<표 3-1> 응답자 특성별 경제활동 상태  121
<표 3-2> 응답자 특성별 종사상 지위  125
<표 3-3> 응답자 특성별 재직 직장 유형  130
<표 3-4> 응답자 특성별 취업(예정)자의 현 직종  132
<표 3-5> 응답자 특성별 현재 연봉 수준  135
<표 3-6> 응답자 특성별 업무와 전공의 관련 정도  137
<표 3-7> 응답자 특성별 선호 직장의 종류(1순위)  139
<표 3-8> 응답자 특성별 직장 선택 시 고려사항  141
<표 3-9> 응답자 특성별 희망 연봉  143
<표 4-1> 응답자 특성별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  148
<표 5-1> 응답자 특성별 박사후과정 계획 유무  155
<표 5-2> 박사후과정 후 한국으로 돌아올 계획  157
<표 5-3> 응답자 특성별 희망 시간강사 유형  160
제 3 부  박사조사(2018) 이슈분석
<표 1-1> 신규 박사학위자 성별・전공별 현황  165
<표 1-2> 신규 박사학위자 연령별 현황  166
<표 1-3> 신규 박사학위자 취득 지역별 현황  167
<표 1-4> 신규 박사학위자 고용 상태별 현황  168
<표 1-5> 신규 박사학위자 일자리 유형별 현황  169
<표 1-6> 신규 박사학위자 종사상 지위별 현황  169
<표 1-7> 신규 박사학위자 직장 형태별 현황  170
<표 1-8> 신규 박사학위자 연간 소득별 현황  171
<표 1-9> 신규 박사학위자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  171
<표 1-10> 신규 박사학위자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 이유  172
<표 2-1> 전공계열별 해외 거주 계획 이유(외국인 포함)  175
<표 2-2> 전공계열별 해외 거주 계획 이유(외국인 제외)  176
제 1 부 사업 개요
[그림 2-1] 박사조사(2018) 프로세스  36
[그림 2-2] 박사조사 조사표 회수율 추이  40
[그림 2-3] 박사조사(2018) 온라인 시스템 구축 절차  43
[그림 2-4] 박사조사(2018) 온라인 시스템 메인 화면  46
[그림 2-5] 박사조사(2018) 온라인 시스템 로그인 화면  47
[그림 2-6] 박사조사(2018) 온라인 시스템 조사 지원 게시판  47
[그림 2-7] 박사조사(2018) 온라인 시스템 사용자 권한  48
[그림 2-8] 박사조사(2018) 온라인 시스템 명부 관리  49
[그림 2-9] 박사조사(2018) 온라인 시스템 조사표 입력  49
[그림 2-10] 박사조사(2018) 온라인 시스템 내검 수행 화면  50
[그림 2-11] 박사조사(2018) 온라인 시스템 집계 관리 화면  51
[그림 2-12] 박사조사(2018) 온라인 시스템 설문 화면(예시)  52
[그림 2-13] 데이터 클리닝 절차  56
[그림 2-14] 펀칭 및 에디팅 가이드 예시  60
[그림 2-15] 단순 에러 추출 SAS 프로그램 예시  62
[그림 2-16] 로직 에러 추출 SAS 프로그램 예시  63
[그림 4-1] 8차 연도 조사 프로세스  82
제 2 부  박사조사(2018) 기초분석
[그림 2-1] 박사과정 진학 이유  99
[그림 2-2] (외국에서 학사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경우) 한국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유  100
[그림 2-3] 입학에서 수료까지 학업 전념 여부  102
[그림 2-4] 휴학 경험 유무  104
[그림 2-5] 휴학 사유  106
[그림 2-6] 박사과정 중 총 학비 지출 현황  108
[그림 2-7] 박사과정 중 학비 출처 현황  109
[그림 2-8] 박사과정 중 학술지 논문 게재 수  111
[그림 2-9] 프로젝트 참여 경험  114
[그림 3-1] 경제활동 상태  120
[그림 3-2] 구직 계획이 없는 이유  122
[그림 3-3] 종사상 지위  124
[그림 3-4] 직장에서의 일자리 유형  126
[그림 3-5] 박사후과정 또는 전업 시간강사 여부  127
[그림 3-6] 재직 직장 유형  129
[그림 3-7] 현재 연봉 수준  134
[그림 3-8] 업무와 전공의 관련 정도  137
[그림 3-9] 선호 직장의 종류  139
[그림 3-10] 직장 선택 시 고려사항  141
[그림 3-11] 희망 연봉 수준  143
[그림 4-1] 국외 거주 계획 이유  149
[그림 4-2] 해외 취업 및 이주 국가  149
[그림 5-1] 박사후과정 계획  154
[그림 5-2] 박사후과정 이수 계획 국가  156
[그림 5-3] 박사후과정 재원  158
[그림 5-4] 전업 시간강사 계획  15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박사조사(2018)-국내신규박사학위취득자 실태조사 2018.01.01~201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