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학교 진로체험 질 제고를 위한 내실화 방안

A Research on the Method of Improving Quality of School Career Experience
저자
정지은 윤형한 이민욱 고요한
분류정보
기본연구(2019-1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10.31
등록일
2019.12.30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6
제3절 연구 방법	7
제4절 용어의 정의	11
제2장 진로체험 내실화 관련 논의 및 제도 분석	 13
제1절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 논의	15
제2절 학교 진로체험 관련 정책 및 제도	37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60
제3장 학교 진로체험 운영현황 분석	 69
제1절 분석 개요	71
제2절 학교 진로체험 운영현황 분석 결과	75
제3절 학교 진로체험 운영 효과 분석	117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27
제4장 학교 진로체험 경험 분석	 131
제1절 분석 개요	133
제2절 교사가 바라보는 학교 진로체험	138
제3절 학생이 바라보는 학교 진로체험	144
제4절 지원인력이 바라보는 학교 진로체험	149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53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안	 157
제1절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를 위한 기본 방향	159
제2절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를 위한 정책 과제	161
Summary_175
참고문헌_177
부록_187
 이 연구는 학교 진로체험의 양적 확대 이후에 질적 제고를 고민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학교 진로체험 운영현황 및 제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학교 진로체험의 당사자인 교사와 학생, 지원인력의 관점에서 진로체험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진로체험의 내실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 관련 논의 및 제도를 분석하였다. 진로체험의 개념과 진로체험 내실화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 관련 이슈를 도출하였다. 이와 함께 진로체험 내실화 관련 정책 및 제도 분석을 통해 진로체험 내실화를 위한 관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진로교육 현황조사, ‘꿈길’ 데이터,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현재 학교 진로체험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운영현황은 학교의 진로체험 운영 및 학생의 참여현황, 학교 진로체험의 프로그램 현황, 운영 여건 및 지원현황, 운영과정, 교원의 진로체험 운영 관련 인식 및 요구, 학생 및 학부모의 진로체험 인식 및 요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로체험의 횟수와 만족도, 학습동기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학교 진로체험의 성과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셋째, 학교 진로체험의 당사자인 교사의 운영경험, 학생의 참여경험, 지원인력의 지원경험에 대하여 학교 진로체험에 대한 인식, 학교 진로체험 운영과정에서의 경험, 학교 진로체험의 성과, 학교 진로체험의 운영 방향 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넷째, 이상의 내실화 관련 논의 및 제도 분석, 운영현황 분석, 경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를 위한 기본 방향을 도출하고,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career experience and support policie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Korea, and to analyze school career experience awareness and demands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students and support personnel who are the parties to the school career experience, to draw up policy measures for internalization of career experience.
To this end, the discussion and system related to the actualization of school career experience was reviewed, secondly, the status of school career experience operation was analyzed, and thirdly, the school career experience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ree areas and policy tasks were derived: ‘Defining the direction of school career experience operation’,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school career experience operation’ and ‘Improving the conditions for school career experience operation’.
