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계고 전환학기 운영 방안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Transition Semester System in vocational high schools
저자
허영준 오혁제 김명찬
분류정보
기본연구(2019-3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09.30
등록일
2019.12.03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7
제3절 연구의 방법	8
제2장 직업계고 전환학기에 관한 이론적 배경_11
제1절 직업계고 전환학기의 개념	13
제2절 직업계고 전환학기 도입의 필요성	15
제3절 전환학기 유사 제도의 도입 배경 분석	22
제4절 시사점	34
제3장 전환학기제 관련 유사 제도 및 사례 분석_37
제1절 국내 유사 제도 분석	39
제2절 외국 유사 제도 분석	62
제3절 전환학기 내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81
제4장 전환학기제 도입・운영에 대한 요구 분석_115
제1절 요구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설계	117
제2절 직업계고 교사의 요구 분석 결과	121
제3절 직업계고 학생의 요구 분석 결과	214
제4절 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252
제5장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운영 방안_259
제1절 직업계고 전환학기 운영 모형 개발	261
제2절 직업계고 전환학기 세부 프로그램 구안 및운영 방안	268
제3절 전환학기 내 운영 가능 프로그램(과목) 개발	289
제4절 직업계고 전환학기 운영을 위한 산학협력 방안	296
제5절 직업계고 전환학기 도입・운영을 위한 법적 근거	300
SUMMARY_307
참고문헌_311
부  록_317
1. 직업계고 교사 대상 설문지	319
2. 직업계고 학생 대상 설문지	330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 3학년 2학기 전환학기 도입·운영을 위해 단위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 또는 개발하고, 각 프로그램의운영 절차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나아가 전환학기 운영을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사항을 제안함으로써 전환학기의 조기 안착을 도모하는 것이다.
 첫째, 국내외 전환학기 관련 유사 제도의 도입 배경 분석을 통해 ‘직업계고 전환학기 도입’의 근거를 마련한다.
 둘째, 국내외 전환학기 관련 유사 제도 및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 전환학기 운영 방안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셋째, 직업계고 전환학기 도입·운영에 대한 이해관계자인 교사 및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한다.
 넷째, 직업계고 전환학기 운영 방안을 마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that can be operated by a school and set up operating procedures or guidelines for each program for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transition semester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for the third grade second semester. Moreover by suggesting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it is intended to promote early on-site settlement of the transition semester at school unit leve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contents were analyzed such as the concept and meaning of the transition semester,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imilar