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 진로체험학점제 효과분석과 발전방안

A Research on Development plan and Effectiveness of Career Experience Credit System in Universities
저자
이민욱 박화춘 고요한 문찬주
분류정보
기본연구(2019-3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09.30
등록일
2019.12.0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8
제3절 연구의 방법	11
제2장 이론적 배경_13
제1절 진로체험학점제 법적 근거 및 관련 이론	15
제2절 대학 진로체험학점제 참여 사례	29
제3절 경험중심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56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74
제3장 대학 진로체험학점제 효과 Ⅰ: 참여 학생의 인식 및 태도 변화_79
제1절 사례 분석 설계	81
제2절 분석 결과: 진로적응력과 고용능력기술의 변화	86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00
제4장 대학 진로체험학점제 효과 Ⅱ: 참여 및 미참여 학생 비교_105
제1절 조사 설계	107
제2절 분석 결과: 진로역량 및 만족도 변화	115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35
제5장 진로중심 교육과정 확대를 위한 정책 및 발전 방안_141
제1절 요약 및 결론	143
제2절 진로체험학점제를 기반으로 한 진로중심 교육과정 발전 방안	147
Summary_161
참고문헌_169
부  록_195
1. 설문지(참여 학생 대상)	197
2. 설문지(미참여 학생 대상)	205
3. 인터뷰 질문지	214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대학이 운영하고 있는 진로체험학점제 참여 학생 및 미참여 학생을 비교 분석하여 진로체험학점제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진로체험학점제를 포함한 대학의 진로중심 교육과정 확대를 위한 정책 및 발전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experience credit system by comparing participating students and non-participating students in university and to draw up policies and plan for expanding the university's career path-oriented curriculum including this system.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study first analyzed the experience-oriented curriculums as similar cases with the career experience credit system of the university in Korea, Second, we identified a legal basis and theory that can support this system theoretically. Third, we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experience credit system in 5 universities operating this system. And fourth, we set forth policies and plans to develop the career-oriented curriculum based on this system.  ...
<표 2-1> 진로 이론	19
<표 2-2> 전통적 진로상담 접근 방법과 진로 구성주의 진로상담	25
<표 2-3> 2019년 1학기 아주대학교 파란학기제	32
<표 2-4> 2018년 2학기 아주대학교 파란학기제	34
<표 2-5> 2019년 1학기 한동대학교 자유학기제	39
<표 2-6> 2018년 2학기 이화여자대학교 도전학기제	44
<표 2-7> 2019년 1학기 건국대학교 드림학기제	51
<표 2-8> 2019년 1학기 세종대학교 창의학기제	55
<표 2-9> 대학별 인턴십 운영 사례	59
<표 2-10> 한성대학교 해외 인턴십 사례	62
<표 3-1> 질적 사례연구 참여자 배경 및 특성	82
<표 3-2> 인터뷰 질문지 문항	83
<표 3-3> 질적 사례연구 분석 주제	89
<표 4-1> 대학별 설문조사 대상 인원수	108
<표 4-2> 주요 변수 구성 및 설명 	111
<표 4-3> 응답 인원과 분석 대상 인원수	115
<표 4-4> 분석 대상자 특성	116
<표 4-5> 진로체험학점제 참여 학생 및 미참여 학생 기술통계 비교 결과	119
<표 4-6> 경향점수 매칭 전후, 진로체험학점제 참여 학생 및 미참여 학생 간 비교 결과	122
<표 4-7> 진로체험학점제 참여 효과 분석 결과 1(진로결정자기효능감)	124
<표 4-8> 진로체험학점제 참여 효과 분석 결과 2(진로준비행동)	127
<표 4-9> 진로체험학점제 참여 효과 분석 결과 3(진로결정수준)	129
<표 4-10> 진로체험학점제 참여 효과 분석 결과 4(전공만족도)	131
<표 4-11> 진로체험학점제 참여 효과 분석 결과 5(학교생활만족도)	133
[그림 2-1] 아주대 ‘구해Dream’	30
[그림 2-2] 아주대 ‘BTS’	31
[그림 2-3] 아주대 ‘인터루드’	33
[그림 2-4] 한동대 ‘대목수과정 이수 및 개인 목제품 프로젝트’	36
[그림 2-5] 한동대 ‘애플리케이션 개발 창업’	38
[그림 2-6] 이화여대 ‘중·고등학생 대상 학습 지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제작’	41
[그림 2-7] 이화여대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간식’	42
[그림 2-8] 이화여대 ‘죽음사전’	43
[그림 2-9] 건국대 ‘집적소 프로젝트’	47
[그림 2-10] 건국대 ‘터치’	48
[그림 2-11] 건국대 ‘깨끗하게 맑게 자신 있게’	50
[그림 2-12] 세종대 ‘머신 러닝을 통한 중고시장 거래가 자동 측정 모듈 구축’	53
[그림 2-13] 세종대 ‘Z세대를 맞이하는 예비 교육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54
[그림 2-14] 캡스톤 디자인 수행절차	65
[그림 2-15] 성균관 대학교 캡스톤 디자인 사례	68
[그림 2-16] 창업역량 관련 활동의 4가지 영역	72
[그림 2-17] 1학과 1기업 창업 프로그램 프로세스	73
[그림 4-1] 매칭 전후 집단 간 경향점수 분포 비교	121
[그림 5-1] 대학 진로체험학점제 기반 진로중심 교육과정 발전 방안	14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대학 진로체험학점제 효과분석과 발전방안 2019.04.01~2019.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