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직지원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 RSC, ISC의 연계가능성 탐색

Facilitating Outplacement Assistance: Exploring the Role and Function of Regional Skills Councils and Industry Skills Councils
저자
문한나 최영섭 박상오
분류정보
기본연구(2019-4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10.28
등록일
2019.12.30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9
제2장 전직지원 현황_17
제1절 전직 대상자 특성, 전직지원 관련 이슈	 19
제2절 전직지원 국내외 현황	 38
제3절 소결	 78
제3장 전직지원 사례 조사_83
제1절 지역별/산업별 전직지원 사례	 85
제2절 민간 아웃플레이스먼트 FGI	 99
제3절 인적자본기업패널 데이터 분석	 114
제4절 설문조사 분석	 122
제5절 소결	 145
제4장 전직지원 서비스 모델링_149
제1절 전직지원 서비스 모델 개요	 151
제2절 전직지원 서비스 세부 모델링	 155
제3절 소결	 165
제5장 전직지원 실행 방안_169
제1절 요약	 171
제2절 성공적 전직지원 서비스를 위한 조건과RSC·ISC의 역할	 173
제3절 전직지원 서비스 정책 방향	 180
SUMMARY_187
참고문헌_188
부  록_201
1. 설문조사지	 203
2. RSC, ISC 전직지원 서비스 연계가능성 탐색 간담회논의 내용	 216
본 연구에서는 경력전환을 준비하는 신중년(근로자)에게 체계적인 전직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직지원과 관련된 이슈·현황을 분석하여 일자리-커리어 상담-교육훈련을 연계한 지역별·산업별 전직지원 서비스 실행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전직지원과 관련된 현황 파악 및 이슈를 분석하고자 한다. 
2. 커리어 서비스 모델, 전직지원 전달 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3. 지역별·산업별(RSC·ISC) 전직지원 서비스 실행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Due to the aging population, utilizing older workers equipped with knowhow and professional knowledge is becoming more significant.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and issues related to outplacement service in terms of reskilling and utilizing older workforce. Dealing with limitations, the skills identification and training and development should be systematic and reflect the needs of the industry and region. In order to develop the tailored services to potential retiree, the outplacement service should be specified relevant to industries and regions to deliver better projects linking career couns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and job match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some possibilities of assigning role and function of RSCs and ISCs based upon the analysis of issues and current state of outplacement for those who are supposed to make career transit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ditions in which to provide desirable outplacement services; explored the role and function of RSCs and ISCs; and concluded with some policy suggestions of the outplacement service linking RSCs and ISCs.
<표 1-1> 전문가 협의회 및 FGI 개요	 13
<표 1-2> 국내 사례 조사 개요	 14
<표 1-3> 간담회 개요	 15
<표 2-1> 신중년 취업정책 지원 규정 	 26
<표 2-2> 일본의 신중년 취업 관련 법규	 28
<표 2-3> ?제3차 고령자 고용촉진 기본계획? 정책비전 및 전략	35
<표 2-4> ?제3차 고령자 고용촉진 기본계획? 전직준비 및 지원서비스 관련 과제	 37
<표 2-5> 재직자/구직자 대상 생애경력설계 서비스	 41
<표 2-6> 퇴직예정자 대상 전직스쿨 프로그램	 42
<표 2-7> 퇴직자 대상 재도약프로그램	 43