system related to the transition semester, the analysis of opinions on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transition semester, and the preparation of the operation plan of the transition semester. For this purpose,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case analysis, questionnaire survey and expert meeting were used. ...
<표 Ⅱ-1> 직업계고 현장실습관련 「직업교육훈련 촉진법」 
개정 전후 비교	17
<표 Ⅱ-2> 현장실습 운영 유형	21
<표 Ⅱ-3> 우리나라 전환 지원 제도 비교	29
<표 Ⅲ-1>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관련 법령 체계	42
<표 Ⅲ-2> 진로교육집중학년・학기제 운영 관련 법령 체계	45
<표 Ⅲ-3> 진로교육집중학년・학기제와 자유학기제 비교	46
<표 Ⅲ-4>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운영 유형	47
<표 Ⅲ-5>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 관련 법령 체계	47
<표 Ⅲ-6> 대학(교) 실습학기제 관련 법령 체계	50
<표 Ⅲ-7> 고등교육과 직업교육에서의 현장실습 비교	52
<표 Ⅲ-8> 일학습병행제 관련 법령 체계	55
<표 Ⅲ-9> 「산업현장 일학습병행 지원에 관한 법률」 주요 내용	57
<표 Ⅲ-10> 전환학년제 프로그램 수준별 과목 또는 활동 예시	68
<표 Ⅲ-11> WHH고교의 산업체의 학생 평가 준거	76
<표 Ⅲ-12> WHH고교 Internship Work-Study Program의학기말 시범 평가 등급 기준	78
<표 Ⅲ-13> 중소기업 특성화고 지원사업의 취업맞춤반 프로그램 개요	84
<표 Ⅲ-14> WPL(현장실습 교육) 실습 농장별 교육 내용:S생명과학고 사례	89
<표 Ⅲ-15> ‘과학과제 연구’ 과목의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95
<표 Ⅲ-16> 봉일천고등학교 과학중점과정 교육과정 편제표(2017학년도 신입생 기준)	98
<표 Ⅲ-17> 봉일천고등학교 ‘과학과제 연구’ 과목의 수업 계획	100
<표 Ⅲ-18> 「고등교육법」 이외의 타 법령에 의한 필수 현장실습 현황	102
<표 Ⅲ-19> 일반대학의 현장실습 관련 학칙 내용 비교	103
<표 Ⅲ-20> 전문대학의 현장실습 관련 학칙 내용 비교	104
<표 Ⅲ-21> 전북대학교 실습학기제 운영 시기	106
<표 Ⅲ-22> 전북대학교 실습학기제 참여 요건	106
<표 Ⅲ-23> 전북대학교 현장실습 제외 기준	107
<표 Ⅲ-24> 전북대학교 현장실습 학생 평가 및 성적 처리 절차	108
<표 Ⅲ-25> 전북대학교 현장실습일지의 구성	109
<표 Ⅲ-26> 경북대학교 현장실습 유형	110
<표 Ⅲ-27> 경북대학교 현장실습 교육과정의 학과(부)별 지침	112
<표 Ⅲ-28> 경북대학교 현장실습 교육과정 보고서의 구성	114
<표 Ⅳ-1> 직업계고 학교 및 학생 현황	118
<표 Ⅳ-2> 설문조사를 위한 표본 및 응답자 수	119
<표 Ⅳ-3> 전환학기 도입・운영을 위한 교원 및 학생 요구 조사 내용(안)	120
<표 Ⅳ-4> 응답자(교사)의 기본 특성	122
<표 Ⅳ-5> 응답자(교사)의 학교 유형・소재 지역 분포	123
<표 Ⅳ-6> 학교 유형별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운영 방식	124
<표 Ⅳ-7> 설립 유형별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운영 방식	124
<표 Ⅳ-8> 소재 지역별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운영 방식	125
<표 Ⅳ-9> 담당 과목 유형별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운영 방식	126
<표 Ⅳ-10> 학교 유형별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운영상의 어려움	127
<표 Ⅳ-11> 소재 지역별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운영상의 어려움	127
<표 Ⅳ-12> 교직 경력별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운영상의 어려움	128
