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2018)

Work Values and Work Ethics of Koreans(2018)
저자
한상근 박천수 장주희 박화춘 박태준
분류정보
기본연구(2018-2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12.31
등록일
2019.03.06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7
제3절 연구 방법	11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조사 방법_19
제1절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의 개념과 구성요소	21
제2절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설문조사 방법	41
제3장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의 실태와 변화_59
제1절 일의 가치와 삶의 중요도	61
제2절 삶의 만족과 직장생활	72
제3절 전문 직업성과 직업위세 	84
제4절 공정성과 인력 활용	98
제5절 직업윤리	125
제6절 소결	133
제4장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의 주요 쟁점_137
제1절 우리나라 일자리 관행과 직업의식 	139
제2절 공정성에 관한 인식 	167
제3절 세대별 직업의식: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185
제4절 한국인의 직무수행태도	213
제5장 결론_229
제1절 요약	231
제2절 정책 제언	241
SUMMARY_267
참고문헌_271
부  록_287
1.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조사지(취업자용)	289
2.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조사지(미취업자용)	307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실태를 파악하고,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 및 세대 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직업교육, 진로교육, 그밖에 사회교육 및 평생교육 등의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직업에 관한 의식과 태도, 일의 가치와 삶의 만족, 전문 직업성과 직업위세, 직업윤리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우리나라 국민들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가 어느 수준에 있는지를 파악한다.
  둘째,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국민들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외환위기와 금융위기, 정보화, 글로벌화, 초고령화 등의 사회경제적 변화를 거치면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가 변화하는 추세를 찾는다.
  셋째, 청년층과 신중년층 등 세대별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파악하여 한국 사회의 세대별 차이를 진단한다. 본 연구에서는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세대별 의식 차이를 분석한다. 산업화와 민주화 시대를 경험한 베이비붐 세대와 어렸을 때부터 인터넷 시대를 경험한 에코 세대가 직업에 관한 생각과 태도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넷째, 직업세계의 변화와 관련한 중요한 쟁점별로 국민들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파악한다. 직장에서의 관행, 성과 연령, 직급 등과 관련된 공정성, 직무수행 태도 등에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실태를 파악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work values and work ethics of Koreans and to analyze the changes in trend and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to provide primary data and policy implications for vocation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as well as social and lifelong education. 
  To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work values a survey and FGI we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 survey administrator visited the households in person and conducted a face-to-face survey to a sample of 1,500 Koreans, aged 15 to 64. 
  In the current research, we view work values as an expression of a comprehensive term that extends to values, beliefs, attitudes, and perceptions that individuals have on occupation or work. The factors that construct work values are 1)values of work, 2)beliefs of work, 3)attitudes of work and 4)perceptions of work.  ...
