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고등교육 혁신 : 교육과정과 노동시장 이행
- 저자
- 백원영 민숙원 윤종혁 김영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1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0.31
- 등록일
- 2019.12.30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8 제3절 연구 범위와 제한점 10 제2장 고등교육 환경 변화와 관련 문헌 검토_13 제1절 고등교육 환경 변화와 대학의 대응 15 제2절 고등교육과 노동시장 이행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40 제3절 소결 44 제3장 국내외 대학의 교육과정 운영 현황 분석_47 제1절 국내 대학의 교육과정 운영 현황 49 제2절 해외 대학의 교육과정 운영 현황 79 제4장 교과목 분류를 위한 데이터 구축 방법_105 제1절 분석 자료 107 제2절 교양 교육과정의 분류 113 제3절 전공 교육과정의 분류 119 제4절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정보 추출 123 제5장 교육과정과 노동시장 이행에 관한 분석_127 제1절 성적표 데이터 분석 방법 129 제2절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수강과목의 현황 및 패턴 분석 결과 148 제3절 수강과목의 양적 지표를 활용한 교육과정과 노동시장 성과 분석 194 제6장 미래 사회를 대비한 교육과정 운영의 개선 방향_203 제1절 종합적 논의: 교육과정 운영의 개선 방향 205 제2절 결론 및 시사점 210 참고문헌_213 부 록_231 [부록 1] 대학 관계자 면담 질문지 233 [부록 2] 과목명 분류2 및 분류3 수준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및 네트워크 분석 결과 236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과정이 고등교육에 대한 학습자와 노동시장의 수요에 부응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을 둘러싼 환경 변화에 따라 대학에서 교양 및 전공 관련 과목이 어떻게 편성되어 있고, 실증자료를 통해 교양교육 및 전공교육을 영역별로 분류하여 영역별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가 노동시장 이행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요 연구 과제는 1) 고등교육을 둘러싼 중요한 교육환경 변화와 교육과정에 대한 대학의 대응을 살펴보고, 2) 문헌조사 및 면담 등을 통해 국내외 대학의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검토한 뒤, 3) 학생들의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를 분석할 수 있는 실증자료를 활용하여 과목명을 통해 교양교육 및 전공교육의 영역을 분류한 후, 4) 기존의 ‘한국교육고용패널자료’와 연계하여 국내 일반대학 졸업생들의 교육과정 이수 현황과 노동시장 이행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특히 과목명이라는 비정형 텍스트로 구성된 자료를 통해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시도하고, 수강과목을 특정 영역으로 분류한 후 양적 지표를 활용하여 교육과정과 노동시장 이행 간의 관계를 실증하는 것은 본 연구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다.
<표 2-1> 직업군별 순고용(Net employment) 증감(2015~2020년) 17 <표 2-2> 대학 전임교원 현황(2013~2017년) 27 <표 2-3> 4년제 대학 전임교원의 연령별 현황(2013~2017년) 28 <표 2-4> 4년제 대학 전임교원의 학문분야별 현황(2017년) 29 <표 2-5> 지식재산권 보유 현황(2013~2017년) 30 <표 2-6> 대학재정지원사업 현황(2013~2018년) 33 <표 3-1> 건국대학교 프라임사업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52 <표 3-2> 동의대학교 프라임사업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55 <표 3-3> 인제대학교 프라임사업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57 <표 3-4> 2016 권역별・유형별 CK사업단 현황 59 <표 3-5> 연세대학교 CK특성화사업 프로그램 운영 현황 60 <표 3-6> 조선대학교 CK특성화사업 프로그램 운영 현황 62 <표 3-7> CORE사업 발전 모델 예시 64 <표 3-8> 한국외국어대학교 CORE사업 운영 현황 64 <표 3-9> 전남대학교 CORE사업 운영 현황 66 <표 3-10> 한국교원대학교 ACE+ 사업 운영 현황 69 <표 3-11> 부산대학교 ACE+ 사업 운영 현황 71 <표 3-12> LINC와 LINC+ 사업 간 유형 구분 72 <표 3-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LINC+ 사업 운영 현황 74 <표 3-14> IPP 학제 시스템(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예시) 77 <표 3-1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장기현장실습(IPP) 사업 운영 현황 78 <표 3-16> 대학(고등교육)의 STEM 교육목표 및 전략 83 <표 3-17> STEM 학위수여 현황(인종별) 87 <표 3-18> 이원화 대학 교육과정의 유형 99 <표 4-1> KEEPⅠ 성적표 자료 표본 수 111 <표 4-2> 교양기초교육의 목표와 교양과정 내의 담당영역 114 <표 4-3> 교양 교육과정의 기초교육 영역별 세부내용 117 <표 4-4> 사회과학의 분류체계 예시 121 <표 5-1> 분석에 활용된 변수들의 기초통계 139 <표 5-2> 4년제 일반대학 인문계열 졸업생의 교양교육 영역별 수강비율 142 <표 5-3> 4년제 일반대학 사회계열 졸업생의 교양교육 영역별 수강비율 143 <표 5-4> 4년제 일반대학 공학계열 졸업생의 교양교육 영역별 수강비율 144 <표 5-5> 4년제 일반대학 인문계열 졸업생의 전공교육 영역별 수강비율 145 <표 5-6> 4년제 일반대학 사회계열 졸업생의 전공교육 영역별 수강비율 146 <표 5-7> 4년제 일반대학 공학계열 졸업생의 전공교육 영역별 수강비율 147 <표 5-8> 첫 직장의 월평균 임금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195 <표 5-9> 첫 직장의 기술 수준 적합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197 <표 5-10> 첫 직장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200 [그림 1-1] 대학 수 및 학과 수 4 [그림 1-2] 학과계열별 입학정원 변화 추이(2011~2018년) 5 [그림 2-1]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직무 역량 19 [그림 2-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산업 분야별 직무역량 안정성 변화 예측(2015~2020년) 20 [그림 2-3] 연도별 대학의 국내 및 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현황(2013~2017년) 31 [그림 2-4] 미래기술 분류별 특허출원(좌) 및 등록 현황(우)(2017년) 31 [그림 2-5] 과학기술분야 전임교원 1인당 특허 출원 및 등록 추이(2013~2017년) 32 [그림 2-6] 문재인 정부 