<표 Ⅳ-13> 교사직위별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운영상의 어려움	129
<표 Ⅳ-14> 담당 과목 유형별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운영상의 어려움	129
<표 Ⅳ-15> 학교 유형별 3학년 2학기 산업체 현장실습의 문제점	130
<표 Ⅳ-16> 교직 경력별 3학년 2학기 산업체 현장실습의 문제점	131
<표 Ⅳ-17> 교사직위별 3학년 2학기 산업체 현장실습의 문제점	132
<표 Ⅳ-18> 담당 과목 유형별 3학년 2학기 산업체 현장실습의 문제점	132
<표 Ⅳ-19>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점	133
<표 Ⅳ-20> 설립 유형에 따른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차이: 학생 활동과 이수 과목의 불일치	134
<표 Ⅳ-21> 교직 경력에 따른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점에대한 인식 차이: 학생 활동과 이수 과목의 불일치	135
<표 Ⅳ-22> 교사 직위에 따른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점에대한 인식 차이: 학생 활동과 이수 과목의 불일치	135
<표 Ⅳ-23> 담당 과목 유형에 따른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문제점에 대한 인식 차이: 학생 활동과 이수 과목의 불일치	136
<표 Ⅳ-24> 설립 유형에 따른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점에대한 인식 차이: 학생 활동에 대한 평가 미실시	137
<표 Ⅳ-25> 교직 경력에 따른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점에대한 인식 차이: 학생 활동에 대한 평가 미실시	137
<표 Ⅳ-26> 교사 직위에 따른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점에대한 인식 차이: 학생 활동에 대한 평가 미실시	138
<표 Ⅳ-27> 담당 과목 유형에 따른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차이: 학생 활동에 대한 평가 미실시	139
<표 Ⅳ-28> 설립 유형에 따른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차이: 경직된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낮은 수업 참여도	140
<표 Ⅳ-29> 교사 직위에 따른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차이: 경직된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낮은 수업 참여도	140
<표 Ⅳ-30> 담당 과목 유형에 따른 3학년 2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의문제점에 대한 인식 차이: 경직된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낮은 수업 참여도	141
<표 Ⅳ-31> 직업계고 학생의 학년별 희망 진로 현황	142
<표 Ⅳ-32> 학교 유형별 직업계고 학생의 학년별 희망 진로 현황	143
<표 Ⅳ-33> 학교 유형별 직업계고 졸업생의 졸업 후 진로 현황	144
<표 Ⅳ-34> 학교 유형별 학교생활에서 학생이 겪고 있는 문제점	145
<표 Ⅳ-35> 설립 유형별 학교생활에서 학생이 겪고 있는 문제점	145
<표 Ⅳ-36> 담당 과목 유형별 학교생활에서 학생이 겪고 있는 문제점	146
<표 Ⅳ-37> 학교 유형별 직업계고 재학생의 학교교육・생활에 대한 적응 정도	147
<표 Ⅳ-38> 설립 유형별 직업계고 재학생의 학교교육・생활에 대한 적응 정도	148
<표 Ⅳ-39> 소재 지역별 직업계고 재학생의 학교교육・생활에 대한 적응 정도	148
<표 Ⅳ-40> 학교 유형별 직업계고 학교교육・생활 부적응 학생의 특성	149
<표 Ⅳ-41> 소재 지역별 직업계고 학교교육・생활 부적응 학생의 특성	150
<표 Ⅳ-42> 교직 경력별 직업계고 학교교육・생활 부적응 학생의 특성	150
<표 Ⅳ-43> 교사 직위별 직업계고 학교교육・생활 부적응 학생의 특성	151
<표 Ⅳ-44> 담당 과목 유형별 직업계고 학교교육・생활 부적응 
학생의 특성	152
<표 Ⅳ-45> 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운영 현황	153
