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학교 '간호' 표시과목의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 체계화 연구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Basic Required Courses(or Areas) of the Subject Marked as ‘Nursing’ for Secondary School
- 저자
- 이수정 안재영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32) , 이슈페이퍼(2019-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06.28
- 등록일
- 2019.08.22
주제어
중등학교 ‘간호’ 표시과목,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 교사 자격, Subject Marked as ‘Nursing’ for Secondary School Basic Required Courses(or Areas)
Ⅰ. 배경 및 필요성 02 Ⅱ. 조사 및 분석 결과 07 Ⅲ. 결론 및 정책 제언 21 Ⅳ. 기대 효과 32 참고문헌 33 Abstract 35 [부록] 37
최근 평균 수명의 증가에 따라 보건 및 의료 분야 인력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으며 특히, 직업계고등학교(이하 ‘직업계고’)에서는 간호조무사 양성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는 ‘간호과’ 교사에게 별도의 자격을 부여하는 자격 및 양성 체제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업계고 ‘간호과’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간호과’ 교사의 직무에 적합한 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을 위해 「중등학교 ‘간호’ 표시과목의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직업계고 간호과 관련 교육과정과 교원양성기관 간호학과 교육과정 분석, 전문가 협의회 등을 통해 중등학교 ‘간호’ 표시과목의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을(를)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계고 ‘간호과’ 교사의 직무에 적합한 자격 부여 방안과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raw/systematize the basic required courses(or areas) of the subject marked as ‘nursing’ for secondary school,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s of acquiring the qualifications suitable for teachers’ job in ‘nursing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 This study drew the basic required courses(or areas) of the subject marked as ‘nursing’ for secondary school as follows by consider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alyzing the curriculum related to nursing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curriculum of nursing college. ...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단기수시)중등학교 ‘간호’ 표시과목의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 체계화 연구 | 2019.05.01~2019.06.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