<표 1-1>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연구의 연차별 주요 쟁점	8
<표 1-2>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이슈 풀에 속하는 후보 목록(일부)	14
<표 1-3> 표적집단 인터뷰 참여자 및 일정	16
<표 2-1> 국내에서 연구된 직업의식의 구성요소	25
<표 2-2> 직업윤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들	34
<표 2-3> 직업윤리의 하위영역 및 정의	37
<표 2-4> 2018년 설문조사의 내용과 이전 조사와의 관계	42
<표 2-5> 2018년 신규 문항 구성	47
<표 2-6> 모집단 추정 및 표본설계 개요	48
<표 2-7> 본 연구의 모집단 현황	49
<표 2-8> 지역․성․연령별 취업자 비율	50
<표 2-9> 지역․성․연령별 취업자 모집단 인구 추정(대도시 일부 예시)	51
<표 2-10> 지역․성․연령별 표본배분(취업자+미취업자)	52
<표 2-11> 시도별 조사지점 추출개수	54
<표 2-12> 취업 여부별 응답자 특성	56
<표 2-13> 주요 측정도구의 내적 신뢰도(Cronbach’s α)	58
<표 3-1> 삶의 영역별 중요도(연도별)(7점 척도)	62
<표 3-2> 집단별 삶의 영역별 중요도(집단별)(7점 척도)	63
<표 3-3> 근로시간 연장 의향(연도별)	64
<표 3-4> 근로시간 연장 의향(집단별)	65
<표 3-5> 일의 가치(연도별)(5점 척도)	66
<표 3-6> 일의 가치(집단별)(5점 척도)	68
<표 3-7> 직업을 갖는 이유(1998년, 2018년 비교)(4점 척도)	70
<표 3-8>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연도별)(100점 척도)	73
<표 3-9>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집단별)(100점 척도)	73
<표 3-10> 현재 하는 일에 대한 만족도(연도별)(100점 척도)	75
<표 3-11> 현재 하는 일에 대한 만족도(집단별)(100점 척도)	75
<표 3-12> 하는 일의 여러 측면에 대한 만족(연도별)(100점 척도)	76
<표 3-13> 하는 일의 여러 측면에 대한 만족(집단별)(100점 척도)	77
<표 3-14> 직업에 대한 관습적 의견(1998년, 2018년 비교)(4점 척도)	79
<표 3-15> 일과 개인 용무에 대한 태도(1998년, 2018년 비교)(4점 척도)	80
<표 3-16> 전반적 업무에 있어서 갑과 을의 위치(집단별)	83
<표 3-17> 전문 직업성(연도별)(5점 척도)	85
<표 3-18> 전문 직업성(집단별)(5점 척도)	86
<표 3-19> 수입이 많음과 실제 수입 평균	89
<표 3-20> 직업위세 차이(연도별)(5점 척도)	92
<표 3-21> 요리사와 연예인에 대한 연령대별 직업위세	95
<표 3-22> 직업에 대한 거주지역별 직업위세	97
<표 3-23>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공정성(집단별)(5점 척도)	98
<표 3-24> 주변 사람들의 공정한 일처리(연도별)(7점 척도)	99
<표 3-25> 주변 사람들의 공정한 일처리(집단별)(7점 척도)	100
<표 3-26> 자기 자신의 공정한 일처리(연도별)(7점 척도)	100
<표 3-27> 자기 자신의 공정한 일처리(집단별)(7점 척도)	101
<표 3-28> 자신과 주변의 공정한 일처리 경향	102
<표 3-29> 조직의 부정에 대한 대응(연도별)	103
<표 3-30> 조직의 부정에 대한 대응(집단별)	105
<표 3-31> 임금격차에 대한 인식(집단별)(5점 척도)	106
<표 3-32> 노동시장 양극화를 해소하려는 의지(연도별)(5점 척도)	107
<표 3-33> 노동시장 양극화를 해소하려는 의지(집단별)(5점 척도)	108
<표 3-34> 채용, 임금, 승진에서의 차별에 대한 인식(연도별)(5점 척도)	109
<표 3-35> 채용, 임금, 승진에서의 차별에 대한 인식(집단별)(5점 척도)	110
<표 3-36> 승진의 장애요인(1998년, 2018년 비교)	111
<표 3-37> 공정한 평가와 보상에 대한 인식(집단별)(5점 척도)	112
<표 3-38> 성과에 따른 보상에 대한 인식(연도별)(5점 척도)	113
<표 3-39> 성과에 따른 보상에 대한 인식(집단별)(5점 척도)	114
<표 3-40> 북한 혹은 외국과 공동작업 의향(집단별)(5점 척도)	115
<표 3-41> 직업변화 및 관행 관련 의견(집단별)(5점 척도)	117
<표 3-42> 실직에 대한 두려움(집단별)(5점 척도)	120
<표 3-43> 부모의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시기(연도별)	123
<표 3-44> 기업 규모별 부모의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시기	125
<표 3-45> 직업을 가진 일반 국민의 직업윤리 수준(연도별)(5점 척도)	126
<표 3-46> 고용주나 사업주의 직업윤리 수준(연도별)(7점 척도)	127
<표 3-47> 고용지위별 직업윤리 수준(집단별)(7점 척도)	127
<표 3-48> 일반 국민 및 고용주의 윤리에 대한 인식	129
<표 3-49> 노동시장에서의 상대적 지위와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	129
<표 3-50> 직업별 직업윤리 수준(연도별)(5점 척도)	131
<표 4-1> 노동시장의 국가별 특성 비교	140
<표 4-2> 경제활동상태별 가치관 충돌에서 자신을 우선	146
<표 4-3> 조직에서 나의 가치관 준수	147
<표 4-4> 좋은 조건이 제시될 때 이직의도	148
<표 4-5> 조건에 따른 이직의도	149
<표 4-6> 자기 담당 이외의 업무수행 의사	151
<표 4-7> 담당 외 업무수행 의사	152
<표 4-8> 사무실에서 업무 선호	154
<표 4-9> 사무실에서 근무 선호	155
<표 4-10> 흙과 시멘트 관련 직무수행 의지	156
<표 4-11> 흙과 시멘트 관련 직무수행 의도	157
<표 4-12> 기계 관련 직무수행 의지	159