<표 Ⅳ-46> ‘대인관계・사회성 함양 프로그램’ 운영 현황	154
<표 Ⅳ-47> ‘진로 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 운영 현황	155
<표 Ⅳ-48>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식의 개선’ 운영 현황	157
<표 Ⅳ-49> ‘학생 수준에 맞는 교과 내용 재구성’ 운영 현황	158
<표 Ⅳ-50> 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160
<표 Ⅳ-51> 설립 유형에 따른 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효과성: 대인관계・사회성 함양 프로그램	160
<표 Ⅳ-52> 학교 유형에 따른 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효과성: 진로 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	161
<표 Ⅳ-53> 설립 유형에 따른 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효과성: 진로 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	162
<표 Ⅳ-54> 담당 과목 유형에 따른 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프로그램의 효과성: 진로 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	162
<표 Ⅳ-55> 설립 유형에 따른 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효과성: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식의 개선	163
<표 Ⅳ-56> 교직 경력에 따른 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효과성: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식의 개선	163
<표 Ⅳ-57> 설립 유형에 따른 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효과성: 학생 수준에 맞는 교과 내용 재구성	164
<표 Ⅳ-58> 학교 유형에 따른 ‘전환학기제 도입’에 대한 인지 정도	165
<표 Ⅳ-59> 설립 유형에 따른 ‘전환학기제 도입’에 대한 인지 정도	166
<표 Ⅳ-60> 소재 지역에 따른 ‘전환학기제 도입’에 대한 인지 정도	166
<표 Ⅳ-61> 교직 경력에 따른 ‘전환학기제 도입’에 대한 인지 정도	167
<표 Ⅳ-62> 교사 직위에 따른 ‘전환학기제 도입’에 대한 인지 정도	168
<표 Ⅳ-63> 학교 유형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에 대한인지 경로	169
<표 Ⅳ-64> 소재 지역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에 대한인지 경로	170
<표 Ⅳ-65> 교사 직위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에 대한인지 경로	170
<표 Ⅳ-66> 담당 과목 유형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에대한 인지 경로	171
<표 Ⅳ-67> 학교 유형에 따른 ‘전환학기제 도입의 필요성’에대한 인식	172
<표 Ⅳ-68> 교사 직위에 따른 ‘전환학기제 도입의 필요성’에대한 인식	173
<표 Ⅳ-69> 학교 유형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이 필요한 이유	174
<표 Ⅳ-70> 교직 경력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이 필요한 이유	175
<표 Ⅳ-71> 교사 직위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이 필요한 이유	175
<표 Ⅳ-72> 담당 과목 유형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이 필요한 이유	176
<표 Ⅳ-73> 학교 유형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이 필요 없는 이유	177
<표 Ⅳ-74> 설립 유형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이 필요 없는 이유	178
<표 Ⅳ-75> 소재 지역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이 필요 없는 이유	178