대학재정지원사업 재구조화(안) 34 [그림 3-1] PRIME사업의 주요 추진 방향 50 [그림 3-2] PRIME사업 유형별 주요 내용 51 [그림 3-3] LINC+ 사회맞춤형 학과 운영과정 73 [그림 3-4] LINC+ 사회맞춤형 학과 교육모델 73 [그림 3-5] 일학습병행제 운영 절차 76 [그림 3-6] STEM 교육 투자(기관별) 82 [그림 3-7] STEM 교육 투자(항목별) 84 [그림 4-1] 학과(전공) 분류 예시 110 [그림 4-2] 사회계열 과목 분류작업 예시 125 [그림 4-3] 공학계열 과목 분류작업 예시 126 [그림 4-4] 인문계열 과목 분류작업 예시 126 [그림 5-1] 워드 클라우드와 워드트리 130 [그림 5-2] 사회계열의 단어 문서 행렬(TDM) 148 [그림 5-3] 사회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워드 클라우드 149 [그림 5-4] 사회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네트워크 분석 결과 150 [그림 5-5] 사회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51 [그림 5-6] 사회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51 [그림 5-7] 사회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chord diagram 152 [그림 5-8] 사회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53 [그림 5-9] 사회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54 [그림 5-10] 사회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55 [그림 5-11] 사회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56 [그림 5-12] 사회계열의 성별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57 [그림 5-13] 사회계열의 성별에 따른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58 [그림 5-14] 사회계열의 성별에 따른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59 [그림 5-15] 사회계열의 성별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60 [그림 5-16] 경영・경제 졸업생의 수강과목 워드 클라우드 161 [그림 5-17] 경영・경제 졸업생의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62 [그림 5-18] 경영・경제 졸업생의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62 [그림 5-19] 경영・경제 졸업생의 수강과목 chord diagram 163 [그림 5-20] 사회과학 졸업생의 수강과목 워드 클라우드 164 [그림 5-21] 사회과학 졸업생의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65 [그림 5-22] 사회과학 졸업생의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65 [그림 5-23] 사회과학 졸업생의 수강과목 chord diagram 166 [그림 5-24] 공학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워드 클라우드 167 [그림 5-25] 공학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네트워크 분석 결과 168 [그림 5-26] 공학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69 [그림 5-27] 공학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69 [그림 5-28] 공학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chord diagram 170 [그림 5-29] 공학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71 [그림 5-30] 공학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72 [그림 5-31] 공학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73 [그림 5-32] 공학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74 [그림 5-33] 공학계열의 성별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75 [그림 5-34] 공학계열의 성별에 따른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76 [그림 5-35] 공학계열의 성별에 따른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77 [그림 5-36] 공학계열의 성별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78 [그림 5-37] 컴퓨터·통신 졸업생의 수강과목 워드 클라우드 179 [그림 5-38] 컴퓨터・통신 졸업생의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80 [그림 5-39] 컴퓨터・통신 졸업생의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80 [그림 5-40] 컴퓨터・통신 졸업생의 수강과목 chord diagram 181 [그림 5-41] 인문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워드 클라우드 182 [그림 5-42] 인문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네트워크 분석 결과 183 [그림 5-43] 인문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84 [그림 5-44] 인문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84 [그림 5-45] 인문계열 졸업생의 수강과목 chord diagram 185 [그림 5-46] 인문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86 [그림 5-47] 인문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87 [그림 5-48] 인문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88 [그림 5-49] 인문계열의 일자리 형태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89 [그림 5-50] 인문계열의 성별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90 [그림 5-51] 인문계열의 성별에 따른 수강과목 근접중심성 191 [그림 5-52] 인문계열의 성별에 따른 수강과목 매개중심성 192 [그림 5-53] 인문계열의 성별에 따른 과목 워드 클라우드 193 [부록-그림 1] 사회계열 분류2 수준 워드 클라우드 236 [부록-그림 2] 사회계열 분류3 수준 네트워크 분석 결과 237 [부록-그림 3] 공학계열 분류2 수준 워드 클라우드 238 [부록-그림 4] 공학계열 분류3 수준 네트워크 분석 결과 239 [부록-그림 5] 인문계열 분류2 수준 워드 클라우드 240 [부록-그림 6] 인문계열 분류3 수준 네트워크 분석 결과 24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고등교육 혁신 - 교육과정과 노동시장 이행 | 2019.01.01~2019.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