<표 2-8> 금융특화센터 프로그램	 44
<표 2-9> 일반센터 프로그램	 45
<표 2-10> 전직지원 서비스 내용	 47
<표 2-11> 고령자 재취업 프로그램	 55
<표 2-12> 중장년기술창업센터 지원 내용	 57
<표 2-13> 노키아 전직지원 서비스의 가치와 우선순위	 65
<표 2-14> Global Bridge Program	 67
<표 2-15> 2011~2012년 노키아의 주요 구조조정	 70
<표 2-16> 한국과 일본의 공공 고용안정 서비스 비교	 76
<표 2-17> 전직지원 서비스 유형 	 80
<표 3-1> RSC 전직지원 서비스 현황 종합(2018년 기준)	 89
<표 3-2> 2017년 전직지원 프로그램 교육 커리큘럼(안)	 91
<표 3-3> 투자권유대행인 전직지원 프로그램(안) 	 92
<표 3-4> ISC 전직지원 서비스 현황 종합(2018년 기준)	 98
<표 3-5> FGI 참여자 특성	 101
<표 3-6> FGI 분석틀 및 주제별 요약	 101
<표 3-7> 퇴직지원제도 실시 현황	 116
<표 3-8> 고령화 관련 제도 실시 현황	 119
<표 3-9> 고령자 고용지원제도 실시 현황	 121
<표 3-10> 설문지 영역 및 항목	 123
<표 3-11> 한국표준산업분류별 전국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124
<표 3-12> 응답자 유형	 126
<표 3-13> 전직지원 서비스 참여 계기	 129
<표 3-14> 과거 직장 경력	 130
<표 3-15> 기업 규모별 전직지원 서비스 이용 유형(복수응답)	 130
<표 3-16> 전직지원 서비스 정보 습득 경로	 131
<표 3-17> 기업 규모별 전직지원 서비스 참여 목적(복수응답)	 131
<표 3-18> 전직 교육훈련 프로그램 분야와 과거 수행 업무의유사성	 132
<표 3-19> 전직지원 서비스 프로그램별 효과성	 132
<표 3-20> 재취업 시 허용 가능한 임금 수준	 136
<표 3-21> 연령별 재취업 시 허용 가능한 임금 수준	 137
<표 3-22> 재취업 후 감당 가능한 업무 강도 수준	 137
<표 3-23> 자발적 퇴직 여부별 재취업 후 감당 가능한 업무강도 수준	 138
<표 3-24> 연령별 희망하는 재취업 유형	 138
<표 3-25> 연령별 퇴직 후 재취업에 소요되는 예상 기간	 139
<표 3-26>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법정 정년(응답 순위별)	 140
<표 3-27> 연령별 재취업 시 중요 고려 요인(1+2순위)	 141
<표 3-28> 신중년층의 경력개발 관련 태도	 143
<표 3-29> 직무 전문성별 경력개발 관련 태도 수준	 144
<표 5-1> 전직지원/생애설계 서비스 민간 자격 등록 현황	 174
<표 5-2> RSC와 ISC의 역할	 177
[그림 1-1] 연구 절차, 내용, 방법	 10
[그림 2-1] 국가별 노년층의 교육훈련 불참 이유 	 33
[그림 2-2] 신중년 인생삼모작 패키지	 40
[그림 2-3] 중고령자 진로전환 지원 프로그램 구성	 48
[그림 2-4] 직무와 업종에 따른 전직유형 분류	 51
[그림 2-5] TRR 및 TSn 전직지원 모델	 60
[그림 2-6] 오스트리아 노동재단의 전직지원 서비스 모형	 64
[그림 2-7] Nokia Bridge의 주요 지역	 69
[그림 2-8] 전직지원 서비스 유형	 78
[그림 3-1] 퇴직지원제도 실시 현황 	 115
[그림 3-2] 퇴직지원제도 실시의 제약 요인	 117
[그림 3-3] 고령화 관련 제도 실시 현황 	 118
[그림 3-4] 고령자 고용지원제도 실시 현황	 120
[그림 3-5] 전직지원 서비스의 적당한 제공 시기	 133
[그림 3-6] 전직지원 서비스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제공 시간	 134
[그림 3-7] 전직지원 서비스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제공 장소	 134
[그림 3-8] 기존 일자리 대비 재취업한 일자리 업종	 135
[그림 3-9] 기존 일자리 대비 재취업한 일자리 직무	 136
[그림 3-10] 재취업 시 중요 고려 요인	 140
[그림 3-11] 재취업 시 가장 큰 애로사항	 142
[그림 4-1] 전직지원 서비스 모델 개발 프로세스	 152
[그림 4-2] 전직지원 서비스 모델(안) 기본틀	 153
[그림 4-3] 전직지원 서비스 모델(안) 취·창업 및 특수성 포함 틀	154
[그림 4-4] 고용서비스·직업훈련 모델	 155
[그림 4-5] 전직지원 고용서비스 모델: 취약계층	 157
[그림 4-6] 전직지원 고용서비스 모델: 비취약계층	 158
[그림 4-7] 전직지원 서비스 모델: 재취업	 160
[그림 4-8] 전직지원 서비스 모델: 창업	 161
[그림 4-9] 신중년 근로자 중심의 전직훈련 모델	 162
[그림 4-10] 기업 수요 중심의 전직훈련 모델	 163
[그림 4-11] 대량해고에 따른 전직훈련 모델	 163
[그림 5-1] 정책 제언 개요	 17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전직지원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RSC, ISC의 연계 가능성 탐색 2019.04.29~2019.10.28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