<표 Ⅳ-76> 교직 경력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이 필요 없는 이유	179
<표 Ⅳ-77> 교사 직위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이 필요 없는 이유	180
<표 Ⅳ-78> 담당 과목 유형별 직업계고 전환학기제 도입이 필요 없는 이유	180
<표 Ⅳ-79> 학교 유형별 전환학기제 도입・운영 시 예상되는 장애 요소	182
<표 Ⅳ-80> 교직 경력별 전환학기제 도입・운영 시 예상되는 장애 요소	182
<표 Ⅳ-81> 교사 직위별 전환학기제 도입・운영 시 예상되는 장애 요소	183
<표 Ⅳ-82> 학교 유형별 전환학기제 도입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방향	184
<표 Ⅳ-83> 교직 경력별 전환학기제 도입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방향	185
<표 Ⅳ-84> 교사 직위별 전환학기제 도입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방향	186
<표 Ⅳ-85> 학교 유형별 전환학기제 도입・적용 방식	187
<표 Ⅳ-86> 교직 경력별 전환학기제 도입・적용 방식	188
<표 Ⅳ-87> 교사 직위별 전환학기제 도입・적용 방식	188
<표 Ⅳ-88> 담당 과목 유형별 전환학기제 도입・적용 방식	189
<표 Ⅳ-89> 학교 유형별 프로그램(과목)의 편성・운영 방식	190
<표 Ⅳ-90> 교사 직위별 프로그램(과목)의 편성・운영 방식	190
<표 Ⅳ-91> 담당 과목 유형별 프로그램(과목)의 편성・운영 방식	191
<표 Ⅳ-92> 교직 경력에 따른 ‘법적 근거 마련’에 대한 인식	192
<표 Ⅳ-93> 교사 직위에 따른 ‘법적 근거 마련’에 대한 인식	193
<표 Ⅳ-94> 교사 직위에 따른 ‘3학년 1학기까지 학과별기본적인 전문교육 완료’에 대한 인식	194
<표 Ⅳ-95> 담당 과목 유형에 따른 ‘현장실습 과목 등독립 교과 신설’에 대한 인식	195
<표 Ⅳ-96> 교직 경력에 따른 ‘학교 내 학생 활동을 위한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보급’에 대한 인식	196
<표 Ⅳ-97> 교사 직위에 따른 ‘학교 내 학생 활동을 위한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보급’에 대한 인식	196
<표 Ⅳ-98> 교사 직위에 따른 ‘학교 밖 학생 활동에 대한평가 강화’에 대한 인식	197
<표 Ⅳ-99> 담당 과목 유형에 따른 ‘학교 밖 학생 활동에 대한평가 강화’에 대한 인식	198
<표 Ⅳ-100> 담당 과목 유형에 따른 ‘고교학점제 도입・운영’에대한 인식	199
<표 Ⅳ-101> 학교 유형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과목) 운영을위한 교육시설 및 교원 확보’에 대한 인식	200
<표 Ⅳ-102> 교사 직위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과목) 운영을위한 교육시설 및 교원 확보’에 대한 인식	200
<표 Ⅳ-103> 학생의 진로 희망별 프로그램(과목)의 개설 가능 여부	202
<표 Ⅳ-104> 학교 유형별 진로 희망 프로그램(과목)의개설 가능 응답 비율	203
<표 Ⅳ-105> 학생의 진로 희망별 프로그램(과목)의 평가 주체	205
<표 Ⅳ-106> 담당 과목 유형에 따른 ‘실습학기제 도입의필요성’에 대한 인식	207
<표 Ⅳ-107> 학교 유형별 전환학기 도입・운영을 위한법적 근거 마련 방식	208
<표 Ⅳ-108> 교직 경력별 전환학기 도입・운영을 위한법적 근거 마련 방식	209
<표 Ⅳ-109> 교사 직위별 전환학기 도입・운영을 위한법적 근거 마련 방식	209
<표 Ⅳ-110> 담당 과목 유형별 전환학기 도입・운영을 위한법적 근거 마련 방식	210
<표 Ⅳ-111> 교직 경력별 학교 밖 학생 활동에 대한 수업 일수 인정 여부	211
<표 Ⅳ-112> 교사 직위별 학교 밖 학생 활동에 대한 수업 일수 인정 여부	211
<표 Ⅳ-113> 담당 과목 유형별 학교 밖 학생 활동에 대한수업 일수 인정 여부	212
<표 Ⅳ-114> 학교 유형별 프로그램(과목) 다양화를 위한 개선사항(중복응답)	213
<표 Ⅳ-115> 응답자(학생)의 기본 특성	214
<표 Ⅳ-116> 응답자(학생)의 학교 유형・소재 지역 분포	215
<표 Ⅳ-117> 응답자(학생)의 성별・학년 분포	216
<표 Ⅳ-118> 학교 유형별 고교 및 학과 진학 이유	217
<표 Ⅳ-119> 소재 지역별 고교 및 학과 진학 이유	217