<표 1-1> 연구 모형	10
<표 2-1> 체험학습 활성화 조건	23
<표 2-2> 현장체험학습과 진로체험의 비교	37
<표 2-3> 진로체험 내실화 관련 정책과 제도	40
<표 2-4>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와 자유학기제의 비교	44
<표 2-5>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지원	46
<표 2-6> 지방자치단체의 진로체험 바우처 운영사례	48
<표 2-7> 2019년 진로교육 실천사례 연구발표대회 연구주제	50
<표 2-8>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지표	52
<표 2-9> 연도별 ‘꿈길’ 활용 현황	54
<표 2-10>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주요 역할	55
<표 2-11> 2019년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평가지표와 측정산식	57
<표 3-1> 설문조사 내용	73
<표 3-2> 응답자 현황	74
<표 3-3> 학교 진로체험 운영현황	75
<표 3-4> 학생의 학교 진로체험 참여율 현황	76
<표 3-5> 중・고등학생의 학교 진로체험 참여 횟수	77
<표 3-6> 학교 진로체험처 보유 현황	78
<표 3-7> 학교 진로체험프로그램 등록 현황	79
<표 3-8> 학교 진로체험처 보유 현황	80
<표 3-9> 학교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기관 현황	80
<표 3-10> 학교 진로체험 교내・외 운영현황	81
<표 3-11> 학교 진로체험 프로그램 유형별 현황	82
<표 3-12> 학교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규모	83
<표 3-13> 학교 진로체험 운영 실행 단위	83
<표 3-14> 학교 진로체험 프로그램 교육시간 현황	84
<표 3-15> 도전(기업가)정신 및 창업체험활동 참여 현황 및 만족도	85
<표 3-16> 도전(기업가)정신 및 창업체험교육 운영 경험	86
<표 3-17> 도전(기업가)정신 및 창업체험교육 제공 여부(진로전담교사)	86
<표 3-18> 학교 진로교육 운영 예산(2015~2018년) 	87
<표 3-19> 학교 진로체험 운영 예산(2019년)	88
<표 3-20> 진로전담교사 지원 전문인력 수 변화(2016~2018년)	89
<표 3-21> 진로교육 내 학부모 참여 분야 변화(2016~2018년)	89
<표 3-22> 학부모의 학교 진로교육 참여 경험 변화(2016~2018년)	90
<표 3-23> 학교 진로교육협의회 구성원 변화(2015~2018년)	91
<표 3-24> 담임교사와 진로전담교사의 연계 수준	92
<표 3-25> 진로체험 운영 시 지역사회와 학교의 참여 인식	93
<표 3-26> 학교 진로체험 지원체계 활용 경험	94
<표 3-27> 학교 진로체험처/직업인 섭외 시 정보 출처	95
<표 3-28> 학교 진로체험 운영 관련 교사 역량 개발 제도 및 자료	97
<표 3-29> 학교 진로체험 운영계획 수립 시 고려 정도	98
<표 3-30> 학교 진로체험 운영 시, 진로체험 목표 고려 정도	99
<표 3-31> 진로체험을 통한 교육적 효과 달성 정도	100
<표 3-32> 학교 진로체험 운영과정에서의 실시 정도	101
<표 3-33> 학교 진로체험 운영 결과 활용	102
<표 3-34> 진로교육 정책별 도움정도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	103
<표 3-35> 지역 네트워크로부터의 협조와 지원 수준(2015~2018년)	104
<표 3-36> 학교 관리자의 진로교육 지원에 대한 인식(2015~2018년)	105
<표 3-37> 학교 진로체험 운영 업무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수준	107
<표 3-38>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 요구	110
<표 3-39>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 요구_중학교와 고등학교 비교	111
<표 3-40> 진로활동 참여 여부 및 만족도(2018년)	114
<표 3-41> 외부 진로체험 참여 현황 및 만족도 비교	115
<표 3-42> 자녀의 진로활동 지원 및 참여 만족도	116
<표 3-43> 자녀의 외부 진로활동 참여 여부 및 만족도	116
<표 3-44> 주요 변수 구성 및 설명 	117
<표 3-45> 기초분석 결과	119
<표 3-46> 학교 진로체험 횟수 및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결과	122
<표 3-47> 학교 진로체험의 효과 분석 결과	125
<표 4-1> 참여자 정보(교사와 학생)	134
<표 4-2> 참여자 정보(지원인력)	135
<표 4-3> 심층면담 및 FGI 질문지	136
<표 5-1> 학교 진로체험을 위한 교원의 역량 개발 지원(안)	165
<표 5-2>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지표 개선(안)	171
<표 5-3>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를 위한 정책 과제 우선순위	173
[그림 2-1]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 이슈 도출 과정	30
[그림 2-2] 현장체험학습 추진 절차	38
[그림 2-3] 지방자치단체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제공 비중	47
[그림 3-1] The Locus for Focus Model_전체	109
[그림 5-1] 학교 진로체험 내실화 기본 방향	160
[그림 5-2] ‘학교 진로체험 운영 방향 정립’을 위한 세부 추진 과제	161
[그림 5-3] ‘학교 진로체험 운영 역량 강화’를 위한 세부 추진 과제	164
[그림 5-4] ‘학교 진로체험 운영 여건 개선’을 위한 세부 추진 과제	16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학교 진로체험 질 제고를 위한 내실화 방안 2019.01.01~2019.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