<표 4-13> 기계 관련 직무수행 의도	160
<표 4-14> 낮은 직급의 잡무수행 관행에 관한 동의 여부	162
<표 4-15> 낮은 직급의 잡무수행에 대한 의견	163
<표 4-16> 업무시간 이외 온라인 지시에 대한 의견	164
<표 4-17> 업무시간 이외 온라인 업무지시의 적절성	165
<표 4-18> OECD 국가의 부패 인식 지수(2017년 조사)	171
<표 4-19> 기업규모별 소득구간 분포	174
<표 4-20> OECD 성별 임금격차	175
<표 4-21> 한국 사회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전체)	177
<표 4-22> 한국 사회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취업자)	179
<표 4-23> 임금격차에 대한 인식과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 의지	180
<표 4-24> 일터에서의 차별에 대한 인식	182
<표 4-25> 공정한 평가와 보상에 대한 인식	183
<표 4-26>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인구사회적 특성	186
<표 4-27>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비교를 위한 연구모형	194
<표 4-28>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일의 가치(5점 척도)	197
<표 4-29>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영역별 중요도(7점 척도)	198
<표 4-30>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연도별 일의 가치(5점 척도)	201
<표 4-31>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연도별 삶의 영역별 중요도(7점 척도)	203
<표 4-32>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삶과 일의 만족도(100점 척도)	204
<표 4-33>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전문 직업성(5점 척도)	205
<표 4-34>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연도별 삶과 일의 만족도(100점 척도)	208
<표 4-35>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연도별 전문 직업성(5점 척도)	210
<표 4-36> 직무수행태도의 연구목적, 연구대상, 변수, 분석방법	219
<표 4-37> 직무수행태도의 기술통계 및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n=750)	221
<표 4-38> 직무수행태도의 모델 적합지수(n=750, 7점 척도)	222
<표 4-39> 직무수행태도: 취업 구분, 성별, 학력별(7점 척도)	222
<표 4-40> 경제상태별 직무수행태도 기술통계(7점 척도)	223
<표 4-41> 경제상태별 직무수행태도 다중비교(n=1500, 7점 척도)	224
<표 5-1>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의 주요 쟁점과 정책 제언	242
<표 5-2> 직무수행태도의 비교: 한국 대 미국	245
<표 5-3> 온라인 무료 직업윤리 교육-학습 자료 제공의 예	246
<표 5-4> 미국 네바다 주 직업윤리 교육과정 표준 변경 내용	248
<표 5-5> 직업윤리 교육과정 표준의 예(조지아 주)	249
<표 5-6> 초․중등학교 진로체험 조사 대상과 내용	255
<표 5-7> 매트릭스형 신중년 경력개발 지원 정책의 영역(안)	258
<표 5-8> 신중년 적합직무 선정기준	259
<표 5-9> 50플러스 전문사회 공헌단의 지원 단체와 활동 내용	260
<표 5-10> 기간 제한의 예외 사유	264
<표 5-11> 공공부문 1단계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주요 내용	265
[그림 1-1] 청년층 전체 니트 인구 비율 	5
[그림 1-2]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연구의 연차별 주요 쟁점	10
[그림 1-3] 연구 방법과 연구 내용	12
[그림 1-4] 주요 키워드의 연관어 분석(워드 클라우드)	13
[그림 1-5] 직업윤리가 포함된 기사의 시기별 빈도	15
[그림 2-1]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의 개념과 구성요소	40
[그림 2-2] 2018년 설문조사에 새롭게 추가된 이슈	45
[그림 2-3] 표본설계 절차	49
[그림 2-4] 한국인의 직업의식 직업윤리(2018) 조사의 표본추출	54
[그림 3-1] 직업을 갖는 이유(20년간 순위 변화)	71
[그림 3-2] 을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의 비율(연령별)	82
[그림 3-3] 직업에서 권력 유무와 갑의 비율	91
[그림 3-4] 취업과 결혼까지 부모가 자녀를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	124
[그림 4-1] 가구소득 지니계수 변화 추이	170
[그림 4-2] 500인 이상 대기업의 임금 수준 추세	173
[그림 4-3] 직급별․성별 시간당 임금격차	176
[그림 5-1]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분석 결과	232
[그림 5-2]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의 변화	235
[그림 5-3]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연구에 따른 정책 제언	24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2018) 2018.04.01~201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