<표 Ⅳ-120> 학과별 고교 및 학과 진학 이유	218
<표 Ⅳ-121> 학교 유형별 고교 및 학과 진학에 영향을 미친 사람	220
<표 Ⅳ-122> 소재 지역별 고교 및 학과 진학에 영향을 미친 사람	220
<표 Ⅳ-123> 학과별 고교 및 학과 진학에 영향을 미친 사람	221
<표 Ⅳ-124> 학교 유형별 고교 졸업 후 진로계획	222
<표 Ⅳ-125> 소재 지역별 고교 졸업 후 진로계획	223
<표 Ⅳ-126> 학년별 고교 졸업 후 진로계획	223
<표 Ⅳ-127> 성별 고교 졸업 후 진로계획	224
<표 Ⅳ-128> 학과별 고교 졸업 후 진로계획	224
<표 Ⅳ-129> 고교 진학 이유와 졸업 후 진로계획	226
<표 Ⅳ-130> 학교 유형별 3학년 학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	227
<표 Ⅳ-131> 성별 3학년 학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	227
<표 Ⅳ-132> 학과별 3학년 학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	228
<표 Ⅳ-133> 학교 유형별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 의향	229
<표 Ⅳ-134> 학년별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 의향	230
<표 Ⅳ-135> 학과별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 의향	230
<표 Ⅳ-136> 고교 진학 이유와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 의향	232
<표 Ⅳ-137> 졸업 후 진로계획과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 의향	232
<표 Ⅳ-138> 학교 유형에 따른 학교 만족도 차이	233
<표 Ⅳ-139> 소재 지역에 따른 학교 만족도 차이	234
<표 Ⅳ-140> 학년에 따른 학교 만족도 차이	234
<표 Ⅳ-141> 성별에 따른 학교 만족도 차이	235
<표 Ⅳ-142> 고교 진학 이유에 따른 학교 만족도 차이	236
<표 Ⅳ-143> 졸업 후 진로 계획에 따른 학교 만족도 차이	236
<표 Ⅳ-144> 학교 유형에 따른 학과 만족도 차이	237
<표 Ⅳ-145> 소재 지역에 따른 학과 만족도 차이	238
<표 Ⅳ-146> 학년에 따른 학과 만족도 차이	238
<표 Ⅳ-147> 성별에 따른 학과 만족도 차이	239
<표 Ⅳ-148> 고교 진학 이유에 따른 학과 만족도 차이	240
<표 Ⅳ-149> 졸업 후 진로 계획에 따른 학과 만족도 차이	240
<표 Ⅳ-150> 학교 유형별 학교생활의 어려운 점	241
<표 Ⅳ-151> 학년별 학교생활의 어려운 점	242
<표 Ⅳ-152> 성별 학교생활의 어려운 점	243
<표 Ⅳ-153> 고교 진학 이유별 학교생활의 어려운 점	244
<표 Ⅳ-154> 학교 유형에 따른 전환학기에 대한 인지 정도 차이	245
<표 Ⅳ-155> 설립 유형에 따른 전환학기에 대한 인지 정도 차이	245
<표 Ⅳ-156> 소재 지역에 따른 전환학기에 대한 인지 정도 차이	246
<표 Ⅳ-157> 학년에 따른 전환학기에 대한 인지 정도 차이	246
<표 Ⅳ-158> 소재 지역에 따른 전환학기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	247
<표 Ⅳ-159> 학년에 따른 전환학기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	248
<표 Ⅳ-160> 성별에 따른 전환학기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	248
<표 Ⅳ-161> 고교 졸업 이유에 따른 전환학기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	249
<표 Ⅳ-162> 졸업 후 진로계획에 따른 전환학기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	250
<표 Ⅳ-163> 학년별 전환학기 내 참여 희망 프로그램(과목)	251
<표 Ⅴ-1> J교육청 ‘직업계고 현장실습 운영 지침’개정(안) 예시	263
<표 Ⅴ-2> 전환학기의 단기(2019년 2학기) 운영 절차	263
<표 Ⅴ-3> 전환학기의 중기(2020년 2학기부터) 운영 절차	265
<표 Ⅴ-4> 전환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 절차 및 추진 사항	267
<표 Ⅴ-5> 진행 방식 및 장소에 따른 전환학기 운영 프로그램 
유형 분류	269
<표 Ⅴ-6> 전환학기 내 운영 가능 프로그램 유형(예시)	270
<표 Ⅴ-7> 전환학기 도입・운영을 위한 관련 부서 및 
업무 분장(예시)	273
<표 Ⅴ-8> 졸업 후 진로 유형에 따른 전환학기 내운영 가능 프로그램 신청 현황 정리표(예시)	276
<표 Ⅴ-9> 전환학기 도입・운영을 위한 지역사회 유관기관요구 조사 내용	277
<표 Ⅴ-10> 지역사회 교육 관련 기관 요구 조사 결과 정리표(예시)	278
<표 Ⅴ-11> 지역사회 현장실습관련 기관 요구 조사 결과 정리표(예시)	278
<표 Ⅴ-12> 학과 차원의 교내 전환학기 과목 개설 가능성검토 정리표(예시)	279
<표 Ⅴ-13> 학교 차원의 교내 전환학기 과목 개설 가능성검토 정리표(예시)	280
<표 Ⅴ-14> 학과 차원의 교외 전환학기 과목 개설 가능성검토 정리표(예시)	281
<표 Ⅴ-15> 학교 차원의 교외 전환학기 과목 개설 가능성검토 정리표(예시)	282
<표 Ⅴ-16> 전환학기 과목 도출 결과 정리표(예시)	282
<표 Ⅴ-17> 학과별 전환학기 운영 과목별 참여 예정 인원(산출표)	284
<표 Ⅴ-18> 졸업 후 진로 유형에 따른 전환학기 내운영 가능 프로그램 예시	285
<표 Ⅴ-19> 전환학기 내 운영 가능 과목 예시	290
<표 Ⅴ-20> ‘(가칭)종합실습’ 과목의 교육과정 개요	291
<표 Ⅴ-21> ‘전자종합실습’ 과목의 편제 방식 비교	293
<표 Ⅴ-22> ‘(가칭)현장실습’ 과목의 교육과정 개요	294
<표 Ⅴ-23> ‘전자종합실습’ 과목의 편제 방식 비교	295
<표 Ⅴ-24> 직업계고 전환학기 도입・운영을 위한「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	302
<표 Ⅴ-25> 직업계고 실습학기제 도입・운영을 위한「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	304
<표 Ⅴ-26> 직업계고 현장실습의 수업 일수 인정을 위한「초・중등교육법」 개정(안)	306
<표 Ⅴ-27> 직업계고 현장실습의 수업 일수 인정을 위한「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	306
[그림 Ⅰ-1] 연구 추진 절차 및 내용	10
[그림 Ⅱ-1] 직업계고 전환학기 교육과정 편성・운영(안)	14
[그림 Ⅱ-2] 직업계고 전환학기의 교육과정 학생 선택 유형	15
[그림 Ⅱ-3] 직업계고 졸업생의 취업률 및 진학률 변화 추이	19
[그림 Ⅱ-4] 직업계고 졸업생의 진로 변화: 2008년과 2017년 비교	20
[그림 Ⅱ-5] 아일랜드 중학교 졸업 후 진로 유형	25
[그림 Ⅱ-6]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의 전환 지원 제도	28
[그림 Ⅲ-1] 자유학기제 운영 방식	41
[그림 Ⅲ-2] 고등학교 진로교육집중학년・학기제 운영 체계	44
[그림 Ⅲ-3] 일학습병행 운영 프로세스	54
[그림 Ⅲ-4] 일학습병행제 추진 체계	55
[그림 Ⅲ-5] 오디세이 학교 시간표(예시)	59
[그림 Ⅲ-6] 파란학기제 유형	61
[그림 Ⅲ-7] 영국 갭이어(Gap Year) 프로그램 진로 경로	62
[그림 Ⅲ-8] 영국 갭이어(Gap Year) 선택 다이어그램	63
[그림 Ⅲ-9] 영・미・일 대학의 갭이어 유형	64
[그림 Ⅲ-10] 전환학년제 프로그램의 수준(양파 모델)	67
[그림 Ⅲ-11] 아일랜드 전환학년제의 지원 체제	69
[그림 Ⅲ-12] 아일랜드 전환학년제의 구조와 평가	70
[그림 Ⅲ-13]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행 절차	83
[그림 Ⅲ-14] 고용노동부 연계형 취업맞춤반의 운영 절차	85
[그림 Ⅲ-15] 학교 자체 운영 취업맞춤반의 운영 절차	85
[그림 Ⅲ-16]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 양성 사업의 취업맞춤반업무 추진 절차	87
[그림 Ⅲ-17] 나노융합기술인력 양성 사업의 운영 체계	90
[그림 Ⅲ-18] 나노융합기술인력 양성 사업의 교육 체계	91
[그림 Ⅲ-19] 나노융합기술인력 양성 사업의 교육 내용	92
[그림 Ⅲ-20] 방학을 이용한 특성화고 간호과 현장실습 운영 방식	93
[그림 Ⅲ-21] 전북대학교 실습학기제 운영 절차	105
[그림 Ⅲ-22] 경북대학교 현장실습 운영 절차	111
[그림 Ⅴ-1] 3학년 2학기 전환학기 운영 모형	261
[그림 Ⅴ-2] 3학년 1학기 학생의 희망 진로에 따른전환학기 예상 프로그램(예시)	27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직업계고 전환학기 운영 방안 2019.04.01~2019.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